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S&P500 지수 1928년 이래 대통령 취임 후 최악”
입력 2025.04.22 (16:15)
수정 2025.04.22 (16: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 이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실적이 역대 대통령 취임일부터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1928년 이래 최악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 자료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1월 20일) 이후 S&P 500 지수는 14.0% 급락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1932년 이후 최악의 4월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달 들어 다우지수는 21일까지 9.1%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달러화 지위에 대한 의구심까지 커지면서 현지시각 21일 뉴욕증시가 급락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8% 하락했고, 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2.36%, 2.55% 떨어졌습니다.
주가가 하락할 때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대로 미국 중장기 국채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지만, 이달에는 주가 하락과 함께 미국 국채 가격과 달러화 가치가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는 이날 장중 97.9까지 저점을 낮추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4.413%로 전장 대비 8.2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수주일 전 미국 주식 비중을 낮춘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 스콧 래드너는 “정책 구조 때문에 불안정하고 알 수 없는 (미국) 경제에 자본을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개인투자자협회의 주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시각이 8주 연속 50%를 넘어섰는데 이는 1987년 이후 최장기간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BMO 프라이빗 웰스의 수석 시장 전략가 캐럴 슐레이프는 광범위한 하락세에 대해 “우려스럽다”면서 “사람들이 알고 싶은 더 큰 이슈는 ‘미국 예외주의 트레이드’가 단기에 끝날 것인가 아니면 중장기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월스트리트저널은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 자료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1월 20일) 이후 S&P 500 지수는 14.0% 급락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1932년 이후 최악의 4월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달 들어 다우지수는 21일까지 9.1%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달러화 지위에 대한 의구심까지 커지면서 현지시각 21일 뉴욕증시가 급락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8% 하락했고, 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2.36%, 2.55% 떨어졌습니다.
주가가 하락할 때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대로 미국 중장기 국채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지만, 이달에는 주가 하락과 함께 미국 국채 가격과 달러화 가치가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는 이날 장중 97.9까지 저점을 낮추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4.413%로 전장 대비 8.2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수주일 전 미국 주식 비중을 낮춘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 스콧 래드너는 “정책 구조 때문에 불안정하고 알 수 없는 (미국) 경제에 자본을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개인투자자협회의 주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시각이 8주 연속 50%를 넘어섰는데 이는 1987년 이후 최장기간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BMO 프라이빗 웰스의 수석 시장 전략가 캐럴 슐레이프는 광범위한 하락세에 대해 “우려스럽다”면서 “사람들이 알고 싶은 더 큰 이슈는 ‘미국 예외주의 트레이드’가 단기에 끝날 것인가 아니면 중장기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SJ “S&P500 지수 1928년 이래 대통령 취임 후 최악”
-
- 입력 2025-04-22 16:15:45
- 수정2025-04-22 16:19:04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 이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실적이 역대 대통령 취임일부터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1928년 이래 최악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 자료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1월 20일) 이후 S&P 500 지수는 14.0% 급락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1932년 이후 최악의 4월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달 들어 다우지수는 21일까지 9.1%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달러화 지위에 대한 의구심까지 커지면서 현지시각 21일 뉴욕증시가 급락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8% 하락했고, 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2.36%, 2.55% 떨어졌습니다.
주가가 하락할 때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대로 미국 중장기 국채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지만, 이달에는 주가 하락과 함께 미국 국채 가격과 달러화 가치가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는 이날 장중 97.9까지 저점을 낮추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4.413%로 전장 대비 8.2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수주일 전 미국 주식 비중을 낮춘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 스콧 래드너는 “정책 구조 때문에 불안정하고 알 수 없는 (미국) 경제에 자본을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개인투자자협회의 주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시각이 8주 연속 50%를 넘어섰는데 이는 1987년 이후 최장기간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BMO 프라이빗 웰스의 수석 시장 전략가 캐럴 슐레이프는 광범위한 하락세에 대해 “우려스럽다”면서 “사람들이 알고 싶은 더 큰 이슈는 ‘미국 예외주의 트레이드’가 단기에 끝날 것인가 아니면 중장기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월스트리트저널은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 자료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1월 20일) 이후 S&P 500 지수는 14.0% 급락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1932년 이후 최악의 4월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달 들어 다우지수는 21일까지 9.1%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달러화 지위에 대한 의구심까지 커지면서 현지시각 21일 뉴욕증시가 급락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8% 하락했고, 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2.36%, 2.55% 떨어졌습니다.
주가가 하락할 때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대로 미국 중장기 국채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지만, 이달에는 주가 하락과 함께 미국 국채 가격과 달러화 가치가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는 이날 장중 97.9까지 저점을 낮추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4.413%로 전장 대비 8.2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수주일 전 미국 주식 비중을 낮춘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 스콧 래드너는 “정책 구조 때문에 불안정하고 알 수 없는 (미국) 경제에 자본을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개인투자자협회의 주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시각이 8주 연속 50%를 넘어섰는데 이는 1987년 이후 최장기간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BMO 프라이빗 웰스의 수석 시장 전략가 캐럴 슐레이프는 광범위한 하락세에 대해 “우려스럽다”면서 “사람들이 알고 싶은 더 큰 이슈는 ‘미국 예외주의 트레이드’가 단기에 끝날 것인가 아니면 중장기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