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미국 상호관세 현실화되면 올해 성장률 2% 아래로”
입력 2025.04.10 (15:32)
수정 2025.04.10 (15: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이완 정부가 미국의 상호관세가 실제로 부과되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2%를 밑돌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10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타이완 언론에 따르면 류징칭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 주임위원(장관급)은 전날 입법원(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류 주임위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밝힌 32%에 달하는 상호관세가 발효된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에 0.43∼1.61%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성장률 확보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타이완 언론은 통계 당국이 지난 2월 예측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3.14%)이 최악의 경우 1.53%에 그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타이완 중앙은행도 미국의 상호관세가 시행된다면 전 세계 무역량의 둔화와 기업의 보수적 투자, 소비자의 구매력 하락 등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타이완 노동부 훙선한 부장(장관) 역시 전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기계와 자동차 부품, 고무, 플라스틱·석유화학, 물 관련 제조업, 고정장치 산업 등 6대 산업이 충격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타이완 경제부는 이번 관세 폭탄이 실현되면 대만 제조업의 생산액이 9,000억 타이완달러(약 39조 9,000억 원) 감소하고 12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입법원 경제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은 정부가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발표한 880억 타이완달러(약 3조 9,000억 원) 규모의 지원책은 부족하다면서 2,000억 타이완달러(약 8조 8,000억 원)로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타이완 경제부는 첨단 산업보다는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이는 전통 산업과 중소기업 등을 중점 지원하는 1단계 지원만 발표한 것으로 미국과 협상이 예상과 다르게 진행될 경우 지원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힌 영향으로 이날 타이완 증시는 9%대의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타이완 증시에서 이날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TSMC와 애플의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이 10% 가까이 급등함에 따라 자취안지수는 9.3% 오른 19,000.03으로 마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10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타이완 언론에 따르면 류징칭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 주임위원(장관급)은 전날 입법원(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류 주임위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밝힌 32%에 달하는 상호관세가 발효된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에 0.43∼1.61%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성장률 확보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타이완 언론은 통계 당국이 지난 2월 예측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3.14%)이 최악의 경우 1.53%에 그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타이완 중앙은행도 미국의 상호관세가 시행된다면 전 세계 무역량의 둔화와 기업의 보수적 투자, 소비자의 구매력 하락 등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타이완 노동부 훙선한 부장(장관) 역시 전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기계와 자동차 부품, 고무, 플라스틱·석유화학, 물 관련 제조업, 고정장치 산업 등 6대 산업이 충격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타이완 경제부는 이번 관세 폭탄이 실현되면 대만 제조업의 생산액이 9,000억 타이완달러(약 39조 9,000억 원) 감소하고 12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입법원 경제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은 정부가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발표한 880억 타이완달러(약 3조 9,000억 원) 규모의 지원책은 부족하다면서 2,000억 타이완달러(약 8조 8,000억 원)로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타이완 경제부는 첨단 산업보다는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이는 전통 산업과 중소기업 등을 중점 지원하는 1단계 지원만 발표한 것으로 미국과 협상이 예상과 다르게 진행될 경우 지원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힌 영향으로 이날 타이완 증시는 9%대의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타이완 증시에서 이날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TSMC와 애플의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이 10% 가까이 급등함에 따라 자취안지수는 9.3% 오른 19,000.03으로 마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타이완, 미국 상호관세 현실화되면 올해 성장률 2% 아래로”
-
- 입력 2025-04-10 15:32:41
- 수정2025-04-10 15:35:41

타이완 정부가 미국의 상호관세가 실제로 부과되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2%를 밑돌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10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타이완 언론에 따르면 류징칭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 주임위원(장관급)은 전날 입법원(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류 주임위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밝힌 32%에 달하는 상호관세가 발효된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에 0.43∼1.61%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성장률 확보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타이완 언론은 통계 당국이 지난 2월 예측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3.14%)이 최악의 경우 1.53%에 그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타이완 중앙은행도 미국의 상호관세가 시행된다면 전 세계 무역량의 둔화와 기업의 보수적 투자, 소비자의 구매력 하락 등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타이완 노동부 훙선한 부장(장관) 역시 전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기계와 자동차 부품, 고무, 플라스틱·석유화학, 물 관련 제조업, 고정장치 산업 등 6대 산업이 충격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타이완 경제부는 이번 관세 폭탄이 실현되면 대만 제조업의 생산액이 9,000억 타이완달러(약 39조 9,000억 원) 감소하고 12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입법원 경제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은 정부가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발표한 880억 타이완달러(약 3조 9,000억 원) 규모의 지원책은 부족하다면서 2,000억 타이완달러(약 8조 8,000억 원)로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타이완 경제부는 첨단 산업보다는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이는 전통 산업과 중소기업 등을 중점 지원하는 1단계 지원만 발표한 것으로 미국과 협상이 예상과 다르게 진행될 경우 지원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힌 영향으로 이날 타이완 증시는 9%대의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타이완 증시에서 이날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TSMC와 애플의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이 10% 가까이 급등함에 따라 자취안지수는 9.3% 오른 19,000.03으로 마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10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타이완 언론에 따르면 류징칭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 주임위원(장관급)은 전날 입법원(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류 주임위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밝힌 32%에 달하는 상호관세가 발효된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에 0.43∼1.61%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성장률 확보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타이완 언론은 통계 당국이 지난 2월 예측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3.14%)이 최악의 경우 1.53%에 그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타이완 중앙은행도 미국의 상호관세가 시행된다면 전 세계 무역량의 둔화와 기업의 보수적 투자, 소비자의 구매력 하락 등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타이완 노동부 훙선한 부장(장관) 역시 전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기계와 자동차 부품, 고무, 플라스틱·석유화학, 물 관련 제조업, 고정장치 산업 등 6대 산업이 충격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타이완 경제부는 이번 관세 폭탄이 실현되면 대만 제조업의 생산액이 9,000억 타이완달러(약 39조 9,000억 원) 감소하고 12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입법원 경제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은 정부가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발표한 880억 타이완달러(약 3조 9,000억 원) 규모의 지원책은 부족하다면서 2,000억 타이완달러(약 8조 8,000억 원)로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타이완 경제부는 첨단 산업보다는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이는 전통 산업과 중소기업 등을 중점 지원하는 1단계 지원만 발표한 것으로 미국과 협상이 예상과 다르게 진행될 경우 지원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힌 영향으로 이날 타이완 증시는 9%대의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타이완 증시에서 이날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TSMC와 애플의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이 10% 가까이 급등함에 따라 자취안지수는 9.3% 오른 19,000.03으로 마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