인천 옹진군, 양육비 기준 완화·청년정책 등 인구 늘리기
입력 2025.04.10 (10:59)
수정 2025.04.10 (11: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시 옹진군이 인구 2만 명대가 붕괴되자 양육비 지원 기준을 완화하고 청년정책을 도입하는 등 인구 늘리기에 나섰습니다.
115개의 섬으로만 이뤄진 옹진군의 인구는 2021년 2만342명에서 2022년 2만613명으로 늘었으나 2023년 2만377명, 2024년 1만9천996명으로 2년 연속 감소했고,올해도 지난달에 1만9천796명까지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옹진군은 인구 유입을 위해 1∼4세 둘째 이상 자녀를 둔 가정에 매월 20만 원을 지급하는 양육비 지원 사업에 대한 1년 거주기간 제한을 조례 개정을 거쳐 오는 8월부터 없애기로 했습니다.
또, 청년 정책을 발굴하고 심의하는 기구인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다음 달까지 설치하고 오는 7월에는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옹진군은 "그동안 고령층 위주의 복지 정책들이 많았는데 청년정책조정위원회 활동을 토대로 청년에게 필요한 사업을 찾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옹진군은 이 같은 양육과 청년 정책들을 시행하면 연평도와 백령도 등지에서 근무하는 군인 가족들의 전입 신고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옹진군청 제공]
115개의 섬으로만 이뤄진 옹진군의 인구는 2021년 2만342명에서 2022년 2만613명으로 늘었으나 2023년 2만377명, 2024년 1만9천996명으로 2년 연속 감소했고,올해도 지난달에 1만9천796명까지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옹진군은 인구 유입을 위해 1∼4세 둘째 이상 자녀를 둔 가정에 매월 20만 원을 지급하는 양육비 지원 사업에 대한 1년 거주기간 제한을 조례 개정을 거쳐 오는 8월부터 없애기로 했습니다.
또, 청년 정책을 발굴하고 심의하는 기구인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다음 달까지 설치하고 오는 7월에는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옹진군은 "그동안 고령층 위주의 복지 정책들이 많았는데 청년정책조정위원회 활동을 토대로 청년에게 필요한 사업을 찾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옹진군은 이 같은 양육과 청년 정책들을 시행하면 연평도와 백령도 등지에서 근무하는 군인 가족들의 전입 신고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옹진군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천 옹진군, 양육비 기준 완화·청년정책 등 인구 늘리기
-
- 입력 2025-04-10 10:59:41
- 수정2025-04-10 11:01:11

인천시 옹진군이 인구 2만 명대가 붕괴되자 양육비 지원 기준을 완화하고 청년정책을 도입하는 등 인구 늘리기에 나섰습니다.
115개의 섬으로만 이뤄진 옹진군의 인구는 2021년 2만342명에서 2022년 2만613명으로 늘었으나 2023년 2만377명, 2024년 1만9천996명으로 2년 연속 감소했고,올해도 지난달에 1만9천796명까지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옹진군은 인구 유입을 위해 1∼4세 둘째 이상 자녀를 둔 가정에 매월 20만 원을 지급하는 양육비 지원 사업에 대한 1년 거주기간 제한을 조례 개정을 거쳐 오는 8월부터 없애기로 했습니다.
또, 청년 정책을 발굴하고 심의하는 기구인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다음 달까지 설치하고 오는 7월에는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옹진군은 "그동안 고령층 위주의 복지 정책들이 많았는데 청년정책조정위원회 활동을 토대로 청년에게 필요한 사업을 찾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옹진군은 이 같은 양육과 청년 정책들을 시행하면 연평도와 백령도 등지에서 근무하는 군인 가족들의 전입 신고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옹진군청 제공]
115개의 섬으로만 이뤄진 옹진군의 인구는 2021년 2만342명에서 2022년 2만613명으로 늘었으나 2023년 2만377명, 2024년 1만9천996명으로 2년 연속 감소했고,올해도 지난달에 1만9천796명까지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옹진군은 인구 유입을 위해 1∼4세 둘째 이상 자녀를 둔 가정에 매월 20만 원을 지급하는 양육비 지원 사업에 대한 1년 거주기간 제한을 조례 개정을 거쳐 오는 8월부터 없애기로 했습니다.
또, 청년 정책을 발굴하고 심의하는 기구인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다음 달까지 설치하고 오는 7월에는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옹진군은 "그동안 고령층 위주의 복지 정책들이 많았는데 청년정책조정위원회 활동을 토대로 청년에게 필요한 사업을 찾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옹진군은 이 같은 양육과 청년 정책들을 시행하면 연평도와 백령도 등지에서 근무하는 군인 가족들의 전입 신고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옹진군청 제공]
-
-
박재우 기자 pjwoo@kbs.co.kr
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