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K] 막히고 빠지고…휠체어 타고 대피시설 가봤더니

입력 2025.04.21 (12:47) 수정 2025.04.21 (12: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는 45번째 장애인의 날입니다.

일상생활은 물론, 대형 재난 상황에서도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도록 법적 근거가 마련돼 있는데요.

하지만 막상 대피시설들에 가보니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돼 있어, 장애인들에겐 무용지물에 가까웠습니다.

현장K, 최혜림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쟁 등 비상사태 때 이용하게 될 '민방위 비상 대피시설'.

행정안전부가 전국 만 7천여 곳을 정해 관리하고 있는데, 일부는 '이동 약자 이용 가능'이라고 따로 표기가 돼있습니다.

실태가 어떤지 가봤습니다.

비상대피시설로 지정된 아파트 지하 주차장입니다.

이동 약자도 이용 가능하다지만, 경사가 심해 혼자서는 내려갈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주차장 입구엔 하수구가 있어 휠체어 바퀴가 걸리고.

심한 경사 탓에 성인 남성이 끌어줘도 휠체어가 다니기엔 위태롭기만 합니다.

["오오!"]

대피 시설을 현장 점검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이용 가능 시설로 지정만 해둔 겁니다.

다른 대피시설은 상황이 좀 나을까?

역시 직접 찾아가 둘러봤지만, 휠체어 리프트나 유도 블록 등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비상대피시설 지정' 아파트 관계자/음성변조 : "리프트 같은 장애인 시설은 하나도 없어요."]

우후죽순 늘어나는 초고층 건물도 점검해 봤습니다.

50층 이상 건물은 중간지점에 '피난안전구역'을 마련해, 지상까지 한 번에 탈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고영섭/롯데물산 소방방재팀장 : "비상용 승강기는 재해 약자들이 우선 대피할 때 쓰거나 마스크, 휴대용 비상조명 등이 구축돼 있어서 여기서 대기하실 수도 있고요."]

그런데 다른 초고층 건물을 가봤더니 설계는 규정대로 돼 있지만, 정작 휠체어를 탄 사람은 접근이 어렵습니다.

["한 손으로는 안 밀리네."]

[최규출/국가안전환경원장 : "이 피난안전구역은 장애인을 위한 안전구역으로는 평가하지 않습니다. 재난 약자를 위해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가장 위급한 순간, 목숨을 구해 줄 재난 대피시설이라면, 다른 시설 보다 더 장애인을 배려해야 하지 않을까요?

KBS 뉴스 최혜림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 하정현/영상편집:신남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K] 막히고 빠지고…휠체어 타고 대피시설 가봤더니
    • 입력 2025-04-21 12:47:09
    • 수정2025-04-21 12:57:19
    뉴스 12
[앵커]

어제는 45번째 장애인의 날입니다.

일상생활은 물론, 대형 재난 상황에서도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도록 법적 근거가 마련돼 있는데요.

하지만 막상 대피시설들에 가보니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설계돼 있어, 장애인들에겐 무용지물에 가까웠습니다.

현장K, 최혜림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쟁 등 비상사태 때 이용하게 될 '민방위 비상 대피시설'.

행정안전부가 전국 만 7천여 곳을 정해 관리하고 있는데, 일부는 '이동 약자 이용 가능'이라고 따로 표기가 돼있습니다.

실태가 어떤지 가봤습니다.

비상대피시설로 지정된 아파트 지하 주차장입니다.

이동 약자도 이용 가능하다지만, 경사가 심해 혼자서는 내려갈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주차장 입구엔 하수구가 있어 휠체어 바퀴가 걸리고.

심한 경사 탓에 성인 남성이 끌어줘도 휠체어가 다니기엔 위태롭기만 합니다.

["오오!"]

대피 시설을 현장 점검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이용 가능 시설로 지정만 해둔 겁니다.

다른 대피시설은 상황이 좀 나을까?

역시 직접 찾아가 둘러봤지만, 휠체어 리프트나 유도 블록 등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비상대피시설 지정' 아파트 관계자/음성변조 : "리프트 같은 장애인 시설은 하나도 없어요."]

우후죽순 늘어나는 초고층 건물도 점검해 봤습니다.

50층 이상 건물은 중간지점에 '피난안전구역'을 마련해, 지상까지 한 번에 탈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고영섭/롯데물산 소방방재팀장 : "비상용 승강기는 재해 약자들이 우선 대피할 때 쓰거나 마스크, 휴대용 비상조명 등이 구축돼 있어서 여기서 대기하실 수도 있고요."]

그런데 다른 초고층 건물을 가봤더니 설계는 규정대로 돼 있지만, 정작 휠체어를 탄 사람은 접근이 어렵습니다.

["한 손으로는 안 밀리네."]

[최규출/국가안전환경원장 : "이 피난안전구역은 장애인을 위한 안전구역으로는 평가하지 않습니다. 재난 약자를 위해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가장 위급한 순간, 목숨을 구해 줄 재난 대피시설이라면, 다른 시설 보다 더 장애인을 배려해야 하지 않을까요?

KBS 뉴스 최혜림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 하정현/영상편집:신남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