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 또 경신, 금값 3,200 달러 첫 돌파…스위스프랑 10년만에 최고
입력 2025.04.11 (16:34)
수정 2025.04.11 (16: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한때 온스당 3천 20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금 현물 가격은 오늘(11일) 장 중 한때 온스당 3천220.08달러로 상승해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습니다.
금 현물 가격은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우리 시간 오후 3시 58분 기준 전장 대비 0.63% 오른 3천 196.39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금값은 올들어 21% 넘게 올랐고, 상호관세 여파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진 이번 주에만 5%가량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와 달러화 약세, 미 국채 등 달러 표시 자산 매도 분위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집, 지정학적 긴장,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꼽힙니다.
캐피털닷컴의 카일 로다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주시해야 할 가격대로 3천500달러선을 꼽으면서도 곧장 그 가격대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금값이 강세인 반면 달러화는 약세입니다.
유로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가 이날 장 중 한때 99.7을 기록,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스위스프랑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 대비 스위스프랑 가치는 1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주간 거래 종가 대비 6.5원 내린 1,449.9원으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4.415%, 정책금리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는 3.841% 수준입니다.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지만, 범중국 증시는 당국의 시장 부양 기대감 속에 선방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금 현물 가격은 오늘(11일) 장 중 한때 온스당 3천220.08달러로 상승해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습니다.
금 현물 가격은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우리 시간 오후 3시 58분 기준 전장 대비 0.63% 오른 3천 196.39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금값은 올들어 21% 넘게 올랐고, 상호관세 여파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진 이번 주에만 5%가량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와 달러화 약세, 미 국채 등 달러 표시 자산 매도 분위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집, 지정학적 긴장,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꼽힙니다.
캐피털닷컴의 카일 로다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주시해야 할 가격대로 3천500달러선을 꼽으면서도 곧장 그 가격대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금값이 강세인 반면 달러화는 약세입니다.
유로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가 이날 장 중 한때 99.7을 기록,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스위스프랑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 대비 스위스프랑 가치는 1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주간 거래 종가 대비 6.5원 내린 1,449.9원으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4.415%, 정책금리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는 3.841% 수준입니다.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지만, 범중국 증시는 당국의 시장 부양 기대감 속에 선방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고가 또 경신, 금값 3,200 달러 첫 돌파…스위스프랑 10년만에 최고
-
- 입력 2025-04-11 16:34:54
- 수정2025-04-11 16:40:12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국제 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한때 온스당 3천 20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금 현물 가격은 오늘(11일) 장 중 한때 온스당 3천220.08달러로 상승해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습니다.
금 현물 가격은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우리 시간 오후 3시 58분 기준 전장 대비 0.63% 오른 3천 196.39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금값은 올들어 21% 넘게 올랐고, 상호관세 여파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진 이번 주에만 5%가량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와 달러화 약세, 미 국채 등 달러 표시 자산 매도 분위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집, 지정학적 긴장,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꼽힙니다.
캐피털닷컴의 카일 로다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주시해야 할 가격대로 3천500달러선을 꼽으면서도 곧장 그 가격대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금값이 강세인 반면 달러화는 약세입니다.
유로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가 이날 장 중 한때 99.7을 기록,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스위스프랑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 대비 스위스프랑 가치는 1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주간 거래 종가 대비 6.5원 내린 1,449.9원으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4.415%, 정책금리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는 3.841% 수준입니다.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지만, 범중국 증시는 당국의 시장 부양 기대감 속에 선방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금 현물 가격은 오늘(11일) 장 중 한때 온스당 3천220.08달러로 상승해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습니다.
금 현물 가격은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우리 시간 오후 3시 58분 기준 전장 대비 0.63% 오른 3천 196.39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금값은 올들어 21% 넘게 올랐고, 상호관세 여파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진 이번 주에만 5%가량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와 달러화 약세, 미 국채 등 달러 표시 자산 매도 분위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집, 지정학적 긴장,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꼽힙니다.
캐피털닷컴의 카일 로다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주시해야 할 가격대로 3천500달러선을 꼽으면서도 곧장 그 가격대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금값이 강세인 반면 달러화는 약세입니다.
유로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가 이날 장 중 한때 99.7을 기록,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스위스프랑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 대비 스위스프랑 가치는 1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주간 거래 종가 대비 6.5원 내린 1,449.9원으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4.415%, 정책금리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는 3.841% 수준입니다.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지만, 범중국 증시는 당국의 시장 부양 기대감 속에 선방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