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태평양경제협정 CPTPP 회원국들, 트럼프 맞서 자유무역 협력 모색

입력 2025.04.11 (14:49) 수정 2025.04.11 (15: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으킨 세계 '관세 전쟁'에 대응해 뉴질랜드·호주 등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회원국들이 자유무역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는 현지시각 10일 CPTPP와 유럽연합(EU)이 협력해 자유무역 협정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럭슨 총리는 한 행사 연설에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가 1947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체결 이후 "규칙 기반 무역 시스템에 대한 가장 심각한 도전"이라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CPTPP와 EU 회원국들이 규칙 기반 무역을 옹호하고, 이런 지원이 실제로 어떻게 실현될지에 대해 구체적인 약속을 하는 것이 한 가지 가능성"이라면서 "내 비전에는 수출 제한을 방지하는 조치와 모든 보복 조치가 기존 규칙에 부합하도록 하는 노력이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럭슨 총리는 이어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각각 전화 통화를 하고 규칙 기반의 자유무역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소셜미디어 엑스(X)에서 밝혔습니다.

찐 총리는 럭슨 총리와 통화에서 베트남과 뉴질랜드가 소속된 CPTPP 등의 무역 틀 안에서 양자 무역·투자 협력을 더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고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이 전했습니다.

럭슨 총리는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도 통화하고 "뉴질랜드의 일자리와 성장을 뒷받침하는 무역 규칙을 지원하기 위해 EU와 뉴질랜드가 함께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협의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난해 12월 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CPTPP에 공식 가입한 영국을 이달 말 방문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무역, 안보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입니다.

페니 웡 호주 외무부 장관도 호주 장관들이 동남아 국가들, EU, 한국, 일본, 인도와 미국 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웡 장관은 ABC 뉴스에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공정한 무역의 이점을 인식하는 국가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CPTPP는 2018년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이 결성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입니다. 2017년 트럼프 미 대통령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를 결정하자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이 만들었습니다.

현재 회원국은 일본,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 칠레, 페루,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 12개국입니다. 세계 경제에서 CPTPP 회원국의 비중은 약 15%에 이릅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환태평양경제협정 CPTPP 회원국들, 트럼프 맞서 자유무역 협력 모색
    • 입력 2025-04-11 14:49:46
    • 수정2025-04-11 15:01:41
    국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으킨 세계 '관세 전쟁'에 대응해 뉴질랜드·호주 등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회원국들이 자유무역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는 현지시각 10일 CPTPP와 유럽연합(EU)이 협력해 자유무역 협정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럭슨 총리는 한 행사 연설에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가 1947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체결 이후 "규칙 기반 무역 시스템에 대한 가장 심각한 도전"이라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CPTPP와 EU 회원국들이 규칙 기반 무역을 옹호하고, 이런 지원이 실제로 어떻게 실현될지에 대해 구체적인 약속을 하는 것이 한 가지 가능성"이라면서 "내 비전에는 수출 제한을 방지하는 조치와 모든 보복 조치가 기존 규칙에 부합하도록 하는 노력이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럭슨 총리는 이어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각각 전화 통화를 하고 규칙 기반의 자유무역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소셜미디어 엑스(X)에서 밝혔습니다.

찐 총리는 럭슨 총리와 통화에서 베트남과 뉴질랜드가 소속된 CPTPP 등의 무역 틀 안에서 양자 무역·투자 협력을 더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고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이 전했습니다.

럭슨 총리는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도 통화하고 "뉴질랜드의 일자리와 성장을 뒷받침하는 무역 규칙을 지원하기 위해 EU와 뉴질랜드가 함께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협의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난해 12월 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CPTPP에 공식 가입한 영국을 이달 말 방문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무역, 안보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입니다.

페니 웡 호주 외무부 장관도 호주 장관들이 동남아 국가들, EU, 한국, 일본, 인도와 미국 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웡 장관은 ABC 뉴스에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공정한 무역의 이점을 인식하는 국가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CPTPP는 2018년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이 결성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입니다. 2017년 트럼프 미 대통령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를 결정하자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이 만들었습니다.

현재 회원국은 일본,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 칠레, 페루,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 12개국입니다. 세계 경제에서 CPTPP 회원국의 비중은 약 15%에 이릅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