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강릉] 올해 1분기 동해·묵호항 항만 물동량 16% 감소 외
입력 2025.04.24 (19:24)
수정 2025.04.24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묵호항의 항만 물동량이 10% 이상 감소했습니다.
동해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동해·묵호항의 올해 1분기 항만 물동량은 전체 581만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감소 원인은 화력발전소 전력 생산량 저하로 인한 석탄 수입량 감소, 국내 공사 현장 수요 저하에 따른 시멘트 물동량 감소 등으로 분석됐습니다.
최근 57년간 해수 표층 수온 1.58도 상승…동해 최고
국립수산과학원은 1968년 이후 57년 동안 우리 해역의 표층 수온은 1.58도 올라, 전 지구의 상승 폭 0.74도보다 상승률이 2배 정도 빨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 기간 동해의 표층 수온은 2.04도 올라, 서해 1.44도, 남해 1.27도에 비해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수산과학원은 동해에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의 세기가 1980년대 이후 강해진 점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며 난류성 어종의 어획량 증가 등 기후 변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고성, 민통선 내 산불진화 헬기 진입 절차 간소화
민간인출입통제선 내 산불 발생에 대한 진화 대응이 빨라질 전망입니다.
고성군과 육군 3군단은 최근 협의를 통해, 민통선 내 산불 발생 시 군단장 승인 뒤 즉시 헬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산불 진화 헬기의 민통선 비행금지구역 진입 승인 절차가 간소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승인 절차가 간소화로 산불 진화 헬기 투입 시간은 기존 30분 이상에서 15분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릉, ‘장애인 개인 예산제’ 시범 운영 시작
장애인에게 복지서비스 예산을 배분하는 '장애인 개인 예산제'가 강릉에서 시범 운영됩니다.
강릉시는 장애인 39명을 선정하고 다음 달(5월)부터 6개월 동안 1억 천여만 원을 들여 개인 예산제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개인 예산제는 바우처 지원을 받는 장애인이 급여의 20%를 장애 관련 서비스나 물품 구매 등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제도입니다.
동해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동해·묵호항의 올해 1분기 항만 물동량은 전체 581만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감소 원인은 화력발전소 전력 생산량 저하로 인한 석탄 수입량 감소, 국내 공사 현장 수요 저하에 따른 시멘트 물동량 감소 등으로 분석됐습니다.
최근 57년간 해수 표층 수온 1.58도 상승…동해 최고
국립수산과학원은 1968년 이후 57년 동안 우리 해역의 표층 수온은 1.58도 올라, 전 지구의 상승 폭 0.74도보다 상승률이 2배 정도 빨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 기간 동해의 표층 수온은 2.04도 올라, 서해 1.44도, 남해 1.27도에 비해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수산과학원은 동해에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의 세기가 1980년대 이후 강해진 점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며 난류성 어종의 어획량 증가 등 기후 변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고성, 민통선 내 산불진화 헬기 진입 절차 간소화
민간인출입통제선 내 산불 발생에 대한 진화 대응이 빨라질 전망입니다.
고성군과 육군 3군단은 최근 협의를 통해, 민통선 내 산불 발생 시 군단장 승인 뒤 즉시 헬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산불 진화 헬기의 민통선 비행금지구역 진입 승인 절차가 간소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승인 절차가 간소화로 산불 진화 헬기 투입 시간은 기존 30분 이상에서 15분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릉, ‘장애인 개인 예산제’ 시범 운영 시작
장애인에게 복지서비스 예산을 배분하는 '장애인 개인 예산제'가 강릉에서 시범 운영됩니다.
강릉시는 장애인 39명을 선정하고 다음 달(5월)부터 6개월 동안 1억 천여만 원을 들여 개인 예산제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개인 예산제는 바우처 지원을 받는 장애인이 급여의 20%를 장애 관련 서비스나 물품 구매 등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강릉] 올해 1분기 동해·묵호항 항만 물동량 16% 감소 외
-
- 입력 2025-04-24 19:24:54
- 수정2025-04-24 20:01:44

동해·묵호항의 항만 물동량이 10% 이상 감소했습니다.
동해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동해·묵호항의 올해 1분기 항만 물동량은 전체 581만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감소 원인은 화력발전소 전력 생산량 저하로 인한 석탄 수입량 감소, 국내 공사 현장 수요 저하에 따른 시멘트 물동량 감소 등으로 분석됐습니다.
최근 57년간 해수 표층 수온 1.58도 상승…동해 최고
국립수산과학원은 1968년 이후 57년 동안 우리 해역의 표층 수온은 1.58도 올라, 전 지구의 상승 폭 0.74도보다 상승률이 2배 정도 빨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 기간 동해의 표층 수온은 2.04도 올라, 서해 1.44도, 남해 1.27도에 비해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수산과학원은 동해에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의 세기가 1980년대 이후 강해진 점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며 난류성 어종의 어획량 증가 등 기후 변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고성, 민통선 내 산불진화 헬기 진입 절차 간소화
민간인출입통제선 내 산불 발생에 대한 진화 대응이 빨라질 전망입니다.
고성군과 육군 3군단은 최근 협의를 통해, 민통선 내 산불 발생 시 군단장 승인 뒤 즉시 헬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산불 진화 헬기의 민통선 비행금지구역 진입 승인 절차가 간소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승인 절차가 간소화로 산불 진화 헬기 투입 시간은 기존 30분 이상에서 15분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릉, ‘장애인 개인 예산제’ 시범 운영 시작
장애인에게 복지서비스 예산을 배분하는 '장애인 개인 예산제'가 강릉에서 시범 운영됩니다.
강릉시는 장애인 39명을 선정하고 다음 달(5월)부터 6개월 동안 1억 천여만 원을 들여 개인 예산제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개인 예산제는 바우처 지원을 받는 장애인이 급여의 20%를 장애 관련 서비스나 물품 구매 등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제도입니다.
동해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동해·묵호항의 올해 1분기 항만 물동량은 전체 581만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감소 원인은 화력발전소 전력 생산량 저하로 인한 석탄 수입량 감소, 국내 공사 현장 수요 저하에 따른 시멘트 물동량 감소 등으로 분석됐습니다.
최근 57년간 해수 표층 수온 1.58도 상승…동해 최고
국립수산과학원은 1968년 이후 57년 동안 우리 해역의 표층 수온은 1.58도 올라, 전 지구의 상승 폭 0.74도보다 상승률이 2배 정도 빨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 기간 동해의 표층 수온은 2.04도 올라, 서해 1.44도, 남해 1.27도에 비해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수산과학원은 동해에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의 세기가 1980년대 이후 강해진 점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며 난류성 어종의 어획량 증가 등 기후 변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고성, 민통선 내 산불진화 헬기 진입 절차 간소화
민간인출입통제선 내 산불 발생에 대한 진화 대응이 빨라질 전망입니다.
고성군과 육군 3군단은 최근 협의를 통해, 민통선 내 산불 발생 시 군단장 승인 뒤 즉시 헬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산불 진화 헬기의 민통선 비행금지구역 진입 승인 절차가 간소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승인 절차가 간소화로 산불 진화 헬기 투입 시간은 기존 30분 이상에서 15분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릉, ‘장애인 개인 예산제’ 시범 운영 시작
장애인에게 복지서비스 예산을 배분하는 '장애인 개인 예산제'가 강릉에서 시범 운영됩니다.
강릉시는 장애인 39명을 선정하고 다음 달(5월)부터 6개월 동안 1억 천여만 원을 들여 개인 예산제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개인 예산제는 바우처 지원을 받는 장애인이 급여의 20%를 장애 관련 서비스나 물품 구매 등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