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하수관 30%가 50년 넘어…교체 시급
입력 2025.04.15 (08:51)
수정 2025.04.15 (10: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에 매설된 하수관로의 30%가 50년을 넘긴 노후 하수관으로 조사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 886km 가운데 5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는 3,300km(30.4%)에 이르렀습니다.
또 30년 넘은 하수관로는 6,028km로 55.5%에 이르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중은 종로구가 53.5%로 노후화가 가장 심했고, 다음은 용산구(48.5%),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구로구(43.5%), 성동구(42.2%) 등입니다.
30년 이상 하수관으로 따져도 종로구가 66.3%로 비중이 가장 컸고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순입니다.
노후 하수관 교체가 시급하지만 문제는 예산입니다.
서울시는 매년 2,000억 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100km가량을 정비하는데 노후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이 때문에 시는 본래 투입하는 하수도 특별회계 예산 외에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 886km 가운데 5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는 3,300km(30.4%)에 이르렀습니다.
또 30년 넘은 하수관로는 6,028km로 55.5%에 이르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중은 종로구가 53.5%로 노후화가 가장 심했고, 다음은 용산구(48.5%),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구로구(43.5%), 성동구(42.2%) 등입니다.
30년 이상 하수관으로 따져도 종로구가 66.3%로 비중이 가장 컸고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순입니다.
노후 하수관 교체가 시급하지만 문제는 예산입니다.
서울시는 매년 2,000억 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100km가량을 정비하는데 노후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이 때문에 시는 본래 투입하는 하수도 특별회계 예산 외에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하수관 30%가 50년 넘어…교체 시급
-
- 입력 2025-04-15 08:51:17
- 수정2025-04-15 10:43:58

서울에 매설된 하수관로의 30%가 50년을 넘긴 노후 하수관으로 조사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 886km 가운데 5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는 3,300km(30.4%)에 이르렀습니다.
또 30년 넘은 하수관로는 6,028km로 55.5%에 이르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중은 종로구가 53.5%로 노후화가 가장 심했고, 다음은 용산구(48.5%),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구로구(43.5%), 성동구(42.2%) 등입니다.
30년 이상 하수관으로 따져도 종로구가 66.3%로 비중이 가장 컸고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순입니다.
노후 하수관 교체가 시급하지만 문제는 예산입니다.
서울시는 매년 2,000억 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100km가량을 정비하는데 노후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이 때문에 시는 본래 투입하는 하수도 특별회계 예산 외에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 886km 가운데 5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는 3,300km(30.4%)에 이르렀습니다.
또 30년 넘은 하수관로는 6,028km로 55.5%에 이르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중은 종로구가 53.5%로 노후화가 가장 심했고, 다음은 용산구(48.5%),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구로구(43.5%), 성동구(42.2%) 등입니다.
30년 이상 하수관으로 따져도 종로구가 66.3%로 비중이 가장 컸고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순입니다.
노후 하수관 교체가 시급하지만 문제는 예산입니다.
서울시는 매년 2,000억 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100km가량을 정비하는데 노후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이 때문에 시는 본래 투입하는 하수도 특별회계 예산 외에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