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 “200억 달러 IMF 구제금융 확보”
입력 2025.04.12 (08:51)
수정 2025.04.12 (09: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경제난과 외화보유액 부족에 신음하는 아르헨티나가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국제 금융기구로부터 최대 420억 달러(59조 8천억 원 상당) 구제금융·대출 패키지 지원을 받게 될 전망입니다.
루이스 카푸토 아르헨티나 경제부 장관은 현지 시각 11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IMF 이사회는 아르헨티나와의 새로운 구제금융 협정을 승인하고 중앙은행(BCRA) 보유 자산 비율 조정과 부채 상환을 위해 200억 달러(28조 5천억 원 상당)를 아르헨티나에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카푸토 장관은 이 확대금융(EFF·Extended Fund Facility) 프로그램상 150억 달러가 초기 지급되고 나머지는 일정 기간(전체 120개월)마다 지원될 예정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평균 이자율은 5.63%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과감한 경제개혁 정책이 아르헨티나 거시경제 안정화에 기여했다는 것을 IMF에서 높이 평가했다”면서 정부 재정구조 유연화와 2025년 회계연도부터 외국인 주주에 대한 신규 이익 분배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또 엄격한 기준으로 유지하던 외환통제를 철폐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자유 환율시장(MLC)에서의 환율은 1달러당 1,000∼1,400페소 변동 폭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됐다고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별도 보도자료를 통해 부연했습니다.
또 월 200달러로 묶었던 개인 월 환전 한도는 다음 주부터 폐지한다고 아르헨티나 경제 장관은 덧붙였습니다.
카푸토 장관은 “우리는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 숨통을 터 줌으로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촉진할 수 있고 확신한다”며 “밀레이 정부는 금융 시장 부문에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이와 별개로 세계은행과 미주개발은행이 아르헨티나를 위한 120억 달러(17조 1천억 원 상당)와 100억 달러(14조 2천억 원 상당) 규모 다년 금융 지원 패키지를 마련했다고 아르헨티나 정부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3개 기관 지원 총액은 420억 달러 규모입니다.
AP통신은 아르헨티나가 IMF와 구제금융 지원 관련 합의를 한 건 이번이 23번째라고 전했습니다.
‘9차례 디폴트’(채무 불이행)의 불명예 기록을 가진 아르헨티나는 IMF 최대 ‘채무국’입니다.
2023년 12월 취임한 밀레이 대통령은 고강도 재정 균형 정책, 공공 보조금 축소, 페소화 평가 절하 등 ‘전기톱 개혁’으로 대변되는 충격 요법으로 거시경제 지표 안정화에 안간힘을 썼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 취약계층과 전국 단위 노조, 은퇴자, 대학생들의 거센 저항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지 일간 클라린은 “정부 정책에 대한 반감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외관 거래 통제의 빗장을 갑자기 열어버릴 경우 수년간 억눌렸던 달러 수요가 폭발하면서 자본 이탈을 불러올 수도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최대 골칫거리로 꼽히는 물가 지표는 다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이날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청(INDEC)은 3월 소비자물가지수(IPC)가 전월 대비 3.7% 상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3.5%)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교육비(21.6%), 식료품비(5.9%), 의복비(4.6%), 외식비(3.9%) 등 체감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정부 발표 숫자’와는 달리 국민들의 우려는 더 커질 수 있다고 현지 방송 토도노티시아스는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루이스 카푸토 아르헨티나 경제부 장관은 현지 시각 11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IMF 이사회는 아르헨티나와의 새로운 구제금융 협정을 승인하고 중앙은행(BCRA) 보유 자산 비율 조정과 부채 상환을 위해 200억 달러(28조 5천억 원 상당)를 아르헨티나에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카푸토 장관은 이 확대금융(EFF·Extended Fund Facility) 프로그램상 150억 달러가 초기 지급되고 나머지는 일정 기간(전체 120개월)마다 지원될 예정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평균 이자율은 5.63%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과감한 경제개혁 정책이 아르헨티나 거시경제 안정화에 기여했다는 것을 IMF에서 높이 평가했다”면서 정부 재정구조 유연화와 2025년 회계연도부터 외국인 주주에 대한 신규 이익 분배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또 엄격한 기준으로 유지하던 외환통제를 철폐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자유 환율시장(MLC)에서의 환율은 1달러당 1,000∼1,400페소 변동 폭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됐다고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별도 보도자료를 통해 부연했습니다.
또 월 200달러로 묶었던 개인 월 환전 한도는 다음 주부터 폐지한다고 아르헨티나 경제 장관은 덧붙였습니다.
카푸토 장관은 “우리는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 숨통을 터 줌으로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촉진할 수 있고 확신한다”며 “밀레이 정부는 금융 시장 부문에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이와 별개로 세계은행과 미주개발은행이 아르헨티나를 위한 120억 달러(17조 1천억 원 상당)와 100억 달러(14조 2천억 원 상당) 규모 다년 금융 지원 패키지를 마련했다고 아르헨티나 정부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3개 기관 지원 총액은 420억 달러 규모입니다.
AP통신은 아르헨티나가 IMF와 구제금융 지원 관련 합의를 한 건 이번이 23번째라고 전했습니다.
‘9차례 디폴트’(채무 불이행)의 불명예 기록을 가진 아르헨티나는 IMF 최대 ‘채무국’입니다.
2023년 12월 취임한 밀레이 대통령은 고강도 재정 균형 정책, 공공 보조금 축소, 페소화 평가 절하 등 ‘전기톱 개혁’으로 대변되는 충격 요법으로 거시경제 지표 안정화에 안간힘을 썼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 취약계층과 전국 단위 노조, 은퇴자, 대학생들의 거센 저항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지 일간 클라린은 “정부 정책에 대한 반감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외관 거래 통제의 빗장을 갑자기 열어버릴 경우 수년간 억눌렸던 달러 수요가 폭발하면서 자본 이탈을 불러올 수도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최대 골칫거리로 꼽히는 물가 지표는 다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이날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청(INDEC)은 3월 소비자물가지수(IPC)가 전월 대비 3.7% 상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3.5%)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교육비(21.6%), 식료품비(5.9%), 의복비(4.6%), 외식비(3.9%) 등 체감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정부 발표 숫자’와는 달리 국민들의 우려는 더 커질 수 있다고 현지 방송 토도노티시아스는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르헨 “200억 달러 IMF 구제금융 확보”
-
- 입력 2025-04-12 08:51:24
- 수정2025-04-12 09:38:21

만성적인 경제난과 외화보유액 부족에 신음하는 아르헨티나가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국제 금융기구로부터 최대 420억 달러(59조 8천억 원 상당) 구제금융·대출 패키지 지원을 받게 될 전망입니다.
루이스 카푸토 아르헨티나 경제부 장관은 현지 시각 11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IMF 이사회는 아르헨티나와의 새로운 구제금융 협정을 승인하고 중앙은행(BCRA) 보유 자산 비율 조정과 부채 상환을 위해 200억 달러(28조 5천억 원 상당)를 아르헨티나에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카푸토 장관은 이 확대금융(EFF·Extended Fund Facility) 프로그램상 150억 달러가 초기 지급되고 나머지는 일정 기간(전체 120개월)마다 지원될 예정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평균 이자율은 5.63%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과감한 경제개혁 정책이 아르헨티나 거시경제 안정화에 기여했다는 것을 IMF에서 높이 평가했다”면서 정부 재정구조 유연화와 2025년 회계연도부터 외국인 주주에 대한 신규 이익 분배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또 엄격한 기준으로 유지하던 외환통제를 철폐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자유 환율시장(MLC)에서의 환율은 1달러당 1,000∼1,400페소 변동 폭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됐다고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별도 보도자료를 통해 부연했습니다.
또 월 200달러로 묶었던 개인 월 환전 한도는 다음 주부터 폐지한다고 아르헨티나 경제 장관은 덧붙였습니다.
카푸토 장관은 “우리는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 숨통을 터 줌으로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촉진할 수 있고 확신한다”며 “밀레이 정부는 금융 시장 부문에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이와 별개로 세계은행과 미주개발은행이 아르헨티나를 위한 120억 달러(17조 1천억 원 상당)와 100억 달러(14조 2천억 원 상당) 규모 다년 금융 지원 패키지를 마련했다고 아르헨티나 정부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3개 기관 지원 총액은 420억 달러 규모입니다.
AP통신은 아르헨티나가 IMF와 구제금융 지원 관련 합의를 한 건 이번이 23번째라고 전했습니다.
‘9차례 디폴트’(채무 불이행)의 불명예 기록을 가진 아르헨티나는 IMF 최대 ‘채무국’입니다.
2023년 12월 취임한 밀레이 대통령은 고강도 재정 균형 정책, 공공 보조금 축소, 페소화 평가 절하 등 ‘전기톱 개혁’으로 대변되는 충격 요법으로 거시경제 지표 안정화에 안간힘을 썼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 취약계층과 전국 단위 노조, 은퇴자, 대학생들의 거센 저항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지 일간 클라린은 “정부 정책에 대한 반감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외관 거래 통제의 빗장을 갑자기 열어버릴 경우 수년간 억눌렸던 달러 수요가 폭발하면서 자본 이탈을 불러올 수도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최대 골칫거리로 꼽히는 물가 지표는 다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이날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청(INDEC)은 3월 소비자물가지수(IPC)가 전월 대비 3.7% 상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3.5%)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교육비(21.6%), 식료품비(5.9%), 의복비(4.6%), 외식비(3.9%) 등 체감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정부 발표 숫자’와는 달리 국민들의 우려는 더 커질 수 있다고 현지 방송 토도노티시아스는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루이스 카푸토 아르헨티나 경제부 장관은 현지 시각 11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IMF 이사회는 아르헨티나와의 새로운 구제금융 협정을 승인하고 중앙은행(BCRA) 보유 자산 비율 조정과 부채 상환을 위해 200억 달러(28조 5천억 원 상당)를 아르헨티나에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카푸토 장관은 이 확대금융(EFF·Extended Fund Facility) 프로그램상 150억 달러가 초기 지급되고 나머지는 일정 기간(전체 120개월)마다 지원될 예정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평균 이자율은 5.63%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과감한 경제개혁 정책이 아르헨티나 거시경제 안정화에 기여했다는 것을 IMF에서 높이 평가했다”면서 정부 재정구조 유연화와 2025년 회계연도부터 외국인 주주에 대한 신규 이익 분배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또 엄격한 기준으로 유지하던 외환통제를 철폐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자유 환율시장(MLC)에서의 환율은 1달러당 1,000∼1,400페소 변동 폭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됐다고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별도 보도자료를 통해 부연했습니다.
또 월 200달러로 묶었던 개인 월 환전 한도는 다음 주부터 폐지한다고 아르헨티나 경제 장관은 덧붙였습니다.
카푸토 장관은 “우리는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 숨통을 터 줌으로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촉진할 수 있고 확신한다”며 “밀레이 정부는 금융 시장 부문에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이와 별개로 세계은행과 미주개발은행이 아르헨티나를 위한 120억 달러(17조 1천억 원 상당)와 100억 달러(14조 2천억 원 상당) 규모 다년 금융 지원 패키지를 마련했다고 아르헨티나 정부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3개 기관 지원 총액은 420억 달러 규모입니다.
AP통신은 아르헨티나가 IMF와 구제금융 지원 관련 합의를 한 건 이번이 23번째라고 전했습니다.
‘9차례 디폴트’(채무 불이행)의 불명예 기록을 가진 아르헨티나는 IMF 최대 ‘채무국’입니다.
2023년 12월 취임한 밀레이 대통령은 고강도 재정 균형 정책, 공공 보조금 축소, 페소화 평가 절하 등 ‘전기톱 개혁’으로 대변되는 충격 요법으로 거시경제 지표 안정화에 안간힘을 썼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 취약계층과 전국 단위 노조, 은퇴자, 대학생들의 거센 저항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지 일간 클라린은 “정부 정책에 대한 반감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외관 거래 통제의 빗장을 갑자기 열어버릴 경우 수년간 억눌렸던 달러 수요가 폭발하면서 자본 이탈을 불러올 수도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아르헨티나 최대 골칫거리로 꼽히는 물가 지표는 다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이날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청(INDEC)은 3월 소비자물가지수(IPC)가 전월 대비 3.7% 상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3.5%)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교육비(21.6%), 식료품비(5.9%), 의복비(4.6%), 외식비(3.9%) 등 체감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정부 발표 숫자’와는 달리 국민들의 우려는 더 커질 수 있다고 현지 방송 토도노티시아스는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