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김치·와인 강매 혐의’ 태광 이호진 회장 재차 무혐의
입력 2025.04.20 (19:13)
수정 2025.04.20 (19: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광그룹의 계열사 김치·와인 강매 사건을 재수사한 검찰이 이호진 전 태광 회장에 대한 형사 고발 사건에서는 재차 혐의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 전 회장에 대해 한 차례 무혐의 처분을 내린 지 약 3년 8개월 만입니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김용식 부장검사)는 지난달 이 전 회장의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에 대해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했습니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2014년 4월에서 2016년 9월 사이 이 전 회장의 일가가 소유한 ‘티시스’에서 생산한 김치를 태광의 다른 19개 계열사에서 고가에 사들이도록 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검찰은 이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수사를 진행해 2021년 8월 김기유 전 태광 경영협의회 의장을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다만 당시 이 전 회장에 대해서는 재무 상황을 보고받거나 범행을 지시한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이 전 회장이 공정위의 시정명령에 불복해 제기한 취소소송이 2023년 3월 대법원에서 이 전 회장 패소 취지로 파기환송 되면서 재수사 계기가 마련됐습니다.
당시 대법원은 “태광의 의사결정 과정에 지배적 역할을 하는 이 전 회장은 티시스의 이익·수익 구조에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고 그 영향력을 이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었다”며 이 전 회장에게도 제재가 내려져야 한다며 공정위 시정명령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대법원 판결 후 이 전 회장의 혐의 재검토에 들어갔고, 김 전 의장을 여러 차례 불러 새로 진술을 받았습니다. 김 전 의장은 검찰에서 1차 수사 때는 이 전 회장을 보호하기 위해 허위 진술을 한 것이며 김치·와인 강매에 대한 이 전 회장의 지시·관여가 있었다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검찰은 태광 내부 감사 과정에서 두 사람의 사이가 틀어진 점, 김 전 의장이 이를 뒷받침할 물증을 제출하지 못한 점 등에 비춰 번복된 진술을 믿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또 이 전 회장이 관련 내용을 알지 못한다는 취지로 김 전 의장이 말하는 녹취록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이 전 회장을 무혐의 처분하고 사건을 종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김용식 부장검사)는 지난달 이 전 회장의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에 대해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했습니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2014년 4월에서 2016년 9월 사이 이 전 회장의 일가가 소유한 ‘티시스’에서 생산한 김치를 태광의 다른 19개 계열사에서 고가에 사들이도록 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검찰은 이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수사를 진행해 2021년 8월 김기유 전 태광 경영협의회 의장을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다만 당시 이 전 회장에 대해서는 재무 상황을 보고받거나 범행을 지시한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이 전 회장이 공정위의 시정명령에 불복해 제기한 취소소송이 2023년 3월 대법원에서 이 전 회장 패소 취지로 파기환송 되면서 재수사 계기가 마련됐습니다.
당시 대법원은 “태광의 의사결정 과정에 지배적 역할을 하는 이 전 회장은 티시스의 이익·수익 구조에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고 그 영향력을 이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었다”며 이 전 회장에게도 제재가 내려져야 한다며 공정위 시정명령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대법원 판결 후 이 전 회장의 혐의 재검토에 들어갔고, 김 전 의장을 여러 차례 불러 새로 진술을 받았습니다. 김 전 의장은 검찰에서 1차 수사 때는 이 전 회장을 보호하기 위해 허위 진술을 한 것이며 김치·와인 강매에 대한 이 전 회장의 지시·관여가 있었다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검찰은 태광 내부 감사 과정에서 두 사람의 사이가 틀어진 점, 김 전 의장이 이를 뒷받침할 물증을 제출하지 못한 점 등에 비춰 번복된 진술을 믿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또 이 전 회장이 관련 내용을 알지 못한다는 취지로 김 전 의장이 말하는 녹취록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이 전 회장을 무혐의 처분하고 사건을 종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검찰, ‘김치·와인 강매 혐의’ 태광 이호진 회장 재차 무혐의
-
- 입력 2025-04-20 19:13:26
- 수정2025-04-20 19:18:06

태광그룹의 계열사 김치·와인 강매 사건을 재수사한 검찰이 이호진 전 태광 회장에 대한 형사 고발 사건에서는 재차 혐의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 전 회장에 대해 한 차례 무혐의 처분을 내린 지 약 3년 8개월 만입니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김용식 부장검사)는 지난달 이 전 회장의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에 대해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했습니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2014년 4월에서 2016년 9월 사이 이 전 회장의 일가가 소유한 ‘티시스’에서 생산한 김치를 태광의 다른 19개 계열사에서 고가에 사들이도록 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검찰은 이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수사를 진행해 2021년 8월 김기유 전 태광 경영협의회 의장을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다만 당시 이 전 회장에 대해서는 재무 상황을 보고받거나 범행을 지시한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이 전 회장이 공정위의 시정명령에 불복해 제기한 취소소송이 2023년 3월 대법원에서 이 전 회장 패소 취지로 파기환송 되면서 재수사 계기가 마련됐습니다.
당시 대법원은 “태광의 의사결정 과정에 지배적 역할을 하는 이 전 회장은 티시스의 이익·수익 구조에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고 그 영향력을 이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었다”며 이 전 회장에게도 제재가 내려져야 한다며 공정위 시정명령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대법원 판결 후 이 전 회장의 혐의 재검토에 들어갔고, 김 전 의장을 여러 차례 불러 새로 진술을 받았습니다. 김 전 의장은 검찰에서 1차 수사 때는 이 전 회장을 보호하기 위해 허위 진술을 한 것이며 김치·와인 강매에 대한 이 전 회장의 지시·관여가 있었다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검찰은 태광 내부 감사 과정에서 두 사람의 사이가 틀어진 점, 김 전 의장이 이를 뒷받침할 물증을 제출하지 못한 점 등에 비춰 번복된 진술을 믿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또 이 전 회장이 관련 내용을 알지 못한다는 취지로 김 전 의장이 말하는 녹취록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이 전 회장을 무혐의 처분하고 사건을 종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김용식 부장검사)는 지난달 이 전 회장의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에 대해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했습니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2014년 4월에서 2016년 9월 사이 이 전 회장의 일가가 소유한 ‘티시스’에서 생산한 김치를 태광의 다른 19개 계열사에서 고가에 사들이도록 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검찰은 이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수사를 진행해 2021년 8월 김기유 전 태광 경영협의회 의장을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다만 당시 이 전 회장에 대해서는 재무 상황을 보고받거나 범행을 지시한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불기소 처분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이 전 회장이 공정위의 시정명령에 불복해 제기한 취소소송이 2023년 3월 대법원에서 이 전 회장 패소 취지로 파기환송 되면서 재수사 계기가 마련됐습니다.
당시 대법원은 “태광의 의사결정 과정에 지배적 역할을 하는 이 전 회장은 티시스의 이익·수익 구조에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고 그 영향력을 이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었다”며 이 전 회장에게도 제재가 내려져야 한다며 공정위 시정명령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대법원 판결 후 이 전 회장의 혐의 재검토에 들어갔고, 김 전 의장을 여러 차례 불러 새로 진술을 받았습니다. 김 전 의장은 검찰에서 1차 수사 때는 이 전 회장을 보호하기 위해 허위 진술을 한 것이며 김치·와인 강매에 대한 이 전 회장의 지시·관여가 있었다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검찰은 태광 내부 감사 과정에서 두 사람의 사이가 틀어진 점, 김 전 의장이 이를 뒷받침할 물증을 제출하지 못한 점 등에 비춰 번복된 진술을 믿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또 이 전 회장이 관련 내용을 알지 못한다는 취지로 김 전 의장이 말하는 녹취록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이 전 회장을 무혐의 처분하고 사건을 종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태훈 기자 abc@kbs.co.kr
김태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