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비자 탓에?…“불법 체류자로 내몰려”
입력 2025.04.16 (07:44)
수정 2025.04.16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술력이 있는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취업 비자를 통해 조선소에 취업한 이주 노동자가 울산에만 3천 명이 넘습니다.
그런데 일부 이주 노동자들은 1년 만에 일터를 잃고 재취업도 힘들어 불법 체류를 택하기도 하는데요,
어찌 된 일인지, 김옥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생계를 위해 자녀 3명을 스리랑카에 두고 지난해 한국에 들어온 마두마 파타벤디게 씨.
대출받은 3천5백만 원으로 용접 기술을 배워 E-7 비자도 취득했습니다.
기술력이 있는 외국인이 최대 4년 10개월간 국내에 머물 수 있는 취업 비자입니다.
이 비자로 울산의 조선소에 취업한 파타벤디게 씨는 1년 3개월 만에 재계약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마두마 파타벤디게 차라즈/이주노동자 : "한국말 공부하고, (한국어시험) 3단계까지 합격했어요. 우리 6개월 용접 배운 시간 있어요. 내가 잘 배운 거 (이주 노동자들에게) 알려준 적 있어요."]
파타벤디게 씨와 같은 이주 노동자들은 E-7 비자를 유지하기도 어렵습니다.
다니던 회사와 계약이 끝나기 전 이직을 해야하는데, 휴업 또는 폐업, 임금체불 등의 사유가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구직 비자를 따로 발급받아 6개월 안에 재취업하지 못하면 더 이상 국내에 체류하기도 힘듭니다.
문제는 조선·해양협회의 추천서가 필요한 데다, 일자리를 얻는 동안 다른 근로 활동을 할 수 없다는 겁니다.
생계가 급한 이주 노동자들이 불법 체류로 내몰리는 이유입니다.
[무디사 마노즈/이주노동자 : "우리 불법으로 일하기 싫어요. 이렇게 일하는 거 우린 싫어요. 이렇게 되면 너무 무서워요. 언제 잡히고 언제 (돌아)갈지 몰라요."]
이 때문에 인력난 해소를 위해 도입한 외국인 취업 비자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김현주/울산 이주민센터 센터장 : "다른 데 어디 미등록으로 가서 일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으로, 이분들을 지금 몰고 있는 거예요. 근데 정부는 지금 이분들(한테) 어떻게 해요? 또 미등록은 단속한다고 하잖아요."]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주 노동자들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단기 계약을 할 수밖에 없다며, 재계약하지 않는 노동자도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
기술력이 있는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취업 비자를 통해 조선소에 취업한 이주 노동자가 울산에만 3천 명이 넘습니다.
그런데 일부 이주 노동자들은 1년 만에 일터를 잃고 재취업도 힘들어 불법 체류를 택하기도 하는데요,
어찌 된 일인지, 김옥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생계를 위해 자녀 3명을 스리랑카에 두고 지난해 한국에 들어온 마두마 파타벤디게 씨.
대출받은 3천5백만 원으로 용접 기술을 배워 E-7 비자도 취득했습니다.
기술력이 있는 외국인이 최대 4년 10개월간 국내에 머물 수 있는 취업 비자입니다.
이 비자로 울산의 조선소에 취업한 파타벤디게 씨는 1년 3개월 만에 재계약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마두마 파타벤디게 차라즈/이주노동자 : "한국말 공부하고, (한국어시험) 3단계까지 합격했어요. 우리 6개월 용접 배운 시간 있어요. 내가 잘 배운 거 (이주 노동자들에게) 알려준 적 있어요."]
파타벤디게 씨와 같은 이주 노동자들은 E-7 비자를 유지하기도 어렵습니다.
다니던 회사와 계약이 끝나기 전 이직을 해야하는데, 휴업 또는 폐업, 임금체불 등의 사유가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구직 비자를 따로 발급받아 6개월 안에 재취업하지 못하면 더 이상 국내에 체류하기도 힘듭니다.
문제는 조선·해양협회의 추천서가 필요한 데다, 일자리를 얻는 동안 다른 근로 활동을 할 수 없다는 겁니다.
생계가 급한 이주 노동자들이 불법 체류로 내몰리는 이유입니다.
[무디사 마노즈/이주노동자 : "우리 불법으로 일하기 싫어요. 이렇게 일하는 거 우린 싫어요. 이렇게 되면 너무 무서워요. 언제 잡히고 언제 (돌아)갈지 몰라요."]
이 때문에 인력난 해소를 위해 도입한 외국인 취업 비자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김현주/울산 이주민센터 센터장 : "다른 데 어디 미등록으로 가서 일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으로, 이분들을 지금 몰고 있는 거예요. 근데 정부는 지금 이분들(한테) 어떻게 해요? 또 미등록은 단속한다고 하잖아요."]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주 노동자들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단기 계약을 할 수밖에 없다며, 재계약하지 않는 노동자도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업 비자 탓에?…“불법 체류자로 내몰려”
-
- 입력 2025-04-16 07:44:18
- 수정2025-04-16 07:55:08

[앵커]
기술력이 있는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취업 비자를 통해 조선소에 취업한 이주 노동자가 울산에만 3천 명이 넘습니다.
그런데 일부 이주 노동자들은 1년 만에 일터를 잃고 재취업도 힘들어 불법 체류를 택하기도 하는데요,
어찌 된 일인지, 김옥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생계를 위해 자녀 3명을 스리랑카에 두고 지난해 한국에 들어온 마두마 파타벤디게 씨.
대출받은 3천5백만 원으로 용접 기술을 배워 E-7 비자도 취득했습니다.
기술력이 있는 외국인이 최대 4년 10개월간 국내에 머물 수 있는 취업 비자입니다.
이 비자로 울산의 조선소에 취업한 파타벤디게 씨는 1년 3개월 만에 재계약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마두마 파타벤디게 차라즈/이주노동자 : "한국말 공부하고, (한국어시험) 3단계까지 합격했어요. 우리 6개월 용접 배운 시간 있어요. 내가 잘 배운 거 (이주 노동자들에게) 알려준 적 있어요."]
파타벤디게 씨와 같은 이주 노동자들은 E-7 비자를 유지하기도 어렵습니다.
다니던 회사와 계약이 끝나기 전 이직을 해야하는데, 휴업 또는 폐업, 임금체불 등의 사유가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구직 비자를 따로 발급받아 6개월 안에 재취업하지 못하면 더 이상 국내에 체류하기도 힘듭니다.
문제는 조선·해양협회의 추천서가 필요한 데다, 일자리를 얻는 동안 다른 근로 활동을 할 수 없다는 겁니다.
생계가 급한 이주 노동자들이 불법 체류로 내몰리는 이유입니다.
[무디사 마노즈/이주노동자 : "우리 불법으로 일하기 싫어요. 이렇게 일하는 거 우린 싫어요. 이렇게 되면 너무 무서워요. 언제 잡히고 언제 (돌아)갈지 몰라요."]
이 때문에 인력난 해소를 위해 도입한 외국인 취업 비자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김현주/울산 이주민센터 센터장 : "다른 데 어디 미등록으로 가서 일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으로, 이분들을 지금 몰고 있는 거예요. 근데 정부는 지금 이분들(한테) 어떻게 해요? 또 미등록은 단속한다고 하잖아요."]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주 노동자들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단기 계약을 할 수밖에 없다며, 재계약하지 않는 노동자도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
기술력이 있는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취업 비자를 통해 조선소에 취업한 이주 노동자가 울산에만 3천 명이 넘습니다.
그런데 일부 이주 노동자들은 1년 만에 일터를 잃고 재취업도 힘들어 불법 체류를 택하기도 하는데요,
어찌 된 일인지, 김옥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생계를 위해 자녀 3명을 스리랑카에 두고 지난해 한국에 들어온 마두마 파타벤디게 씨.
대출받은 3천5백만 원으로 용접 기술을 배워 E-7 비자도 취득했습니다.
기술력이 있는 외국인이 최대 4년 10개월간 국내에 머물 수 있는 취업 비자입니다.
이 비자로 울산의 조선소에 취업한 파타벤디게 씨는 1년 3개월 만에 재계약하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마두마 파타벤디게 차라즈/이주노동자 : "한국말 공부하고, (한국어시험) 3단계까지 합격했어요. 우리 6개월 용접 배운 시간 있어요. 내가 잘 배운 거 (이주 노동자들에게) 알려준 적 있어요."]
파타벤디게 씨와 같은 이주 노동자들은 E-7 비자를 유지하기도 어렵습니다.
다니던 회사와 계약이 끝나기 전 이직을 해야하는데, 휴업 또는 폐업, 임금체불 등의 사유가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구직 비자를 따로 발급받아 6개월 안에 재취업하지 못하면 더 이상 국내에 체류하기도 힘듭니다.
문제는 조선·해양협회의 추천서가 필요한 데다, 일자리를 얻는 동안 다른 근로 활동을 할 수 없다는 겁니다.
생계가 급한 이주 노동자들이 불법 체류로 내몰리는 이유입니다.
[무디사 마노즈/이주노동자 : "우리 불법으로 일하기 싫어요. 이렇게 일하는 거 우린 싫어요. 이렇게 되면 너무 무서워요. 언제 잡히고 언제 (돌아)갈지 몰라요."]
이 때문에 인력난 해소를 위해 도입한 외국인 취업 비자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김현주/울산 이주민센터 센터장 : "다른 데 어디 미등록으로 가서 일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으로, 이분들을 지금 몰고 있는 거예요. 근데 정부는 지금 이분들(한테) 어떻게 해요? 또 미등록은 단속한다고 하잖아요."]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주 노동자들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단기 계약을 할 수밖에 없다며, 재계약하지 않는 노동자도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
-
-
김옥천 기자 hub@kbs.co.kr
김옥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