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정보부 장관 “‘인도의 공격 임박’ 정보 확보”

입력 2025.04.30 (10:52) 수정 2025.04.30 (10: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권 분쟁지인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로 인해 인도와 파키스탄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파키스탄 정보부 장관이 인도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신뢰할 만한 정보를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파키스탄 일간 돈(dawn) 등에 따르면, 아타울라 타라르 파키스탄 정보부 장관은 현지 시각 30일 새벽 성명을 통해 “파키스탄은 인도가 테러 사건을 허위 구실로 삼아 향후 24∼36시간 내 군사 공격을 감행할 계획이라는 신뢰할 만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타라르 장관은 “어떠한 공격 행위든 결정적인 대응을 받을 것”이라며 “지역 내 중대한 결과에 대해 인도는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AFP 통신은 익명의 고위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전날 군·안보 수장들과 비공개회의를 갖고 “테러 공격에 대한 대응 방식, 목표, 시기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완전한 작전 자유권”을 부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카슈미르 테러 사건과 관련해 인도군이 자체 판단에 따라 언제 어떤 방식으로든 파키스탄을 공격할 수 있도록 ‘작전상의 자유’를 부여한 것입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의 갈등은 지난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인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가 발생해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친 뒤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인도는 이번 사건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파키스탄으로 흘러가는 인더스강 물줄기를 방해하지 않기로 한 ‘인더스강 조약’ 효력을 중단하고 인도 내 파키스탄인 비자를 취소하는 등 제재에 나섰습니다. 파키스탄은 테러 연루 의혹을 부인하며 인도 항공기의 영공 진입 금지, 무역 중단과 인도인 비자 취소 등으로 맞섰습니다.

이후 두 나라의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을 두고 5일 연속 소규모 교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인도는 각종 전투 훈련에 들어갔으며, 파키스탄 당국은 인도의 침공이 임박했다며 대비 태세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이에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직접 나서 양국의 자제를 촉구했으며 미국과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여러 나라가 양국과 접촉하며 중재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파키스탄 정보부 장관 “‘인도의 공격 임박’ 정보 확보”
    • 입력 2025-04-30 10:52:18
    • 수정2025-04-30 10:53:24
    국제
영유권 분쟁지인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로 인해 인도와 파키스탄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파키스탄 정보부 장관이 인도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신뢰할 만한 정보를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파키스탄 일간 돈(dawn) 등에 따르면, 아타울라 타라르 파키스탄 정보부 장관은 현지 시각 30일 새벽 성명을 통해 “파키스탄은 인도가 테러 사건을 허위 구실로 삼아 향후 24∼36시간 내 군사 공격을 감행할 계획이라는 신뢰할 만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타라르 장관은 “어떠한 공격 행위든 결정적인 대응을 받을 것”이라며 “지역 내 중대한 결과에 대해 인도는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AFP 통신은 익명의 고위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전날 군·안보 수장들과 비공개회의를 갖고 “테러 공격에 대한 대응 방식, 목표, 시기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완전한 작전 자유권”을 부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카슈미르 테러 사건과 관련해 인도군이 자체 판단에 따라 언제 어떤 방식으로든 파키스탄을 공격할 수 있도록 ‘작전상의 자유’를 부여한 것입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의 갈등은 지난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인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가 발생해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친 뒤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인도는 이번 사건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파키스탄으로 흘러가는 인더스강 물줄기를 방해하지 않기로 한 ‘인더스강 조약’ 효력을 중단하고 인도 내 파키스탄인 비자를 취소하는 등 제재에 나섰습니다. 파키스탄은 테러 연루 의혹을 부인하며 인도 항공기의 영공 진입 금지, 무역 중단과 인도인 비자 취소 등으로 맞섰습니다.

이후 두 나라의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을 두고 5일 연속 소규모 교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인도는 각종 전투 훈련에 들어갔으며, 파키스탄 당국은 인도의 침공이 임박했다며 대비 태세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이에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직접 나서 양국의 자제를 촉구했으며 미국과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여러 나라가 양국과 접촉하며 중재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