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에 미국 가계부담 커져…실효 관세율 120년만 최고“

입력 2025.04.11 (14:59) 수정 2025.04.11 (15: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이 직면한 실효 관세율이 120여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현지시각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취임 후 발표한 일련의 관세가 미국 가계의 구매력을 연간 평균 4천700달러(약 680만원) 떨어뜨렸다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예산연구소는 올해 발표한 관세에 따른 단기적인 물가 상승률이 2.9%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미 가계의 실질적인 손실을 이같이 계산했습니다. 특히 단기적으로 의류 가격은 64%, 직물 가격은 44%까지 급등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식품 가격은 장기적으로 3% 뛰어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자동차의 경우 장기적으로 19% 가격이 올라 지난해 신차 평균을 기준으로 9천 달러(약 1천300만원) 비싸지는 셈이 된다고 전망했습니다.

예산연구소는 관세가 단기적으로 역진성이 있기 때문에 소득이 낮은 가구들의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올해 1.1%포인트 하락하고,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가 0.6%씩 지속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실업률도 연말까지 0.55%포인트 오를 것으로 봤습니다.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은 차량 부품, 전자기기, 커피, 쌀, 와인, 해산물, 장난감 등 다양한 소비 품목에서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에서 제조되는 애플의 최고급 사양 아이폰은 350달러(약 50만원) 이상 비싸질 것으로 보이고, 차량 부품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은 최고 2만 달러(약 2천900만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국가별 상호관세의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긴 했지만, 기본 관세 10%를 비롯한 상당수 관세가 발효 중인 데다 이미 시장에 불확실성이 팽배해진 만큼 단기적 진정 효과 이상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국가별 상호관세의 유예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수입하는 상품의 평균 유효 관세율은 26.8%에서 27.0%로 소폭 올랐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같은 날 중국 제품에 대한 합계 관세율을 145%까지 올린 영향이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 효과를 상쇄했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소비자들이 직면한 27%의 유효관세율은 1903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앞으로 대체 수입품 등으로 소비 방향이 변화하더라도 유효 관세율은 18.5%로 193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에 미국 가계부담 커져…실효 관세율 120년만 최고“
    • 입력 2025-04-11 14:59:01
    • 수정2025-04-11 15:11:35
    국제
미국 소비자들이 직면한 실효 관세율이 120여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현지시각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취임 후 발표한 일련의 관세가 미국 가계의 구매력을 연간 평균 4천700달러(약 680만원) 떨어뜨렸다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예산연구소는 올해 발표한 관세에 따른 단기적인 물가 상승률이 2.9%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미 가계의 실질적인 손실을 이같이 계산했습니다. 특히 단기적으로 의류 가격은 64%, 직물 가격은 44%까지 급등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식품 가격은 장기적으로 3% 뛰어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자동차의 경우 장기적으로 19% 가격이 올라 지난해 신차 평균을 기준으로 9천 달러(약 1천300만원) 비싸지는 셈이 된다고 전망했습니다.

예산연구소는 관세가 단기적으로 역진성이 있기 때문에 소득이 낮은 가구들의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올해 1.1%포인트 하락하고,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가 0.6%씩 지속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실업률도 연말까지 0.55%포인트 오를 것으로 봤습니다.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은 차량 부품, 전자기기, 커피, 쌀, 와인, 해산물, 장난감 등 다양한 소비 품목에서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에서 제조되는 애플의 최고급 사양 아이폰은 350달러(약 50만원) 이상 비싸질 것으로 보이고, 차량 부품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은 최고 2만 달러(약 2천900만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국가별 상호관세의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긴 했지만, 기본 관세 10%를 비롯한 상당수 관세가 발효 중인 데다 이미 시장에 불확실성이 팽배해진 만큼 단기적 진정 효과 이상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국가별 상호관세의 유예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수입하는 상품의 평균 유효 관세율은 26.8%에서 27.0%로 소폭 올랐다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같은 날 중국 제품에 대한 합계 관세율을 145%까지 올린 영향이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 효과를 상쇄했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소비자들이 직면한 27%의 유효관세율은 1903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앞으로 대체 수입품 등으로 소비 방향이 변화하더라도 유효 관세율은 18.5%로 193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