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복구는 시작됐지만…막막한 주민들
입력 2025.04.23 (09:48)
수정 2025.04.23 (10: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발생한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갈 곳을 잃은 주민들은 언제, 어떻게 다시 새 거처를 마련할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주택 20채가 불타 가장 큰 산불 피해를 입은 산청 중태마을.
화마로 이미 무너져버린 주택을 중장비가 부수고 철거합니다.
수십 년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막막합니다.
새 집을 지을 엄두조차 내지 못합니다.
[최순철/중태마을 주민 가족 : "한꺼번에 (돈) 준비를 한다는 것도 자체가 그렇고. 너무나 힘드네요. 지금 이대로서는."]
선비문화연구원 임시 거처에서 생활한 지 한 달.
피란 생활은 대여섯 달은 더 해야 합니다.
[백은조/중태마을 주민 : "엊저녁도 잠을 못 자서 수면제를 12시 넘어서 먹었는데…. 앞으로 6개월 이렇다 하니까 정말 정신없어요."]
관련 법에 따라 정부 지원 복구비는 2천만 원에서 3천6백만 원.
전국 각지에서 모인 성금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지원 규모가 확정되지 않아, 주민들은 답답한 상황.
경상남도와 산청군은 다음 달 주택복구 주민설명회를 열고 6월 주택 설계부터 시작해 10월 입주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자기 부담금을 얼마나 들여야 하는지, 또, 살림살이도 다시 갖추려면 얼마가 들어갈지, 또 농사지을 기반도 잃은 주민들로서는 불안할 따름입니다.
[박명균/경상남도 행정부지사 : "정부 차원에서도 특별법을 이번에 만들려고 한 거고요. 그런 것 때문에. 특별법에 의한 많은 지원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산청·하동 산불로 집계된 피해 건수는 2천백여 건.
추정 피해 금액은 217억 원입니다.
산림 피해 면적도 당초보다 배로 큰 3,397ha에 이릅니다.
경상남도는 정부 추경 예산이 확보되는대로 긴급 벌채와 산사태 우려지역 복구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진용/그래픽:박수홍
지난달 발생한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갈 곳을 잃은 주민들은 언제, 어떻게 다시 새 거처를 마련할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주택 20채가 불타 가장 큰 산불 피해를 입은 산청 중태마을.
화마로 이미 무너져버린 주택을 중장비가 부수고 철거합니다.
수십 년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막막합니다.
새 집을 지을 엄두조차 내지 못합니다.
[최순철/중태마을 주민 가족 : "한꺼번에 (돈) 준비를 한다는 것도 자체가 그렇고. 너무나 힘드네요. 지금 이대로서는."]
선비문화연구원 임시 거처에서 생활한 지 한 달.
피란 생활은 대여섯 달은 더 해야 합니다.
[백은조/중태마을 주민 : "엊저녁도 잠을 못 자서 수면제를 12시 넘어서 먹었는데…. 앞으로 6개월 이렇다 하니까 정말 정신없어요."]
관련 법에 따라 정부 지원 복구비는 2천만 원에서 3천6백만 원.
전국 각지에서 모인 성금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지원 규모가 확정되지 않아, 주민들은 답답한 상황.
경상남도와 산청군은 다음 달 주택복구 주민설명회를 열고 6월 주택 설계부터 시작해 10월 입주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자기 부담금을 얼마나 들여야 하는지, 또, 살림살이도 다시 갖추려면 얼마가 들어갈지, 또 농사지을 기반도 잃은 주민들로서는 불안할 따름입니다.
[박명균/경상남도 행정부지사 : "정부 차원에서도 특별법을 이번에 만들려고 한 거고요. 그런 것 때문에. 특별법에 의한 많은 지원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산청·하동 산불로 집계된 피해 건수는 2천백여 건.
추정 피해 금액은 217억 원입니다.
산림 피해 면적도 당초보다 배로 큰 3,397ha에 이릅니다.
경상남도는 정부 추경 예산이 확보되는대로 긴급 벌채와 산사태 우려지역 복구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진용/그래픽:박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복구는 시작됐지만…막막한 주민들
-
- 입력 2025-04-23 09:48:33
- 수정2025-04-23 10:13:23

[앵커]
지난달 발생한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갈 곳을 잃은 주민들은 언제, 어떻게 다시 새 거처를 마련할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주택 20채가 불타 가장 큰 산불 피해를 입은 산청 중태마을.
화마로 이미 무너져버린 주택을 중장비가 부수고 철거합니다.
수십 년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막막합니다.
새 집을 지을 엄두조차 내지 못합니다.
[최순철/중태마을 주민 가족 : "한꺼번에 (돈) 준비를 한다는 것도 자체가 그렇고. 너무나 힘드네요. 지금 이대로서는."]
선비문화연구원 임시 거처에서 생활한 지 한 달.
피란 생활은 대여섯 달은 더 해야 합니다.
[백은조/중태마을 주민 : "엊저녁도 잠을 못 자서 수면제를 12시 넘어서 먹었는데…. 앞으로 6개월 이렇다 하니까 정말 정신없어요."]
관련 법에 따라 정부 지원 복구비는 2천만 원에서 3천6백만 원.
전국 각지에서 모인 성금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지원 규모가 확정되지 않아, 주민들은 답답한 상황.
경상남도와 산청군은 다음 달 주택복구 주민설명회를 열고 6월 주택 설계부터 시작해 10월 입주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자기 부담금을 얼마나 들여야 하는지, 또, 살림살이도 다시 갖추려면 얼마가 들어갈지, 또 농사지을 기반도 잃은 주민들로서는 불안할 따름입니다.
[박명균/경상남도 행정부지사 : "정부 차원에서도 특별법을 이번에 만들려고 한 거고요. 그런 것 때문에. 특별법에 의한 많은 지원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산청·하동 산불로 집계된 피해 건수는 2천백여 건.
추정 피해 금액은 217억 원입니다.
산림 피해 면적도 당초보다 배로 큰 3,397ha에 이릅니다.
경상남도는 정부 추경 예산이 확보되는대로 긴급 벌채와 산사태 우려지역 복구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진용/그래픽:박수홍
지난달 발생한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갈 곳을 잃은 주민들은 언제, 어떻게 다시 새 거처를 마련할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주택 20채가 불타 가장 큰 산불 피해를 입은 산청 중태마을.
화마로 이미 무너져버린 주택을 중장비가 부수고 철거합니다.
수십 년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막막합니다.
새 집을 지을 엄두조차 내지 못합니다.
[최순철/중태마을 주민 가족 : "한꺼번에 (돈) 준비를 한다는 것도 자체가 그렇고. 너무나 힘드네요. 지금 이대로서는."]
선비문화연구원 임시 거처에서 생활한 지 한 달.
피란 생활은 대여섯 달은 더 해야 합니다.
[백은조/중태마을 주민 : "엊저녁도 잠을 못 자서 수면제를 12시 넘어서 먹었는데…. 앞으로 6개월 이렇다 하니까 정말 정신없어요."]
관련 법에 따라 정부 지원 복구비는 2천만 원에서 3천6백만 원.
전국 각지에서 모인 성금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지원 규모가 확정되지 않아, 주민들은 답답한 상황.
경상남도와 산청군은 다음 달 주택복구 주민설명회를 열고 6월 주택 설계부터 시작해 10월 입주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자기 부담금을 얼마나 들여야 하는지, 또, 살림살이도 다시 갖추려면 얼마가 들어갈지, 또 농사지을 기반도 잃은 주민들로서는 불안할 따름입니다.
[박명균/경상남도 행정부지사 : "정부 차원에서도 특별법을 이번에 만들려고 한 거고요. 그런 것 때문에. 특별법에 의한 많은 지원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산청·하동 산불로 집계된 피해 건수는 2천백여 건.
추정 피해 금액은 217억 원입니다.
산림 피해 면적도 당초보다 배로 큰 3,397ha에 이릅니다.
경상남도는 정부 추경 예산이 확보되는대로 긴급 벌채와 산사태 우려지역 복구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진용/그래픽:박수홍
-
-
손원혁 기자 wh_son@kbs.co.kr
손원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