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시달린 100일…기업들 “일단 버텨라”

입력 2025.04.28 (19:24) 수정 2025.04.28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100일 동안 우리 기업들은 유례없는 고율 관세로 수출 타격이 현실화 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당분간 이같은 '불확실성'이 계속될 거라는 건데, 일단 상황을 '관망'하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한미 정부는 지난주 첫 관세 협의에 이어 실무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박경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1분기 44조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낸 현대차.

미국에서도 지난달 가장 많은 차량을 팔았습니다.

그러나 2분기엔 미국 시장에서 재고로 버티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이승조/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지난 24일 : "3월 말까지 최대한 선적을 추진했고요. 완성차 기준으로는 지금 3.1개월의 재고를 북미에서 갖고 있고, 부품은 그것보다 더 긴 재고를…"]

오락가락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삼성과 LG 등도 미국 내 기존 생산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며 시간을 벌 계획입니다.

현지 투자를 확대할 수도 있지만, 투자 비용과 생산 원가 등 따져봐야 할 요소가 한둘이 아닙니다.

당장은 아니지만, 미국 내 제품 가격 인상, 관세 리스크 분산을 위한 생산 기지 이전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라이벌'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공동으로 미국에 제철소를 짓기로 손을 잡았습니다.

미·중 패권 경쟁을 고려해 중국이 아닌 인도 등으로 투자 다변화를 꾀하는 기업도 늘었습니다.

[장상식/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중국의 핵심 광물 통제에도 대처해야 하고 미국이 중국을 배제하는 것에도 대처해야 하기 때문에요. 기업들이 공급망을 좀 안전한 데 아니면 이중화 복선화…"]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지난주 협의에서 정해진 4개 의제 중 관세와 비관세, 경제 안보 등 3개 분야는 6개 안팎의 실무 협의체를 구성해 다음 주부터 회의에 본격 착수합니다.

환율은 금융 당국 간에 별도 협의가 이뤄집니다.

정부는 협상의 최종 결론은 대선 이후 차기 정부에서 내게 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경준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확실성’ 시달린 100일…기업들 “일단 버텨라”
    • 입력 2025-04-28 19:24:54
    • 수정2025-04-28 22:04:54
    뉴스 7
[앵커]

트럼프 100일 동안 우리 기업들은 유례없는 고율 관세로 수출 타격이 현실화 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당분간 이같은 '불확실성'이 계속될 거라는 건데, 일단 상황을 '관망'하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한미 정부는 지난주 첫 관세 협의에 이어 실무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박경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1분기 44조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낸 현대차.

미국에서도 지난달 가장 많은 차량을 팔았습니다.

그러나 2분기엔 미국 시장에서 재고로 버티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이승조/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지난 24일 : "3월 말까지 최대한 선적을 추진했고요. 완성차 기준으로는 지금 3.1개월의 재고를 북미에서 갖고 있고, 부품은 그것보다 더 긴 재고를…"]

오락가락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삼성과 LG 등도 미국 내 기존 생산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며 시간을 벌 계획입니다.

현지 투자를 확대할 수도 있지만, 투자 비용과 생산 원가 등 따져봐야 할 요소가 한둘이 아닙니다.

당장은 아니지만, 미국 내 제품 가격 인상, 관세 리스크 분산을 위한 생산 기지 이전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라이벌'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공동으로 미국에 제철소를 짓기로 손을 잡았습니다.

미·중 패권 경쟁을 고려해 중국이 아닌 인도 등으로 투자 다변화를 꾀하는 기업도 늘었습니다.

[장상식/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중국의 핵심 광물 통제에도 대처해야 하고 미국이 중국을 배제하는 것에도 대처해야 하기 때문에요. 기업들이 공급망을 좀 안전한 데 아니면 이중화 복선화…"]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지난주 협의에서 정해진 4개 의제 중 관세와 비관세, 경제 안보 등 3개 분야는 6개 안팎의 실무 협의체를 구성해 다음 주부터 회의에 본격 착수합니다.

환율은 금융 당국 간에 별도 협의가 이뤄집니다.

정부는 협상의 최종 결론은 대선 이후 차기 정부에서 내게 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경준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