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K] 지자체 빈집 정비 사업…“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입력 2025.04.24 (19:18)
수정 2025.04.24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구 감소와 인구 고령화, 원도심 공동화 등으로 빈집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마다 정비 사업을 벌이지만, 빈집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심 빈집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김현주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주 원도심 주택가 곳곳에서 빈집이 눈에 띕니다.
벽체는 허물어지고 문은 뜯어져 있습니다.
집 안에는 누가 버리고 갔는지 쓰레기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산업단지 근처 주택가에도 흉물스럽게 변한 빈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이런 데다가 쓰레기를 던져서 여기가 쓰레기장이 돼버렸어. 여름에는 파리가 많고 여러 가지로 안 좋지."]
전주시는 지난 2008년부터 빈집 철거 비용을 보조해 주차장이나 텃밭 등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한 해 평균 10여 채 철거에 그쳐 빈집 증가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전주시의 빈집은 2천7백여 채로 5년 전보다 41%, 8백 채 가까이 늘었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매년 (신청이) 50~60건은 들어오더라고요. 꽤 많이 들어오는데 한정돼 있다 보니까 좀 다 못 해 드려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전체 빈집 수는 모두 만 8천3백여 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전남 2만여 채에 이어 두번째로 많습니다.
이렇다 보니, 도시 미관 훼손은 물론 범죄나 안전 사고 우려 등 주민 불안도 갈수록 커지는 상황.
전문가들은 공공 차원의 대규모 도시 재생이나 민간에 정비 의무 부여 등 긴급 처방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인구 감소와 인구 고령화, 원도심 공동화 등으로 빈집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마다 정비 사업을 벌이지만, 빈집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심 빈집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김현주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주 원도심 주택가 곳곳에서 빈집이 눈에 띕니다.
벽체는 허물어지고 문은 뜯어져 있습니다.
집 안에는 누가 버리고 갔는지 쓰레기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산업단지 근처 주택가에도 흉물스럽게 변한 빈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이런 데다가 쓰레기를 던져서 여기가 쓰레기장이 돼버렸어. 여름에는 파리가 많고 여러 가지로 안 좋지."]
전주시는 지난 2008년부터 빈집 철거 비용을 보조해 주차장이나 텃밭 등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한 해 평균 10여 채 철거에 그쳐 빈집 증가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전주시의 빈집은 2천7백여 채로 5년 전보다 41%, 8백 채 가까이 늘었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매년 (신청이) 50~60건은 들어오더라고요. 꽤 많이 들어오는데 한정돼 있다 보니까 좀 다 못 해 드려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전체 빈집 수는 모두 만 8천3백여 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전남 2만여 채에 이어 두번째로 많습니다.
이렇다 보니, 도시 미관 훼손은 물론 범죄나 안전 사고 우려 등 주민 불안도 갈수록 커지는 상황.
전문가들은 공공 차원의 대규모 도시 재생이나 민간에 정비 의무 부여 등 긴급 처방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K] 지자체 빈집 정비 사업…“밑 빠진 독에 물 붓기?”
-
- 입력 2025-04-24 19:18:47
- 수정2025-04-24 20:10:52

[앵커]
인구 감소와 인구 고령화, 원도심 공동화 등으로 빈집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마다 정비 사업을 벌이지만, 빈집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심 빈집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김현주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주 원도심 주택가 곳곳에서 빈집이 눈에 띕니다.
벽체는 허물어지고 문은 뜯어져 있습니다.
집 안에는 누가 버리고 갔는지 쓰레기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산업단지 근처 주택가에도 흉물스럽게 변한 빈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이런 데다가 쓰레기를 던져서 여기가 쓰레기장이 돼버렸어. 여름에는 파리가 많고 여러 가지로 안 좋지."]
전주시는 지난 2008년부터 빈집 철거 비용을 보조해 주차장이나 텃밭 등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한 해 평균 10여 채 철거에 그쳐 빈집 증가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전주시의 빈집은 2천7백여 채로 5년 전보다 41%, 8백 채 가까이 늘었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매년 (신청이) 50~60건은 들어오더라고요. 꽤 많이 들어오는데 한정돼 있다 보니까 좀 다 못 해 드려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전체 빈집 수는 모두 만 8천3백여 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전남 2만여 채에 이어 두번째로 많습니다.
이렇다 보니, 도시 미관 훼손은 물론 범죄나 안전 사고 우려 등 주민 불안도 갈수록 커지는 상황.
전문가들은 공공 차원의 대규모 도시 재생이나 민간에 정비 의무 부여 등 긴급 처방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인구 감소와 인구 고령화, 원도심 공동화 등으로 빈집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마다 정비 사업을 벌이지만, 빈집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심 빈집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김현주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주 원도심 주택가 곳곳에서 빈집이 눈에 띕니다.
벽체는 허물어지고 문은 뜯어져 있습니다.
집 안에는 누가 버리고 갔는지 쓰레기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산업단지 근처 주택가에도 흉물스럽게 변한 빈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이런 데다가 쓰레기를 던져서 여기가 쓰레기장이 돼버렸어. 여름에는 파리가 많고 여러 가지로 안 좋지."]
전주시는 지난 2008년부터 빈집 철거 비용을 보조해 주차장이나 텃밭 등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한 해 평균 10여 채 철거에 그쳐 빈집 증가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전주시의 빈집은 2천7백여 채로 5년 전보다 41%, 8백 채 가까이 늘었습니다.
[전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매년 (신청이) 50~60건은 들어오더라고요. 꽤 많이 들어오는데 한정돼 있다 보니까 좀 다 못 해 드려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전체 빈집 수는 모두 만 8천3백여 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전남 2만여 채에 이어 두번째로 많습니다.
이렇다 보니, 도시 미관 훼손은 물론 범죄나 안전 사고 우려 등 주민 불안도 갈수록 커지는 상황.
전문가들은 공공 차원의 대규모 도시 재생이나 민간에 정비 의무 부여 등 긴급 처방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
-
김현주 기자 thisweek@kbs.co.kr
김현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