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위한 것이라면”…중국 개미, 손실 감수 ‘애국투자’ 열기

입력 2025.04.22 (17:13) 수정 2025.04.22 (17: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들 사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해방의 날’(4월 2일 상호관세 발표일)을 계기로 ‘애국 주식투자’ 열기가 확산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2일 보도했습니다.

로이터가 인용한 금융정보제공업체 데이터예스(Datayes)에 따르면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발표 직후 중국 증시는 급락세를 보였지만 최근까지 증시에 순유입된 개인투자자의 투자 자금은 450억 위안(약 8조 7,600억 원)에 달했습니다.

발표일 이전 6거래일 연속 총 918억 위안(약 18조 원)이 순유출된 것과 대조됩니다.

미국과 무역전쟁 격화에 따른 패닉을 진정시키고 증시를 안정시키려는 중국 당국에 중국 개미들이 호응한 결과입니다. 중국 증시 투자 비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인 투자자가 급격한 변동성을 가진 ‘카지노 장세’를 연출해온 점을 비춰볼 때 이례적입니다.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일하는 차오밍제 씨는 과거 한 번도 주식투자를 해본 적이 없지만, ‘해방의 날’ 이후 매월 2,000위안(약 39만 원)씩 주식을 사기로 했습니다. 차오 씨는 “돈을 벌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국가에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모든 개인은 끝까지 조국 편에 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주식시장이 갈수록 확대되는 미중 간 충돌의 새로운 전장으로 떠오른 가운데 많은 개인투자자가 증시를 떠받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동조하고 있습니다.

중국 증시가 약 7%의 폭락세를 연출한 지난 4일 중국 국부펀드와 주요 증권사들은 각각 주식 매수 확대와 가격 안정을 약속했고 많은 상장사가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밝혔습니다. 리창 국무원 총리는 지난주 증시 안정을 위한 노력 강화를 지시했습니다.

개미들의 매수세는 중국 정부의 국가 중점과제 수혜 대상인 국방과 소비, 반도체 등 업종에 집중돼 있습니다.

북서부 닝샤회족자치구의 등산가 저우리펑 씨는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더 많은 현금을 증시에 넣을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저우 씨는 소비주와 방산주를 중심으로 300만 위안어치(약 5억 8,400만원) 주식을 보유하고 있고 예비자금으로 700만 위안(약 13억 6,000만 원)을 갖고 있다면서 “애국은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식당을 운영하는 수하오 씨는 중국 주식에 수억 위안을 투자했다면서 특히 미중 관세전쟁의 직격탄을 맞은 수출업체를 돕기 위해 중국 거대 유통업체들이 나선 것에 감명받았다고 털어놨습니다.

징둥닷컴이 미국의 관세로 어려움에 처한 수출지향 제조업체들을 지원하는 2,000억 위안(약 39조 원) 규모 ‘수출의 내수 전환 지원 계획’을 내놓는 등 알리바바의 신선식품 유통 플랫폼인 허마, 중국 대표 슈퍼마켓 체인 중 하나인 융후이 등이 앞다퉈 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국 위한 것이라면”…중국 개미, 손실 감수 ‘애국투자’ 열기
    • 입력 2025-04-22 17:13:07
    • 수정2025-04-22 17:22:25
    국제
중국인들 사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해방의 날’(4월 2일 상호관세 발표일)을 계기로 ‘애국 주식투자’ 열기가 확산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2일 보도했습니다.

로이터가 인용한 금융정보제공업체 데이터예스(Datayes)에 따르면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발표 직후 중국 증시는 급락세를 보였지만 최근까지 증시에 순유입된 개인투자자의 투자 자금은 450억 위안(약 8조 7,600억 원)에 달했습니다.

발표일 이전 6거래일 연속 총 918억 위안(약 18조 원)이 순유출된 것과 대조됩니다.

미국과 무역전쟁 격화에 따른 패닉을 진정시키고 증시를 안정시키려는 중국 당국에 중국 개미들이 호응한 결과입니다. 중국 증시 투자 비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인 투자자가 급격한 변동성을 가진 ‘카지노 장세’를 연출해온 점을 비춰볼 때 이례적입니다.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일하는 차오밍제 씨는 과거 한 번도 주식투자를 해본 적이 없지만, ‘해방의 날’ 이후 매월 2,000위안(약 39만 원)씩 주식을 사기로 했습니다. 차오 씨는 “돈을 벌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국가에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모든 개인은 끝까지 조국 편에 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주식시장이 갈수록 확대되는 미중 간 충돌의 새로운 전장으로 떠오른 가운데 많은 개인투자자가 증시를 떠받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동조하고 있습니다.

중국 증시가 약 7%의 폭락세를 연출한 지난 4일 중국 국부펀드와 주요 증권사들은 각각 주식 매수 확대와 가격 안정을 약속했고 많은 상장사가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밝혔습니다. 리창 국무원 총리는 지난주 증시 안정을 위한 노력 강화를 지시했습니다.

개미들의 매수세는 중국 정부의 국가 중점과제 수혜 대상인 국방과 소비, 반도체 등 업종에 집중돼 있습니다.

북서부 닝샤회족자치구의 등산가 저우리펑 씨는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더 많은 현금을 증시에 넣을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저우 씨는 소비주와 방산주를 중심으로 300만 위안어치(약 5억 8,400만원) 주식을 보유하고 있고 예비자금으로 700만 위안(약 13억 6,000만 원)을 갖고 있다면서 “애국은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식당을 운영하는 수하오 씨는 중국 주식에 수억 위안을 투자했다면서 특히 미중 관세전쟁의 직격탄을 맞은 수출업체를 돕기 위해 중국 거대 유통업체들이 나선 것에 감명받았다고 털어놨습니다.

징둥닷컴이 미국의 관세로 어려움에 처한 수출지향 제조업체들을 지원하는 2,000억 위안(약 39조 원) 규모 ‘수출의 내수 전환 지원 계획’을 내놓는 등 알리바바의 신선식품 유통 플랫폼인 허마, 중국 대표 슈퍼마켓 체인 중 하나인 융후이 등이 앞다퉈 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