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란, 10년만에 핵협상…우호적 분위기 속 19일 재개
입력 2025.04.13 (00:18)
수정 2025.04.13 (06: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이란이 현지 시각 12일 오만에서 10년 만에 최고위급 핵협상을 시작했습니다.
당장 결론을 내지는 못했으나 양측은 첫 만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다음 주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로이터, AP, AFP 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시작된 미국과 이란 간의 핵협상은 약 2시간 만에 종료됐습니다.
미국 측 대표단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담당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이란 측은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이 이끌었습니다.
아락치 장관은 협상 종료 후 이란 국영 IRIB 방송과 인터뷰에서 두 번째 핵협상이 한 주 뒤인 오는 19일 오만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락치 장관은 "협상 틀을 마련하는 데 매우 근접했다"며 "오늘 회담의 분위기는 회담의 지속성과 진전을 보장할 만큼 긍정적이었다. 다음 회의에서 협상의 기초를 확정할 수 있다면, 우리는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회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졌다"며 "상호 이익이 되는 결과를 이루기 위한 진전된 한 걸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핵협상은 오만 외무장관의 중재 속에 간접적인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양측 대표단은 각각 별도의 공간에 머무르며, 오만 외무장관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았습니다.
다만 협상 말미에는 양쪽 대표단이 잠시 직접 대화를 나눴다고 이란 국영 TV가 보도했습니다.
오만 정부 소식통은 "이번 회담의 핵심 목표는 지역 긴장 완화, 포로 교환, 이란의 핵 프로그램 통제를 조건으로 한 제재 일부 완화"라고 전했으나 이란 측은 이를 부인했습니다.
다만 어떤 부분이 사실과 다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란의 한 당국자는 "이번 회담은 오로지 핵 문제에 관한 것으로서, 회담의 지속 기간은 미국 측의 진지함과 선의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에 말했습니다.
이번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앞서 지난달 '2개월 시한'을 제시하는 서한을 보내며 이란을 압박하는 와중에 이뤄지는 겁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당장 결론을 내지는 못했으나 양측은 첫 만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다음 주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로이터, AP, AFP 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시작된 미국과 이란 간의 핵협상은 약 2시간 만에 종료됐습니다.
미국 측 대표단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담당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이란 측은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이 이끌었습니다.
아락치 장관은 협상 종료 후 이란 국영 IRIB 방송과 인터뷰에서 두 번째 핵협상이 한 주 뒤인 오는 19일 오만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락치 장관은 "협상 틀을 마련하는 데 매우 근접했다"며 "오늘 회담의 분위기는 회담의 지속성과 진전을 보장할 만큼 긍정적이었다. 다음 회의에서 협상의 기초를 확정할 수 있다면, 우리는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회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졌다"며 "상호 이익이 되는 결과를 이루기 위한 진전된 한 걸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핵협상은 오만 외무장관의 중재 속에 간접적인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양측 대표단은 각각 별도의 공간에 머무르며, 오만 외무장관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았습니다.
다만 협상 말미에는 양쪽 대표단이 잠시 직접 대화를 나눴다고 이란 국영 TV가 보도했습니다.
오만 정부 소식통은 "이번 회담의 핵심 목표는 지역 긴장 완화, 포로 교환, 이란의 핵 프로그램 통제를 조건으로 한 제재 일부 완화"라고 전했으나 이란 측은 이를 부인했습니다.
다만 어떤 부분이 사실과 다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란의 한 당국자는 "이번 회담은 오로지 핵 문제에 관한 것으로서, 회담의 지속 기간은 미국 측의 진지함과 선의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에 말했습니다.
이번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앞서 지난달 '2개월 시한'을 제시하는 서한을 보내며 이란을 압박하는 와중에 이뤄지는 겁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이란, 10년만에 핵협상…우호적 분위기 속 19일 재개
-
- 입력 2025-04-13 00:18:09
- 수정2025-04-13 06:58:37

미국과 이란이 현지 시각 12일 오만에서 10년 만에 최고위급 핵협상을 시작했습니다.
당장 결론을 내지는 못했으나 양측은 첫 만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다음 주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로이터, AP, AFP 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시작된 미국과 이란 간의 핵협상은 약 2시간 만에 종료됐습니다.
미국 측 대표단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담당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이란 측은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이 이끌었습니다.
아락치 장관은 협상 종료 후 이란 국영 IRIB 방송과 인터뷰에서 두 번째 핵협상이 한 주 뒤인 오는 19일 오만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락치 장관은 "협상 틀을 마련하는 데 매우 근접했다"며 "오늘 회담의 분위기는 회담의 지속성과 진전을 보장할 만큼 긍정적이었다. 다음 회의에서 협상의 기초를 확정할 수 있다면, 우리는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회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졌다"며 "상호 이익이 되는 결과를 이루기 위한 진전된 한 걸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핵협상은 오만 외무장관의 중재 속에 간접적인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양측 대표단은 각각 별도의 공간에 머무르며, 오만 외무장관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았습니다.
다만 협상 말미에는 양쪽 대표단이 잠시 직접 대화를 나눴다고 이란 국영 TV가 보도했습니다.
오만 정부 소식통은 "이번 회담의 핵심 목표는 지역 긴장 완화, 포로 교환, 이란의 핵 프로그램 통제를 조건으로 한 제재 일부 완화"라고 전했으나 이란 측은 이를 부인했습니다.
다만 어떤 부분이 사실과 다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란의 한 당국자는 "이번 회담은 오로지 핵 문제에 관한 것으로서, 회담의 지속 기간은 미국 측의 진지함과 선의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에 말했습니다.
이번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앞서 지난달 '2개월 시한'을 제시하는 서한을 보내며 이란을 압박하는 와중에 이뤄지는 겁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당장 결론을 내지는 못했으나 양측은 첫 만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다음 주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로이터, AP, AFP 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시작된 미국과 이란 간의 핵협상은 약 2시간 만에 종료됐습니다.
미국 측 대표단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담당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이란 측은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이 이끌었습니다.
아락치 장관은 협상 종료 후 이란 국영 IRIB 방송과 인터뷰에서 두 번째 핵협상이 한 주 뒤인 오는 19일 오만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락치 장관은 "협상 틀을 마련하는 데 매우 근접했다"며 "오늘 회담의 분위기는 회담의 지속성과 진전을 보장할 만큼 긍정적이었다. 다음 회의에서 협상의 기초를 확정할 수 있다면, 우리는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회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졌다"며 "상호 이익이 되는 결과를 이루기 위한 진전된 한 걸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핵협상은 오만 외무장관의 중재 속에 간접적인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양측 대표단은 각각 별도의 공간에 머무르며, 오만 외무장관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았습니다.
다만 협상 말미에는 양쪽 대표단이 잠시 직접 대화를 나눴다고 이란 국영 TV가 보도했습니다.
오만 정부 소식통은 "이번 회담의 핵심 목표는 지역 긴장 완화, 포로 교환, 이란의 핵 프로그램 통제를 조건으로 한 제재 일부 완화"라고 전했으나 이란 측은 이를 부인했습니다.
다만 어떤 부분이 사실과 다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란의 한 당국자는 "이번 회담은 오로지 핵 문제에 관한 것으로서, 회담의 지속 기간은 미국 측의 진지함과 선의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에 말했습니다.
이번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앞서 지난달 '2개월 시한'을 제시하는 서한을 보내며 이란을 압박하는 와중에 이뤄지는 겁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계현우 기자 kye@kbs.co.kr
계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