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수업 중 교사를 폭행한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교사단체들이 잇따라 교육 당국에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서울특별시교원단체총연합회는 오늘(11일) 낸 성명을 통해 “학생이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를 거부하고 교육활동을 방해하며 폭력까지 가한 현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교육 당국은 무엇보다 피해 교사 보호와 회복을 지원하고, 가해 학생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와 심의를 거쳐 엄중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지난 3월 전국 교원 6천여 명을 대상으로 ‘교권 5법 개정 이후 문제행동 학생이 줄었는지’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86.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며 “이는 법과 제도가 교원을 실질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현실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결코 한 개인의 일탈로만 치부할 수 없다”며 교육 당국에 “문제행동 학생에 대한 즉각적인 분리 및 처벌 강화와 함께 악성 민원으로부터 교원을 보호할 지원 시스템 확충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성명을 내고 교육 당국에 “반복되는 교권 침해 사건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밝혔습니다.
또 “해당 교사의 얼굴이 그대로 노출된 영상이 SNS에 게시돼 2차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교육청에 “수사당국과 협조해 신속하게 해당 영상과 사진을 삭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서울특별시교원단체총연합회는 오늘(11일) 낸 성명을 통해 “학생이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를 거부하고 교육활동을 방해하며 폭력까지 가한 현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교육 당국은 무엇보다 피해 교사 보호와 회복을 지원하고, 가해 학생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와 심의를 거쳐 엄중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지난 3월 전국 교원 6천여 명을 대상으로 ‘교권 5법 개정 이후 문제행동 학생이 줄었는지’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86.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며 “이는 법과 제도가 교원을 실질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현실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결코 한 개인의 일탈로만 치부할 수 없다”며 교육 당국에 “문제행동 학생에 대한 즉각적인 분리 및 처벌 강화와 함께 악성 민원으로부터 교원을 보호할 지원 시스템 확충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성명을 내고 교육 당국에 “반복되는 교권 침해 사건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밝혔습니다.
또 “해당 교사의 얼굴이 그대로 노출된 영상이 SNS에 게시돼 2차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교육청에 “수사당국과 협조해 신속하게 해당 영상과 사진을 삭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교사단체, ‘학생 교사 폭행 사건’에 “재발 방지 대책 마련하라”
-
- 입력 2025-04-11 15:57:31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수업 중 교사를 폭행한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교사단체들이 잇따라 교육 당국에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서울특별시교원단체총연합회는 오늘(11일) 낸 성명을 통해 “학생이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를 거부하고 교육활동을 방해하며 폭력까지 가한 현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교육 당국은 무엇보다 피해 교사 보호와 회복을 지원하고, 가해 학생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와 심의를 거쳐 엄중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지난 3월 전국 교원 6천여 명을 대상으로 ‘교권 5법 개정 이후 문제행동 학생이 줄었는지’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86.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며 “이는 법과 제도가 교원을 실질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현실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결코 한 개인의 일탈로만 치부할 수 없다”며 교육 당국에 “문제행동 학생에 대한 즉각적인 분리 및 처벌 강화와 함께 악성 민원으로부터 교원을 보호할 지원 시스템 확충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성명을 내고 교육 당국에 “반복되는 교권 침해 사건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밝혔습니다.
또 “해당 교사의 얼굴이 그대로 노출된 영상이 SNS에 게시돼 2차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교육청에 “수사당국과 협조해 신속하게 해당 영상과 사진을 삭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서울특별시교원단체총연합회는 오늘(11일) 낸 성명을 통해 “학생이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를 거부하고 교육활동을 방해하며 폭력까지 가한 현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교육 당국은 무엇보다 피해 교사 보호와 회복을 지원하고, 가해 학생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와 심의를 거쳐 엄중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지난 3월 전국 교원 6천여 명을 대상으로 ‘교권 5법 개정 이후 문제행동 학생이 줄었는지’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86.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며 “이는 법과 제도가 교원을 실질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현실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결코 한 개인의 일탈로만 치부할 수 없다”며 교육 당국에 “문제행동 학생에 대한 즉각적인 분리 및 처벌 강화와 함께 악성 민원으로부터 교원을 보호할 지원 시스템 확충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성명을 내고 교육 당국에 “반복되는 교권 침해 사건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밝혔습니다.
또 “해당 교사의 얼굴이 그대로 노출된 영상이 SNS에 게시돼 2차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교육청에 “수사당국과 협조해 신속하게 해당 영상과 사진을 삭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