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필리핀,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 격화…암초에서 ‘국기 펼치기’ 경쟁
입력 2025.04.28 (10:24)
수정 2025.04.28 (10: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중국해에서 영유권 분쟁중인 중국과 필리핀이 서로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는 암초에서 ‘국기 펼치기’ 경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지시각 27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중국 CCTV는 최근 자국 해안경비대원 4명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베트남명 쯔엉사군도·필리핀명 칼라얀군도) 내 분쟁 지역인 ‘샌디 케이’(중국명 톄셴자오) 암초에서 오성홍기를 든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샌디 케이는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의 가장 중요한 전초기지인 티투 섬(중국명 중예다오·필리핀명 파가사 섬) 인근에 있으며, 필리핀은 티투 섬을 통해 중국군 움직임을 감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CTV는 중국이 이달 초 해당 암초에서 “해양통제를 하고 주권인 관할권을 행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필리핀도 암초 3곳에 자국 보안군이 상륙했다고 밝히면서 중국 해안경비대원들과 비슷한 모습으로 자국 국기를 펼친 사진을 27일 공개했습니다.
이어 서필리핀해 국가 태스크포스는 성명을 통해 암초로부터 914m 떨어진 곳에서 중국 해안경비대 선박과 중국 민병대 선박 7척의 ‘불법 존재’를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필리핀 보안군이 상륙한 암초 가운데 한 곳이 최근 중국이 점거한 샌디 케이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BBC는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중국이 샌디 케이에 상주하는 징후는 없으며 해안경비대도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이 남중국해 암초를 한때 점거했다는 보도가 알려지자 미국 백악관은 사실이라면 매우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제임스 휴잇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 같은 행동은 지역 안정을 위협하고 국제법을 위반하는 것”이라며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갈등은 미군과 필리핀군의 연례 합동훈련인 ‘발리카탄’이 진행되는 가운데 일어났습니다.
1만7천명이 참가한 이번 훈련은 다음 달 9일까지 열리며 미국의 신형 대함미사일 체계도 투입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필리핀은 국가 방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이고 특정 국가를 겨냥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중국은 이번 훈련이 도발적이라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중국 해경국 류더쥔은 대변인은 전날 “중국 측 경고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인원 6명이 톄셴자오에서 활동했다”면서 “중국 해경은 법에 따라 확인하고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은 톄셴자오를 포함한 난사군도와 인근 해역에 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주권을 갖고 있다”면서 “필리핀 측 행위는 중국 영토 주권을 침해하고,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전을 훼손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약 90%에 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필리핀을 비롯해 베트남·타이완·말레이시아·브루나이 등과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지난해 3월과 올해 1월에도 샌디 케이에서 필리핀 선박이 해양 조사를 시도했고, 중국 해경은 “불법 상륙 시도”라며 대응해 마찰이 벌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 캡처]
현지시각 27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중국 CCTV는 최근 자국 해안경비대원 4명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베트남명 쯔엉사군도·필리핀명 칼라얀군도) 내 분쟁 지역인 ‘샌디 케이’(중국명 톄셴자오) 암초에서 오성홍기를 든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샌디 케이는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의 가장 중요한 전초기지인 티투 섬(중국명 중예다오·필리핀명 파가사 섬) 인근에 있으며, 필리핀은 티투 섬을 통해 중국군 움직임을 감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CTV는 중국이 이달 초 해당 암초에서 “해양통제를 하고 주권인 관할권을 행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필리핀도 암초 3곳에 자국 보안군이 상륙했다고 밝히면서 중국 해안경비대원들과 비슷한 모습으로 자국 국기를 펼친 사진을 27일 공개했습니다.
이어 서필리핀해 국가 태스크포스는 성명을 통해 암초로부터 914m 떨어진 곳에서 중국 해안경비대 선박과 중국 민병대 선박 7척의 ‘불법 존재’를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필리핀 보안군이 상륙한 암초 가운데 한 곳이 최근 중국이 점거한 샌디 케이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BBC는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중국이 샌디 케이에 상주하는 징후는 없으며 해안경비대도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이 남중국해 암초를 한때 점거했다는 보도가 알려지자 미국 백악관은 사실이라면 매우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제임스 휴잇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 같은 행동은 지역 안정을 위협하고 국제법을 위반하는 것”이라며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갈등은 미군과 필리핀군의 연례 합동훈련인 ‘발리카탄’이 진행되는 가운데 일어났습니다.
1만7천명이 참가한 이번 훈련은 다음 달 9일까지 열리며 미국의 신형 대함미사일 체계도 투입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필리핀은 국가 방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이고 특정 국가를 겨냥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중국은 이번 훈련이 도발적이라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중국 해경국 류더쥔은 대변인은 전날 “중국 측 경고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인원 6명이 톄셴자오에서 활동했다”면서 “중국 해경은 법에 따라 확인하고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은 톄셴자오를 포함한 난사군도와 인근 해역에 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주권을 갖고 있다”면서 “필리핀 측 행위는 중국 영토 주권을 침해하고,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전을 훼손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약 90%에 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필리핀을 비롯해 베트남·타이완·말레이시아·브루나이 등과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지난해 3월과 올해 1월에도 샌디 케이에서 필리핀 선박이 해양 조사를 시도했고, 중국 해경은 “불법 상륙 시도”라며 대응해 마찰이 벌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필리핀,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 격화…암초에서 ‘국기 펼치기’ 경쟁
-
- 입력 2025-04-28 10:24:50
- 수정2025-04-28 10:27:11

남중국해에서 영유권 분쟁중인 중국과 필리핀이 서로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는 암초에서 ‘국기 펼치기’ 경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지시각 27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중국 CCTV는 최근 자국 해안경비대원 4명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베트남명 쯔엉사군도·필리핀명 칼라얀군도) 내 분쟁 지역인 ‘샌디 케이’(중국명 톄셴자오) 암초에서 오성홍기를 든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샌디 케이는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의 가장 중요한 전초기지인 티투 섬(중국명 중예다오·필리핀명 파가사 섬) 인근에 있으며, 필리핀은 티투 섬을 통해 중국군 움직임을 감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CTV는 중국이 이달 초 해당 암초에서 “해양통제를 하고 주권인 관할권을 행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필리핀도 암초 3곳에 자국 보안군이 상륙했다고 밝히면서 중국 해안경비대원들과 비슷한 모습으로 자국 국기를 펼친 사진을 27일 공개했습니다.
이어 서필리핀해 국가 태스크포스는 성명을 통해 암초로부터 914m 떨어진 곳에서 중국 해안경비대 선박과 중국 민병대 선박 7척의 ‘불법 존재’를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필리핀 보안군이 상륙한 암초 가운데 한 곳이 최근 중국이 점거한 샌디 케이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BBC는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중국이 샌디 케이에 상주하는 징후는 없으며 해안경비대도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이 남중국해 암초를 한때 점거했다는 보도가 알려지자 미국 백악관은 사실이라면 매우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제임스 휴잇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 같은 행동은 지역 안정을 위협하고 국제법을 위반하는 것”이라며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갈등은 미군과 필리핀군의 연례 합동훈련인 ‘발리카탄’이 진행되는 가운데 일어났습니다.
1만7천명이 참가한 이번 훈련은 다음 달 9일까지 열리며 미국의 신형 대함미사일 체계도 투입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필리핀은 국가 방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이고 특정 국가를 겨냥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중국은 이번 훈련이 도발적이라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중국 해경국 류더쥔은 대변인은 전날 “중국 측 경고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인원 6명이 톄셴자오에서 활동했다”면서 “중국 해경은 법에 따라 확인하고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은 톄셴자오를 포함한 난사군도와 인근 해역에 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주권을 갖고 있다”면서 “필리핀 측 행위는 중국 영토 주권을 침해하고,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전을 훼손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약 90%에 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필리핀을 비롯해 베트남·타이완·말레이시아·브루나이 등과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지난해 3월과 올해 1월에도 샌디 케이에서 필리핀 선박이 해양 조사를 시도했고, 중국 해경은 “불법 상륙 시도”라며 대응해 마찰이 벌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 캡처]
현지시각 27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중국 CCTV는 최근 자국 해안경비대원 4명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베트남명 쯔엉사군도·필리핀명 칼라얀군도) 내 분쟁 지역인 ‘샌디 케이’(중국명 톄셴자오) 암초에서 오성홍기를 든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샌디 케이는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의 가장 중요한 전초기지인 티투 섬(중국명 중예다오·필리핀명 파가사 섬) 인근에 있으며, 필리핀은 티투 섬을 통해 중국군 움직임을 감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CTV는 중국이 이달 초 해당 암초에서 “해양통제를 하고 주권인 관할권을 행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필리핀도 암초 3곳에 자국 보안군이 상륙했다고 밝히면서 중국 해안경비대원들과 비슷한 모습으로 자국 국기를 펼친 사진을 27일 공개했습니다.
이어 서필리핀해 국가 태스크포스는 성명을 통해 암초로부터 914m 떨어진 곳에서 중국 해안경비대 선박과 중국 민병대 선박 7척의 ‘불법 존재’를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필리핀 보안군이 상륙한 암초 가운데 한 곳이 최근 중국이 점거한 샌디 케이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BBC는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중국이 샌디 케이에 상주하는 징후는 없으며 해안경비대도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이 남중국해 암초를 한때 점거했다는 보도가 알려지자 미국 백악관은 사실이라면 매우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제임스 휴잇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 같은 행동은 지역 안정을 위협하고 국제법을 위반하는 것”이라며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갈등은 미군과 필리핀군의 연례 합동훈련인 ‘발리카탄’이 진행되는 가운데 일어났습니다.
1만7천명이 참가한 이번 훈련은 다음 달 9일까지 열리며 미국의 신형 대함미사일 체계도 투입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필리핀은 국가 방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이고 특정 국가를 겨냥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중국은 이번 훈련이 도발적이라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중국 해경국 류더쥔은 대변인은 전날 “중국 측 경고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인원 6명이 톄셴자오에서 활동했다”면서 “중국 해경은 법에 따라 확인하고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은 톄셴자오를 포함한 난사군도와 인근 해역에 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주권을 갖고 있다”면서 “필리핀 측 행위는 중국 영토 주권을 침해하고,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전을 훼손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약 90%에 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필리핀을 비롯해 베트남·타이완·말레이시아·브루나이 등과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지난해 3월과 올해 1월에도 샌디 케이에서 필리핀 선박이 해양 조사를 시도했고, 중국 해경은 “불법 상륙 시도”라며 대응해 마찰이 벌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