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경제성장률 -0.2%…3분기 만에 또 ‘마이너스’
입력 2025.04.24 (12:15)
수정 2025.04.24 (13: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 수준으로 역행한 셈인데, 올해 성장률 대폭 수정도 불가피해졌습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 1분기 실질 GDP를 -0.2%로 발표했습니다.
우리 경제는 지난해 2분기에도 -0.2%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고, 이후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각각 0.1% 성장에 그치다, 다시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선 겁니다.
4개 분기 연속 0.1% 미만의 저성장률.
이 같은 흐름은 지난 196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입니다.
역성장의 가장 큰 원인은 내수 부진입니다.
민간소비는 여가 비용과 의료 소비가 줄면서 0.1% 줄었고, 정부소비도 0.1% 줄었습니다.
투자 부문 부진은 더욱 뚜렷합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 같은 기계류 위주로 2.1% 줄었는데, 2021년 3분기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역시 -0.2%로,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렸습니다.
한국은행은 정치적 불확실성의 장기화와 미국의 관세 정책이 성장률을 끌어내리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건설 경기 부진 등에 따른 공사 중단, 대형 산불도 성장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국은행의 당초 예상치인 1.5%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 수준으로 역행한 셈인데, 올해 성장률 대폭 수정도 불가피해졌습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 1분기 실질 GDP를 -0.2%로 발표했습니다.
우리 경제는 지난해 2분기에도 -0.2%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고, 이후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각각 0.1% 성장에 그치다, 다시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선 겁니다.
4개 분기 연속 0.1% 미만의 저성장률.
이 같은 흐름은 지난 196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입니다.
역성장의 가장 큰 원인은 내수 부진입니다.
민간소비는 여가 비용과 의료 소비가 줄면서 0.1% 줄었고, 정부소비도 0.1% 줄었습니다.
투자 부문 부진은 더욱 뚜렷합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 같은 기계류 위주로 2.1% 줄었는데, 2021년 3분기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역시 -0.2%로,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렸습니다.
한국은행은 정치적 불확실성의 장기화와 미국의 관세 정책이 성장률을 끌어내리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건설 경기 부진 등에 따른 공사 중단, 대형 산불도 성장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국은행의 당초 예상치인 1.5%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분기 경제성장률 -0.2%…3분기 만에 또 ‘마이너스’
-
- 입력 2025-04-24 12:15:16
- 수정2025-04-24 13:04:38

[앵커]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 수준으로 역행한 셈인데, 올해 성장률 대폭 수정도 불가피해졌습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 1분기 실질 GDP를 -0.2%로 발표했습니다.
우리 경제는 지난해 2분기에도 -0.2%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고, 이후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각각 0.1% 성장에 그치다, 다시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선 겁니다.
4개 분기 연속 0.1% 미만의 저성장률.
이 같은 흐름은 지난 196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입니다.
역성장의 가장 큰 원인은 내수 부진입니다.
민간소비는 여가 비용과 의료 소비가 줄면서 0.1% 줄었고, 정부소비도 0.1% 줄었습니다.
투자 부문 부진은 더욱 뚜렷합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 같은 기계류 위주로 2.1% 줄었는데, 2021년 3분기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역시 -0.2%로,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렸습니다.
한국은행은 정치적 불확실성의 장기화와 미국의 관세 정책이 성장률을 끌어내리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건설 경기 부진 등에 따른 공사 중단, 대형 산불도 성장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국은행의 당초 예상치인 1.5%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 수준으로 역행한 셈인데, 올해 성장률 대폭 수정도 불가피해졌습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분기 우리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 1분기 실질 GDP를 -0.2%로 발표했습니다.
우리 경제는 지난해 2분기에도 -0.2%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고, 이후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각각 0.1% 성장에 그치다, 다시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선 겁니다.
4개 분기 연속 0.1% 미만의 저성장률.
이 같은 흐름은 지난 196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입니다.
역성장의 가장 큰 원인은 내수 부진입니다.
민간소비는 여가 비용과 의료 소비가 줄면서 0.1% 줄었고, 정부소비도 0.1% 줄었습니다.
투자 부문 부진은 더욱 뚜렷합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 같은 기계류 위주로 2.1% 줄었는데, 2021년 3분기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역시 -0.2%로,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렸습니다.
한국은행은 정치적 불확실성의 장기화와 미국의 관세 정책이 성장률을 끌어내리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건설 경기 부진 등에 따른 공사 중단, 대형 산불도 성장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국은행의 당초 예상치인 1.5%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