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치료제 없는 참진드기 감염…질병청 “감시 시작”

입력 2025.04.14 (14:36) 수정 2025.04.14 (14: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위험이 높은 계절을 맞아 주요 매개체인 참진드기 발생 감시를 시작한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올해 참진드기 감시 사업은 질병청 질병대응센터와 보건환경연구원,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거점센터가 협업해 전국 23개 지점에서 수행합니다.

참진드기는 유충·약충·성충 단계에서 각기 다른 숙주에 기생해 흡혈하는 습성을 지닙니다.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부터 약충이 활동을 시작해 여름에는 성충이 산란하고 가을에는 주로 유충이 발생하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국내에서는 SFTS를 매개하는 참진드기 중 작은참소피진드기가 가장 많이 서식합니다.

SFTS는 주로 4∼11월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게 물려 걸립니다. 물린 후 5∼14일 안에 고열이나 오심, 구토, 설사 등 소화기 관련 증상이 나타납니다.

국내에선 2013년 SFTS 첫 환자가 보고된 후 지난해까지 총 2,065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가운데 381명(치명률 18.5%)이 사망했습니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예방하는 게 최선입니다.

참진드기를 피하려면 풀밭에서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않아야 하고, 발목 이상 높이의 풀밭에는 들어가지 않는 게 좋습니다.

또 야외 활동을 할 때는 긴소매의 옷과 긴바지를 입고, 집에 돌아와서는 샤워하면서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관찰하는 게 좋습니다.

만약 몸에 붙은 참진드기를 발견했을 때는 2차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안전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질병관리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신·치료제 없는 참진드기 감염…질병청 “감시 시작”
    • 입력 2025-04-14 14:36:50
    • 수정2025-04-14 14:38:34
    사회
질병관리청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위험이 높은 계절을 맞아 주요 매개체인 참진드기 발생 감시를 시작한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올해 참진드기 감시 사업은 질병청 질병대응센터와 보건환경연구원,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거점센터가 협업해 전국 23개 지점에서 수행합니다.

참진드기는 유충·약충·성충 단계에서 각기 다른 숙주에 기생해 흡혈하는 습성을 지닙니다.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부터 약충이 활동을 시작해 여름에는 성충이 산란하고 가을에는 주로 유충이 발생하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국내에서는 SFTS를 매개하는 참진드기 중 작은참소피진드기가 가장 많이 서식합니다.

SFTS는 주로 4∼11월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게 물려 걸립니다. 물린 후 5∼14일 안에 고열이나 오심, 구토, 설사 등 소화기 관련 증상이 나타납니다.

국내에선 2013년 SFTS 첫 환자가 보고된 후 지난해까지 총 2,065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가운데 381명(치명률 18.5%)이 사망했습니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예방하는 게 최선입니다.

참진드기를 피하려면 풀밭에서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않아야 하고, 발목 이상 높이의 풀밭에는 들어가지 않는 게 좋습니다.

또 야외 활동을 할 때는 긴소매의 옷과 긴바지를 입고, 집에 돌아와서는 샤워하면서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관찰하는 게 좋습니다.

만약 몸에 붙은 참진드기를 발견했을 때는 2차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안전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질병관리청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