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통제, 파월 관세 우려에 미 증시 급락
입력 2025.04.17 (21:17)
수정 2025.04.17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은 중국을 향해선 반도체 수출 통제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기업들도 손실이 불가피해 뉴욕 증시까지 급락했습니다.
파월 연준의장은 관세 때문에 물가도 오르고 실업률도 높아질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인공지능, AI 반도체 칩의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주가가 7%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중국 수출용으로 개발된 AI 반도체, H20에 대한 수출 통제 영향입니다.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1분기에만 우리 돈 7조 9천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걸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는 AMD와 인텔로 확대됐습니다.
중국을 압박하느라 미국 기업도 매출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 여파로 나스닥 등 뉴욕 3대 지수도 모두 하락했습니다.
[마이클 랜즈버그/랜즈버그 베넷 프라이빗 웰스 매니지먼트 최고투자책임자 : "기술주가 계속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 모든 관세 관련 논란이 특히 기술주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입니다."]
파월 연준 의장의 경고도 증시 하락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파월 의장은 관세 조치 때문에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도 오를 수 있다면서도, 기준금리 인하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시장이 기대했던 연준의 개입에 선을 그은 겁니다.
[제롬 파월/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현재로서 우리는 어떤 정책 입장을 밝히기보다는 상황이 명확해지기를 기다리는 게 낫습니다."]
미 하원은 중국 인공지능 기업인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칩을 어떻게 조달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관세로 인한 경기 악화 우려가 쏟아지고 있지만, 관세전쟁은 반도체 전쟁으로까지 확대되는 모양샙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이수아
미국은 중국을 향해선 반도체 수출 통제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기업들도 손실이 불가피해 뉴욕 증시까지 급락했습니다.
파월 연준의장은 관세 때문에 물가도 오르고 실업률도 높아질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인공지능, AI 반도체 칩의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주가가 7%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중국 수출용으로 개발된 AI 반도체, H20에 대한 수출 통제 영향입니다.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1분기에만 우리 돈 7조 9천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걸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는 AMD와 인텔로 확대됐습니다.
중국을 압박하느라 미국 기업도 매출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 여파로 나스닥 등 뉴욕 3대 지수도 모두 하락했습니다.
[마이클 랜즈버그/랜즈버그 베넷 프라이빗 웰스 매니지먼트 최고투자책임자 : "기술주가 계속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 모든 관세 관련 논란이 특히 기술주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입니다."]
파월 연준 의장의 경고도 증시 하락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파월 의장은 관세 조치 때문에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도 오를 수 있다면서도, 기준금리 인하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시장이 기대했던 연준의 개입에 선을 그은 겁니다.
[제롬 파월/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현재로서 우리는 어떤 정책 입장을 밝히기보다는 상황이 명확해지기를 기다리는 게 낫습니다."]
미 하원은 중국 인공지능 기업인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칩을 어떻게 조달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관세로 인한 경기 악화 우려가 쏟아지고 있지만, 관세전쟁은 반도체 전쟁으로까지 확대되는 모양샙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이수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도체 수출통제, 파월 관세 우려에 미 증시 급락
-
- 입력 2025-04-17 21:17:18
- 수정2025-04-17 22:05:01

[앵커]
미국은 중국을 향해선 반도체 수출 통제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기업들도 손실이 불가피해 뉴욕 증시까지 급락했습니다.
파월 연준의장은 관세 때문에 물가도 오르고 실업률도 높아질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인공지능, AI 반도체 칩의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주가가 7%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중국 수출용으로 개발된 AI 반도체, H20에 대한 수출 통제 영향입니다.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1분기에만 우리 돈 7조 9천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걸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는 AMD와 인텔로 확대됐습니다.
중국을 압박하느라 미국 기업도 매출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 여파로 나스닥 등 뉴욕 3대 지수도 모두 하락했습니다.
[마이클 랜즈버그/랜즈버그 베넷 프라이빗 웰스 매니지먼트 최고투자책임자 : "기술주가 계속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 모든 관세 관련 논란이 특히 기술주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입니다."]
파월 연준 의장의 경고도 증시 하락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파월 의장은 관세 조치 때문에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도 오를 수 있다면서도, 기준금리 인하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시장이 기대했던 연준의 개입에 선을 그은 겁니다.
[제롬 파월/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현재로서 우리는 어떤 정책 입장을 밝히기보다는 상황이 명확해지기를 기다리는 게 낫습니다."]
미 하원은 중국 인공지능 기업인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칩을 어떻게 조달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관세로 인한 경기 악화 우려가 쏟아지고 있지만, 관세전쟁은 반도체 전쟁으로까지 확대되는 모양샙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이수아
미국은 중국을 향해선 반도체 수출 통제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기업들도 손실이 불가피해 뉴욕 증시까지 급락했습니다.
파월 연준의장은 관세 때문에 물가도 오르고 실업률도 높아질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인공지능, AI 반도체 칩의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주가가 7%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중국 수출용으로 개발된 AI 반도체, H20에 대한 수출 통제 영향입니다.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1분기에만 우리 돈 7조 9천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걸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는 AMD와 인텔로 확대됐습니다.
중국을 압박하느라 미국 기업도 매출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 여파로 나스닥 등 뉴욕 3대 지수도 모두 하락했습니다.
[마이클 랜즈버그/랜즈버그 베넷 프라이빗 웰스 매니지먼트 최고투자책임자 : "기술주가 계속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 모든 관세 관련 논란이 특히 기술주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입니다."]
파월 연준 의장의 경고도 증시 하락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파월 의장은 관세 조치 때문에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도 오를 수 있다면서도, 기준금리 인하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시장이 기대했던 연준의 개입에 선을 그은 겁니다.
[제롬 파월/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현재로서 우리는 어떤 정책 입장을 밝히기보다는 상황이 명확해지기를 기다리는 게 낫습니다."]
미 하원은 중국 인공지능 기업인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칩을 어떻게 조달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관세로 인한 경기 악화 우려가 쏟아지고 있지만, 관세전쟁은 반도체 전쟁으로까지 확대되는 모양샙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이수아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