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줄어드는 입학생…도심 이전으로 돌파구 모색
입력 2025.04.29 (09:53)
수정 2025.04.29 (09: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산 여파로 입학 정원을 채우지 못한 사립대학이 지난해 약 60%에 달했습니다.
대학들이 생존을 위해 도심으로 캠퍼스를 옮기고 있습니다.
[리포트]
다카마쓰시 중심부에 새로 문을 연 도쿠시마 분리 대학 캠퍼스.
기존 캠퍼스는 다카마쓰역에서 전철로 30분, 거기서 다시 도보로 25분 걸리는 외곽에 있었습니다.
입학생 확보가 어려워지자 대학 측이 도심 이전을 단행했고, 올해 입학생은 지난해보다 60%나 늘었습니다.
[다카마쓰시 출신 신입생 : "(캠퍼스를) 옮기지 않았다면 간사이 지방 쪽 대학에 가서 자취했을 거예요. 집에서 다닐 수 있어서 좋습니다."]
이전을 계기로 지역과 상생을 모색하는 대학도 있습니다.
센다이시 도호쿠 가쿠인 대학은 교외에 있던 캠퍼스를 도심으로 옮기고, 스포츠팀 연습장 등으로 빈 캠퍼스 공간을 빌려주고 있습니다.
지역 맞춤형 학부와 성인 강좌도 운영합니다.
[지역사회복지사 강좌 수강생 : "가까운 곳에서 지역복지에 대해 다시 공부하고 역량을 키울 기회가 있다는 건 고마운 일이죠."]
앞으로 대학은 지역을 지속시키는 데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는 기관이 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조언입니다.
저출산 여파로 입학 정원을 채우지 못한 사립대학이 지난해 약 60%에 달했습니다.
대학들이 생존을 위해 도심으로 캠퍼스를 옮기고 있습니다.
[리포트]
다카마쓰시 중심부에 새로 문을 연 도쿠시마 분리 대학 캠퍼스.
기존 캠퍼스는 다카마쓰역에서 전철로 30분, 거기서 다시 도보로 25분 걸리는 외곽에 있었습니다.
입학생 확보가 어려워지자 대학 측이 도심 이전을 단행했고, 올해 입학생은 지난해보다 60%나 늘었습니다.
[다카마쓰시 출신 신입생 : "(캠퍼스를) 옮기지 않았다면 간사이 지방 쪽 대학에 가서 자취했을 거예요. 집에서 다닐 수 있어서 좋습니다."]
이전을 계기로 지역과 상생을 모색하는 대학도 있습니다.
센다이시 도호쿠 가쿠인 대학은 교외에 있던 캠퍼스를 도심으로 옮기고, 스포츠팀 연습장 등으로 빈 캠퍼스 공간을 빌려주고 있습니다.
지역 맞춤형 학부와 성인 강좌도 운영합니다.
[지역사회복지사 강좌 수강생 : "가까운 곳에서 지역복지에 대해 다시 공부하고 역량을 키울 기회가 있다는 건 고마운 일이죠."]
앞으로 대학은 지역을 지속시키는 데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는 기관이 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조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줄어드는 입학생…도심 이전으로 돌파구 모색
-
- 입력 2025-04-29 09:53:00
- 수정2025-04-29 09:56:33

[앵커]
저출산 여파로 입학 정원을 채우지 못한 사립대학이 지난해 약 60%에 달했습니다.
대학들이 생존을 위해 도심으로 캠퍼스를 옮기고 있습니다.
[리포트]
다카마쓰시 중심부에 새로 문을 연 도쿠시마 분리 대학 캠퍼스.
기존 캠퍼스는 다카마쓰역에서 전철로 30분, 거기서 다시 도보로 25분 걸리는 외곽에 있었습니다.
입학생 확보가 어려워지자 대학 측이 도심 이전을 단행했고, 올해 입학생은 지난해보다 60%나 늘었습니다.
[다카마쓰시 출신 신입생 : "(캠퍼스를) 옮기지 않았다면 간사이 지방 쪽 대학에 가서 자취했을 거예요. 집에서 다닐 수 있어서 좋습니다."]
이전을 계기로 지역과 상생을 모색하는 대학도 있습니다.
센다이시 도호쿠 가쿠인 대학은 교외에 있던 캠퍼스를 도심으로 옮기고, 스포츠팀 연습장 등으로 빈 캠퍼스 공간을 빌려주고 있습니다.
지역 맞춤형 학부와 성인 강좌도 운영합니다.
[지역사회복지사 강좌 수강생 : "가까운 곳에서 지역복지에 대해 다시 공부하고 역량을 키울 기회가 있다는 건 고마운 일이죠."]
앞으로 대학은 지역을 지속시키는 데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는 기관이 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조언입니다.
저출산 여파로 입학 정원을 채우지 못한 사립대학이 지난해 약 60%에 달했습니다.
대학들이 생존을 위해 도심으로 캠퍼스를 옮기고 있습니다.
[리포트]
다카마쓰시 중심부에 새로 문을 연 도쿠시마 분리 대학 캠퍼스.
기존 캠퍼스는 다카마쓰역에서 전철로 30분, 거기서 다시 도보로 25분 걸리는 외곽에 있었습니다.
입학생 확보가 어려워지자 대학 측이 도심 이전을 단행했고, 올해 입학생은 지난해보다 60%나 늘었습니다.
[다카마쓰시 출신 신입생 : "(캠퍼스를) 옮기지 않았다면 간사이 지방 쪽 대학에 가서 자취했을 거예요. 집에서 다닐 수 있어서 좋습니다."]
이전을 계기로 지역과 상생을 모색하는 대학도 있습니다.
센다이시 도호쿠 가쿠인 대학은 교외에 있던 캠퍼스를 도심으로 옮기고, 스포츠팀 연습장 등으로 빈 캠퍼스 공간을 빌려주고 있습니다.
지역 맞춤형 학부와 성인 강좌도 운영합니다.
[지역사회복지사 강좌 수강생 : "가까운 곳에서 지역복지에 대해 다시 공부하고 역량을 키울 기회가 있다는 건 고마운 일이죠."]
앞으로 대학은 지역을 지속시키는 데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는 기관이 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조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