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이어 이시바도 ‘동남아 구애’…“중국 영향력 제어”
입력 2025.04.29 (11:37)
수정 2025.04.29 (11: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올해 1월에 이어 3개월 남짓 만에 다시 동남아시아를 찾아 안보·경제 협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1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방문했고, 이달 27일부터 3박 4일 일정으로 베트남과 필리핀을 순방 중입니다.
일본 총리들은 국회 일정을 고려해 보통 긴 연휴가 있는 4월 말이나 5월 초에 외국을 방문하는데, 이시바 총리는 올해 연이어 동남아를 찾으며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이 지역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특히 이시바 총리의 이번 동남아 방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중순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찾은 지 열흘 정도 지난 뒤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남아시아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 영향력을 제어하려는 일본이 역내 역학 관계를 둘러싸고 겨루는 듯한 양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 내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미국 관세 정책 영향으로 중국 의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무성 간부는 “(미국 영향력 저하 등으로) 동남아시아에 ‘힘의 공백’이 생겨 시 주석이 그 틈을 파고들고 있다”며 “중국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책에 대항해 일본의 생각을 침투시키고자 한다”고 아사히에 말했습니다.
신문은 “일본은 아세안 국가 중에서도 일본처럼 해양 국가이자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 사안 등을 안고 있는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안보 협력을 중시한다”며 이시바 총리의 1월과 4월 방문지 선택에 전략적 판단이 깔려 있다고 짚었습니다.
일본 언론은 전날 이시바 총리와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간 회담에서 베트남 측이 일본의 방위 장비 공여 제도인 ‘정부 안전보장 능력 강화 지원’(OSA)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낸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는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군수 물자를 상호 지원하는 물품·역무 상호 제공 협정(ACSA) 체결을 위한 협의를 시작한다는 데에 뜻을 모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사히는 일본이 동남아 국가들과 안보 협력 외에도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을 통한 경제 연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일본 총리들은 국회 일정을 고려해 보통 긴 연휴가 있는 4월 말이나 5월 초에 외국을 방문하는데, 이시바 총리는 올해 연이어 동남아를 찾으며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이 지역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특히 이시바 총리의 이번 동남아 방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중순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찾은 지 열흘 정도 지난 뒤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남아시아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 영향력을 제어하려는 일본이 역내 역학 관계를 둘러싸고 겨루는 듯한 양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 내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미국 관세 정책 영향으로 중국 의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무성 간부는 “(미국 영향력 저하 등으로) 동남아시아에 ‘힘의 공백’이 생겨 시 주석이 그 틈을 파고들고 있다”며 “중국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책에 대항해 일본의 생각을 침투시키고자 한다”고 아사히에 말했습니다.
신문은 “일본은 아세안 국가 중에서도 일본처럼 해양 국가이자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 사안 등을 안고 있는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안보 협력을 중시한다”며 이시바 총리의 1월과 4월 방문지 선택에 전략적 판단이 깔려 있다고 짚었습니다.
일본 언론은 전날 이시바 총리와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간 회담에서 베트남 측이 일본의 방위 장비 공여 제도인 ‘정부 안전보장 능력 강화 지원’(OSA)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낸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는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군수 물자를 상호 지원하는 물품·역무 상호 제공 협정(ACSA) 체결을 위한 협의를 시작한다는 데에 뜻을 모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사히는 일본이 동남아 국가들과 안보 협력 외에도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을 통한 경제 연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진핑 이어 이시바도 ‘동남아 구애’…“중국 영향력 제어”
-
- 입력 2025-04-29 11:37:13
- 수정2025-04-29 11:37:54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올해 1월에 이어 3개월 남짓 만에 다시 동남아시아를 찾아 안보·경제 협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1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방문했고, 이달 27일부터 3박 4일 일정으로 베트남과 필리핀을 순방 중입니다.
일본 총리들은 국회 일정을 고려해 보통 긴 연휴가 있는 4월 말이나 5월 초에 외국을 방문하는데, 이시바 총리는 올해 연이어 동남아를 찾으며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이 지역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특히 이시바 총리의 이번 동남아 방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중순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찾은 지 열흘 정도 지난 뒤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남아시아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 영향력을 제어하려는 일본이 역내 역학 관계를 둘러싸고 겨루는 듯한 양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 내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미국 관세 정책 영향으로 중국 의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무성 간부는 “(미국 영향력 저하 등으로) 동남아시아에 ‘힘의 공백’이 생겨 시 주석이 그 틈을 파고들고 있다”며 “중국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책에 대항해 일본의 생각을 침투시키고자 한다”고 아사히에 말했습니다.
신문은 “일본은 아세안 국가 중에서도 일본처럼 해양 국가이자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 사안 등을 안고 있는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안보 협력을 중시한다”며 이시바 총리의 1월과 4월 방문지 선택에 전략적 판단이 깔려 있다고 짚었습니다.
일본 언론은 전날 이시바 총리와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간 회담에서 베트남 측이 일본의 방위 장비 공여 제도인 ‘정부 안전보장 능력 강화 지원’(OSA)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낸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는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군수 물자를 상호 지원하는 물품·역무 상호 제공 협정(ACSA) 체결을 위한 협의를 시작한다는 데에 뜻을 모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사히는 일본이 동남아 국가들과 안보 협력 외에도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을 통한 경제 연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일본 총리들은 국회 일정을 고려해 보통 긴 연휴가 있는 4월 말이나 5월 초에 외국을 방문하는데, 이시바 총리는 올해 연이어 동남아를 찾으며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이 지역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특히 이시바 총리의 이번 동남아 방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중순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찾은 지 열흘 정도 지난 뒤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남아시아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 영향력을 제어하려는 일본이 역내 역학 관계를 둘러싸고 겨루는 듯한 양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 내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미국 관세 정책 영향으로 중국 의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무성 간부는 “(미국 영향력 저하 등으로) 동남아시아에 ‘힘의 공백’이 생겨 시 주석이 그 틈을 파고들고 있다”며 “중국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책에 대항해 일본의 생각을 침투시키고자 한다”고 아사히에 말했습니다.
신문은 “일본은 아세안 국가 중에서도 일본처럼 해양 국가이자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 사안 등을 안고 있는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안보 협력을 중시한다”며 이시바 총리의 1월과 4월 방문지 선택에 전략적 판단이 깔려 있다고 짚었습니다.
일본 언론은 전날 이시바 총리와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간 회담에서 베트남 측이 일본의 방위 장비 공여 제도인 ‘정부 안전보장 능력 강화 지원’(OSA)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낸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는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군수 물자를 상호 지원하는 물품·역무 상호 제공 협정(ACSA) 체결을 위한 협의를 시작한다는 데에 뜻을 모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사히는 일본이 동남아 국가들과 안보 협력 외에도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을 통한 경제 연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송영석 기자 sys@kbs.co.kr
송영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