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교육 지자체 협력 필수…‘기대·우려’ 교차
입력 2025.04.17 (19:27)
수정 2025.04.17 (1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IB 교육을 활성화하려면 학교와 교육 당국 의지도 중요하지만, 자치단체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무엇보다 IB 도입을 둘러싼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만큼 사회적 합의도 필요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와 제주를 시작으로 국내 공교육에 IB가 도입된 건 2019년입니다.
특히 2021년 국내 첫 월드스쿨이 나온 대구는 IB 교육의 메카로 꼽힙니다.
이렇게 대구에 IB 교육이 활성화된 건 자치단체 지원도 한몫했습니다.
대구시가 경북대와 대구교육대학에 예산 30억 원을 지원했고, IB 교육 전문가 양성기관으로 인증된 두 대학은 해마다 IB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 150여 명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혜정/대구시교육청 미래교육과장 : "(IB 교육) 프로그램을 고도화시켜서 우리나라를 넘어서서 전 세계적으로 공교육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지속 가능성 고도화에 저희들이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IB 도입 학교가 172곳으로, 국내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은 경기도에도 자치단체 지원이 있었습니다.
[김영관/경기도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교육과장 : "IB 운영교의 월드스쿨 진입 지원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여 IB 운영교 예산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지원하고자 노력하였고…."]
IB 교육에 대한 기대만큼 우려 섞인 시각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IB 학교는 해마다 천만 원이 넘는 로열티를 내야 해 교육 예산에 부담이 되고 학교 서열화 우려도 나옵니다.
또, IB 프로그램이 정말로 좋다면 기존 우리 교육과정에 반영하면 될 일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형빈/가톨릭관동대 교직과 교수 : "(IB는)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완벽한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그런 좋은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 나가고 그 선생님들이 잘 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원하고 이러한 기본을 다져나가는 것들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결국,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IB 교육을 강원도에 도입하려면, 학교 구성원들의 동의는 물론 사회적 합의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IB 교육을 활성화하려면 학교와 교육 당국 의지도 중요하지만, 자치단체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무엇보다 IB 도입을 둘러싼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만큼 사회적 합의도 필요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와 제주를 시작으로 국내 공교육에 IB가 도입된 건 2019년입니다.
특히 2021년 국내 첫 월드스쿨이 나온 대구는 IB 교육의 메카로 꼽힙니다.
이렇게 대구에 IB 교육이 활성화된 건 자치단체 지원도 한몫했습니다.
대구시가 경북대와 대구교육대학에 예산 30억 원을 지원했고, IB 교육 전문가 양성기관으로 인증된 두 대학은 해마다 IB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 150여 명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혜정/대구시교육청 미래교육과장 : "(IB 교육) 프로그램을 고도화시켜서 우리나라를 넘어서서 전 세계적으로 공교육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지속 가능성 고도화에 저희들이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IB 도입 학교가 172곳으로, 국내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은 경기도에도 자치단체 지원이 있었습니다.
[김영관/경기도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교육과장 : "IB 운영교의 월드스쿨 진입 지원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여 IB 운영교 예산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지원하고자 노력하였고…."]
IB 교육에 대한 기대만큼 우려 섞인 시각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IB 학교는 해마다 천만 원이 넘는 로열티를 내야 해 교육 예산에 부담이 되고 학교 서열화 우려도 나옵니다.
또, IB 프로그램이 정말로 좋다면 기존 우리 교육과정에 반영하면 될 일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형빈/가톨릭관동대 교직과 교수 : "(IB는)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완벽한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그런 좋은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 나가고 그 선생님들이 잘 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원하고 이러한 기본을 다져나가는 것들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결국,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IB 교육을 강원도에 도입하려면, 학교 구성원들의 동의는 물론 사회적 합의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IB교육 지자체 협력 필수…‘기대·우려’ 교차
-
- 입력 2025-04-17 19:27:57
- 수정2025-04-17 19:54:19

[앵커]
IB 교육을 활성화하려면 학교와 교육 당국 의지도 중요하지만, 자치단체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무엇보다 IB 도입을 둘러싼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만큼 사회적 합의도 필요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와 제주를 시작으로 국내 공교육에 IB가 도입된 건 2019년입니다.
특히 2021년 국내 첫 월드스쿨이 나온 대구는 IB 교육의 메카로 꼽힙니다.
이렇게 대구에 IB 교육이 활성화된 건 자치단체 지원도 한몫했습니다.
대구시가 경북대와 대구교육대학에 예산 30억 원을 지원했고, IB 교육 전문가 양성기관으로 인증된 두 대학은 해마다 IB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 150여 명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혜정/대구시교육청 미래교육과장 : "(IB 교육) 프로그램을 고도화시켜서 우리나라를 넘어서서 전 세계적으로 공교육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지속 가능성 고도화에 저희들이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IB 도입 학교가 172곳으로, 국내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은 경기도에도 자치단체 지원이 있었습니다.
[김영관/경기도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교육과장 : "IB 운영교의 월드스쿨 진입 지원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여 IB 운영교 예산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지원하고자 노력하였고…."]
IB 교육에 대한 기대만큼 우려 섞인 시각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IB 학교는 해마다 천만 원이 넘는 로열티를 내야 해 교육 예산에 부담이 되고 학교 서열화 우려도 나옵니다.
또, IB 프로그램이 정말로 좋다면 기존 우리 교육과정에 반영하면 될 일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형빈/가톨릭관동대 교직과 교수 : "(IB는)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완벽한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그런 좋은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 나가고 그 선생님들이 잘 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원하고 이러한 기본을 다져나가는 것들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결국,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IB 교육을 강원도에 도입하려면, 학교 구성원들의 동의는 물론 사회적 합의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IB 교육을 활성화하려면 학교와 교육 당국 의지도 중요하지만, 자치단체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무엇보다 IB 도입을 둘러싼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만큼 사회적 합의도 필요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와 제주를 시작으로 국내 공교육에 IB가 도입된 건 2019년입니다.
특히 2021년 국내 첫 월드스쿨이 나온 대구는 IB 교육의 메카로 꼽힙니다.
이렇게 대구에 IB 교육이 활성화된 건 자치단체 지원도 한몫했습니다.
대구시가 경북대와 대구교육대학에 예산 30억 원을 지원했고, IB 교육 전문가 양성기관으로 인증된 두 대학은 해마다 IB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 150여 명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혜정/대구시교육청 미래교육과장 : "(IB 교육) 프로그램을 고도화시켜서 우리나라를 넘어서서 전 세계적으로 공교육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지속 가능성 고도화에 저희들이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IB 도입 학교가 172곳으로, 국내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은 경기도에도 자치단체 지원이 있었습니다.
[김영관/경기도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교육과장 : "IB 운영교의 월드스쿨 진입 지원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여 IB 운영교 예산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지원하고자 노력하였고…."]
IB 교육에 대한 기대만큼 우려 섞인 시각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IB 학교는 해마다 천만 원이 넘는 로열티를 내야 해 교육 예산에 부담이 되고 학교 서열화 우려도 나옵니다.
또, IB 프로그램이 정말로 좋다면 기존 우리 교육과정에 반영하면 될 일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형빈/가톨릭관동대 교직과 교수 : "(IB는)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완벽한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그런 좋은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 나가고 그 선생님들이 잘 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원하고 이러한 기본을 다져나가는 것들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결국,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IB 교육을 강원도에 도입하려면, 학교 구성원들의 동의는 물론 사회적 합의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
정면구 기자 nine@kbs.co.kr
정면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