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강릉원주대 통합안 ‘진통 끝 통과’

입력 2025.04.28 (19:21) 수정 2025.04.28 (19: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대학교와 강릉원주대의 통폐합 수정안이 학내 최고의결기구인 대학 평의원회를 통과했습니다.

관련 절차가 더 늦어질 경우, 글로컬대학 사업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어렵사리, 고비를 넘게 됐습니다.

하초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원대학교를 지켜주세요!"]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직원들이 대학 본부 복도에 줄지어 앉았습니다.

강릉원주대와의 통합 수정안에 여전히, 불만을 표시하는 겁니다.

평의원회에는 긴장감이 감돕니다.

교육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한 뒤, 여는 세번째 회의이기 때문입니다.

첫 회의는 삼척 지역 항의로 파행했고, 두번째에선 통합안이 부결됐습니다.

자칫, 글로컬대학 사업 자체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 상황.

2시간 반의 격론 끝에 통폐합 수정안은 찬성 15표, 반대 6표로 가결됐습니다.

[우흥명/강원대학교 평의원회 의장 : "미비하나마 앞으로 우리 강원대학교 1도1국립대의 통합이 우리의 미래에 아주 중요한 목표고 그것을 위해서는 지금의 진통을 감수하자는…."]

강원대학교로선 대학 통합의 큰 고비를 넘겼습니다.

강원대는 최대한 빨리, 교육부에 늦어진 서류를 제출해 통합 승인을 받을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내년 입학전형부턴 '통합 강원대학교'로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입니다.

[정재연/강원대학교 총장 : "강원대학교가 강원특별자치도의 전반적인 지역의 혁신을 이끌고 지역과 상생발전하는 그런 대학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 노력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풀어야 할 숙제는 많습니다.

학과 중복, 대학 조직 정비를 놓고 구성원간 갈등의 불씨는 남아있습니다.

대학 통합을 지역 발전의 구심점으로 만들기 위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도 지역사회에 선보여야 합니다.

KBS 뉴스 하초희입니다.

촬영기자:고명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대-강릉원주대 통합안 ‘진통 끝 통과’
    • 입력 2025-04-28 19:20:59
    • 수정2025-04-28 19:55:45
    뉴스7(춘천)
[앵커]

강원대학교와 강릉원주대의 통폐합 수정안이 학내 최고의결기구인 대학 평의원회를 통과했습니다.

관련 절차가 더 늦어질 경우, 글로컬대학 사업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어렵사리, 고비를 넘게 됐습니다.

하초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원대학교를 지켜주세요!"]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직원들이 대학 본부 복도에 줄지어 앉았습니다.

강릉원주대와의 통합 수정안에 여전히, 불만을 표시하는 겁니다.

평의원회에는 긴장감이 감돕니다.

교육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한 뒤, 여는 세번째 회의이기 때문입니다.

첫 회의는 삼척 지역 항의로 파행했고, 두번째에선 통합안이 부결됐습니다.

자칫, 글로컬대학 사업 자체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 상황.

2시간 반의 격론 끝에 통폐합 수정안은 찬성 15표, 반대 6표로 가결됐습니다.

[우흥명/강원대학교 평의원회 의장 : "미비하나마 앞으로 우리 강원대학교 1도1국립대의 통합이 우리의 미래에 아주 중요한 목표고 그것을 위해서는 지금의 진통을 감수하자는…."]

강원대학교로선 대학 통합의 큰 고비를 넘겼습니다.

강원대는 최대한 빨리, 교육부에 늦어진 서류를 제출해 통합 승인을 받을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내년 입학전형부턴 '통합 강원대학교'로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입니다.

[정재연/강원대학교 총장 : "강원대학교가 강원특별자치도의 전반적인 지역의 혁신을 이끌고 지역과 상생발전하는 그런 대학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 노력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풀어야 할 숙제는 많습니다.

학과 중복, 대학 조직 정비를 놓고 구성원간 갈등의 불씨는 남아있습니다.

대학 통합을 지역 발전의 구심점으로 만들기 위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도 지역사회에 선보여야 합니다.

KBS 뉴스 하초희입니다.

촬영기자:고명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