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다오 항로 개설 ‘감감 무소식’

입력 2025.04.21 (21:44) 수정 2025.04.21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주도는 도민들의 물류비 경감을 이유로 중국 칭다오를 잇는 직항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이를 위해 전문 하역장비도 들여왔지만 항로 개설이 늦어지면서 매달 1억 원 가까이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로 화물을 취급하는 제주항 10부두.

지난해 12월 도내에서는 가장 큰 규모인 400톤급 크레인이 설치됐습니다.

제주도가 중국 칭다오 항로에 투입될 컨테이너 화물선의 하역작업을 위해 해운회사를 통해 들여온 겁니다.

제주도는 하역에서 얻는 수입을 제외한 손실 비용을 해운회사 측에 정산해 주기로 했는데, 항로 개설이 늦어지면서 매달 8천만 원씩 손실이 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신규 항로 개설의 전제조건인 영향평가 절차가 늦어지며 항로 개설 일정은 여전히 가늠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지난해 해양수산부에 항로 개설을 신청한 항로는 모두 4개.

해양수산부는 항로 개설 여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기존 항로에 미칠 영향 평가를 거치도록 했는데, 가장 먼저 신청한 부산-우한 항로만 석 달여 만에 허가가 났을 뿐 제주보다 먼저 신청한 항로 2곳도 아직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배를 띄우지도 못한 채 제주도가 내는 비용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이야깁니다.

[김황국/제주도의원 : "항로 개설을 한 이후에 절차를 밟아도 늦지 않다고 보거든요. 소홀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 손실에 대한 부분은 저는 전적으로 제주도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주도는 도내에 국제화물을 취급하는 하역장비가 없어 사전 준비를 위해 장비를 투입했고, 또 해운회사와 협의해 일부 장비의 투입은 보류하는 등 손실을 최소화했다는 입장입니다.

항로 개설에 대해선 제주보다 먼저 신청한 다른 항로들은 중국 선사의 필요에 의해 신청했지만 칭다오 항로는 제주가 유치한 점을 고려해달라고 해수부에 요청하고 있다며, 상반기 중에 결정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섣부른 정책 결정이 혈세 낭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그래픽:박미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칭다오 항로 개설 ‘감감 무소식’
    • 입력 2025-04-21 21:44:01
    • 수정2025-04-21 21:59:47
    뉴스9(제주)
[앵커]

제주도는 도민들의 물류비 경감을 이유로 중국 칭다오를 잇는 직항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이를 위해 전문 하역장비도 들여왔지만 항로 개설이 늦어지면서 매달 1억 원 가까이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로 화물을 취급하는 제주항 10부두.

지난해 12월 도내에서는 가장 큰 규모인 400톤급 크레인이 설치됐습니다.

제주도가 중국 칭다오 항로에 투입될 컨테이너 화물선의 하역작업을 위해 해운회사를 통해 들여온 겁니다.

제주도는 하역에서 얻는 수입을 제외한 손실 비용을 해운회사 측에 정산해 주기로 했는데, 항로 개설이 늦어지면서 매달 8천만 원씩 손실이 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신규 항로 개설의 전제조건인 영향평가 절차가 늦어지며 항로 개설 일정은 여전히 가늠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지난해 해양수산부에 항로 개설을 신청한 항로는 모두 4개.

해양수산부는 항로 개설 여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기존 항로에 미칠 영향 평가를 거치도록 했는데, 가장 먼저 신청한 부산-우한 항로만 석 달여 만에 허가가 났을 뿐 제주보다 먼저 신청한 항로 2곳도 아직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배를 띄우지도 못한 채 제주도가 내는 비용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이야깁니다.

[김황국/제주도의원 : "항로 개설을 한 이후에 절차를 밟아도 늦지 않다고 보거든요. 소홀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 손실에 대한 부분은 저는 전적으로 제주도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주도는 도내에 국제화물을 취급하는 하역장비가 없어 사전 준비를 위해 장비를 투입했고, 또 해운회사와 협의해 일부 장비의 투입은 보류하는 등 손실을 최소화했다는 입장입니다.

항로 개설에 대해선 제주보다 먼저 신청한 다른 항로들은 중국 선사의 필요에 의해 신청했지만 칭다오 항로는 제주가 유치한 점을 고려해달라고 해수부에 요청하고 있다며, 상반기 중에 결정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섣부른 정책 결정이 혈세 낭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그래픽:박미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