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난제 마산해양신도시 또다시 ‘표류’
입력 2025.04.24 (21:43)
수정 2025.04.24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경남은 시장 궐위로 추진력을 잃게 된 창원시의 대형 사업들을 점검합니다.
오늘은 소송의 늪에 빠진,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을 짚어봅니다.
정치적 갈등으로 비화되면서 민간사업자와 소송에 얽혀, 권한대행체제에서 해법을 찾아가기엔 어려워 보입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산 비전의 핵심사업으로 추진됐던 마산해양신도시 사업.
10년 가까이 갈피를 못 잡고 표류했습니다.
홍남표 전 시장의 민선 8기도 야심차게 나섰지만,
[홍남표/전 창원시장/2023년 6월 : "여러 가지 감사, 그다음에 수사 또 협상과 연결해서 하반기 중에는 매듭을 짓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매듭짓지 못 했습니다.
홍남표 전 시장과, 허성무 전전 시장 재임 당시 야기된 민간사업자와의 법적 다툼도 풀어야 할 문제입니다.
마산해양신도시 4차 공모에서 탈락한 사업자가 지난해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창원시는 재평가를 준비 중입니다.
하지만, 컨소시엄에 참여한 대저건설이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어,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에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창원시는 토지 매각 대금과 그에 따른 사업계획을 다시 협의해야 합니다.
4차 사업자가 재평가에서 또 탈락하는 경우라면 재공모 등 사업 추진 방향을 새로 설정해야 합니다.
게다가, 오는 6월 선고를 앞두고 있는 5차 민간사업자와 소송도 변수입니다.
5차 민간사업자도 소송에서 이길 경우,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인정받은 민간사업자가 2개나 될 수도 있는 셈입니다.
조 단위의 대형 사업인만큼 민간사업자들과의 합의가 불가피한데, 책임을 지고 결정을 할 수 있는 시장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사업 표류가 예상되는 이유입니다.
인공섬 마산해양신도시 땅 조성에 들어간 창원시 예산은 3,400억 원.
[이윤기/마산YMCA 사무총장 : "저 부채(땅 조성 비용) 문제 때문에 지역민이 바라는 개발하고 민간사업자가 추진하려고 하는 개발이 끊임없이 충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행정 난맥으로 사업이 늦어지는 동안 매년 금융 이자 50억 원의 부담은 고스란히 시민 몫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
KBS경남은 시장 궐위로 추진력을 잃게 된 창원시의 대형 사업들을 점검합니다.
오늘은 소송의 늪에 빠진,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을 짚어봅니다.
정치적 갈등으로 비화되면서 민간사업자와 소송에 얽혀, 권한대행체제에서 해법을 찾아가기엔 어려워 보입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산 비전의 핵심사업으로 추진됐던 마산해양신도시 사업.
10년 가까이 갈피를 못 잡고 표류했습니다.
홍남표 전 시장의 민선 8기도 야심차게 나섰지만,
[홍남표/전 창원시장/2023년 6월 : "여러 가지 감사, 그다음에 수사 또 협상과 연결해서 하반기 중에는 매듭을 짓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매듭짓지 못 했습니다.
홍남표 전 시장과, 허성무 전전 시장 재임 당시 야기된 민간사업자와의 법적 다툼도 풀어야 할 문제입니다.
마산해양신도시 4차 공모에서 탈락한 사업자가 지난해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창원시는 재평가를 준비 중입니다.
하지만, 컨소시엄에 참여한 대저건설이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어,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에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창원시는 토지 매각 대금과 그에 따른 사업계획을 다시 협의해야 합니다.
4차 사업자가 재평가에서 또 탈락하는 경우라면 재공모 등 사업 추진 방향을 새로 설정해야 합니다.
게다가, 오는 6월 선고를 앞두고 있는 5차 민간사업자와 소송도 변수입니다.
5차 민간사업자도 소송에서 이길 경우,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인정받은 민간사업자가 2개나 될 수도 있는 셈입니다.
조 단위의 대형 사업인만큼 민간사업자들과의 합의가 불가피한데, 책임을 지고 결정을 할 수 있는 시장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사업 표류가 예상되는 이유입니다.
인공섬 마산해양신도시 땅 조성에 들어간 창원시 예산은 3,400억 원.
[이윤기/마산YMCA 사무총장 : "저 부채(땅 조성 비용) 문제 때문에 지역민이 바라는 개발하고 민간사업자가 추진하려고 하는 개발이 끊임없이 충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행정 난맥으로 사업이 늦어지는 동안 매년 금융 이자 50억 원의 부담은 고스란히 시민 몫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년 난제 마산해양신도시 또다시 ‘표류’
-
- 입력 2025-04-24 21:43:20
- 수정2025-04-24 21:58:05

[앵커]
KBS경남은 시장 궐위로 추진력을 잃게 된 창원시의 대형 사업들을 점검합니다.
오늘은 소송의 늪에 빠진,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을 짚어봅니다.
정치적 갈등으로 비화되면서 민간사업자와 소송에 얽혀, 권한대행체제에서 해법을 찾아가기엔 어려워 보입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산 비전의 핵심사업으로 추진됐던 마산해양신도시 사업.
10년 가까이 갈피를 못 잡고 표류했습니다.
홍남표 전 시장의 민선 8기도 야심차게 나섰지만,
[홍남표/전 창원시장/2023년 6월 : "여러 가지 감사, 그다음에 수사 또 협상과 연결해서 하반기 중에는 매듭을 짓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매듭짓지 못 했습니다.
홍남표 전 시장과, 허성무 전전 시장 재임 당시 야기된 민간사업자와의 법적 다툼도 풀어야 할 문제입니다.
마산해양신도시 4차 공모에서 탈락한 사업자가 지난해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창원시는 재평가를 준비 중입니다.
하지만, 컨소시엄에 참여한 대저건설이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어,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에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창원시는 토지 매각 대금과 그에 따른 사업계획을 다시 협의해야 합니다.
4차 사업자가 재평가에서 또 탈락하는 경우라면 재공모 등 사업 추진 방향을 새로 설정해야 합니다.
게다가, 오는 6월 선고를 앞두고 있는 5차 민간사업자와 소송도 변수입니다.
5차 민간사업자도 소송에서 이길 경우,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인정받은 민간사업자가 2개나 될 수도 있는 셈입니다.
조 단위의 대형 사업인만큼 민간사업자들과의 합의가 불가피한데, 책임을 지고 결정을 할 수 있는 시장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사업 표류가 예상되는 이유입니다.
인공섬 마산해양신도시 땅 조성에 들어간 창원시 예산은 3,400억 원.
[이윤기/마산YMCA 사무총장 : "저 부채(땅 조성 비용) 문제 때문에 지역민이 바라는 개발하고 민간사업자가 추진하려고 하는 개발이 끊임없이 충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행정 난맥으로 사업이 늦어지는 동안 매년 금융 이자 50억 원의 부담은 고스란히 시민 몫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
KBS경남은 시장 궐위로 추진력을 잃게 된 창원시의 대형 사업들을 점검합니다.
오늘은 소송의 늪에 빠진,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을 짚어봅니다.
정치적 갈등으로 비화되면서 민간사업자와 소송에 얽혀, 권한대행체제에서 해법을 찾아가기엔 어려워 보입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산 비전의 핵심사업으로 추진됐던 마산해양신도시 사업.
10년 가까이 갈피를 못 잡고 표류했습니다.
홍남표 전 시장의 민선 8기도 야심차게 나섰지만,
[홍남표/전 창원시장/2023년 6월 : "여러 가지 감사, 그다음에 수사 또 협상과 연결해서 하반기 중에는 매듭을 짓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매듭짓지 못 했습니다.
홍남표 전 시장과, 허성무 전전 시장 재임 당시 야기된 민간사업자와의 법적 다툼도 풀어야 할 문제입니다.
마산해양신도시 4차 공모에서 탈락한 사업자가 지난해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창원시는 재평가를 준비 중입니다.
하지만, 컨소시엄에 참여한 대저건설이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어,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에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창원시는 토지 매각 대금과 그에 따른 사업계획을 다시 협의해야 합니다.
4차 사업자가 재평가에서 또 탈락하는 경우라면 재공모 등 사업 추진 방향을 새로 설정해야 합니다.
게다가, 오는 6월 선고를 앞두고 있는 5차 민간사업자와 소송도 변수입니다.
5차 민간사업자도 소송에서 이길 경우,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인정받은 민간사업자가 2개나 될 수도 있는 셈입니다.
조 단위의 대형 사업인만큼 민간사업자들과의 합의가 불가피한데, 책임을 지고 결정을 할 수 있는 시장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사업 표류가 예상되는 이유입니다.
인공섬 마산해양신도시 땅 조성에 들어간 창원시 예산은 3,400억 원.
[이윤기/마산YMCA 사무총장 : "저 부채(땅 조성 비용) 문제 때문에 지역민이 바라는 개발하고 민간사업자가 추진하려고 하는 개발이 끊임없이 충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행정 난맥으로 사업이 늦어지는 동안 매년 금융 이자 50억 원의 부담은 고스란히 시민 몫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
-
-
손원혁 기자 wh_son@kbs.co.kr
손원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