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보드 피해 도로로?”…인도에서 쫓겨난 장애인

입력 2025.04.21 (07:44) 수정 2025.04.21 (09: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장애인의 날이었는데요,

장애인 이동권 문제를 짚어봅니다.

최근 길거리에 방치된 공유형 이동장치, 전동 킥보드가 장애인의 이동권을 크게 위협하고 있습니다.

문그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반납 장소가 따로 없는 공유형 이동장치가 곳곳에 방치돼 있습니다.

인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이동장치도 있습니다.

일반인들도 피해 가야 하지만 장애인들은 보행 자체에 큰 지장을 받습니다.

제가 직접 휠체어를 타고 이동해봤습니다.

길도 울퉁불퉁하고 공유형 이동장치가 놓여 있어 통행이 어렵습니다.

전동형 휠체어의 폭은 평균 60cm 이상, 좁은 인도에 장애물이 생기면 인도 밖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주은미/한국교통장애인협회 교통사고예방상담지원센터장 : "다른 차 같은 경우는 '비켜주세요'라고 전화를 할 수 있는데 이건 공유 소유이기 때문에 소유자가 딱 있지 않고, 사용하고 아무데나 버려놓고 그러니까, (인도를) 막아버리는 경우나 거기에 방치가 되어 있는 경우는 내가 혼자서 그걸 치우고 올라갈 수가 없어요."]

시각 장애인은 사고마저도 우려됩니다.

점자 블록 위에 방치된 경우, 블록을 따라 걷다 넘어지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난해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창원시 내의 공유형 이동장치 방치 민원만 300건 이상.

창원시는 민원이 들어올 경우 방치된 이동 장치를 치우도록 곧바로 해당 업체에 연락하고 있다며, 교통약자들이 무단 방치된 공유형 이동 장치로 방해받지 않도록 적극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킥보드 피해 도로로?”…인도에서 쫓겨난 장애인
    • 입력 2025-04-21 07:44:35
    • 수정2025-04-21 09:13:09
    뉴스광장(부산)
[앵커]

어제 장애인의 날이었는데요,

장애인 이동권 문제를 짚어봅니다.

최근 길거리에 방치된 공유형 이동장치, 전동 킥보드가 장애인의 이동권을 크게 위협하고 있습니다.

문그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반납 장소가 따로 없는 공유형 이동장치가 곳곳에 방치돼 있습니다.

인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이동장치도 있습니다.

일반인들도 피해 가야 하지만 장애인들은 보행 자체에 큰 지장을 받습니다.

제가 직접 휠체어를 타고 이동해봤습니다.

길도 울퉁불퉁하고 공유형 이동장치가 놓여 있어 통행이 어렵습니다.

전동형 휠체어의 폭은 평균 60cm 이상, 좁은 인도에 장애물이 생기면 인도 밖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주은미/한국교통장애인협회 교통사고예방상담지원센터장 : "다른 차 같은 경우는 '비켜주세요'라고 전화를 할 수 있는데 이건 공유 소유이기 때문에 소유자가 딱 있지 않고, 사용하고 아무데나 버려놓고 그러니까, (인도를) 막아버리는 경우나 거기에 방치가 되어 있는 경우는 내가 혼자서 그걸 치우고 올라갈 수가 없어요."]

시각 장애인은 사고마저도 우려됩니다.

점자 블록 위에 방치된 경우, 블록을 따라 걷다 넘어지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난해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창원시 내의 공유형 이동장치 방치 민원만 300건 이상.

창원시는 민원이 들어올 경우 방치된 이동 장치를 치우도록 곧바로 해당 업체에 연락하고 있다며, 교통약자들이 무단 방치된 공유형 이동 장치로 방해받지 않도록 적극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