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탑승 헬기 4대 8,700억 원에 국외 구매 추진
입력 2025.04.30 (16:25)
수정 2025.04.30 (16: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위사업청이 대통령이 탑승하는 지휘헬기 4대를 8,700억 원에 국외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방사청은 오늘(30일) 오후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열린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대통령 전용 헬기를 확보하는 '지휘헬기-Ⅱ'의 사업 방식이 국외 구매로 결정됐습니다.
기존 대통령 전용 헬기는 시콜스키가 제작한 VH-92로, 2007년에 구입해 18년 동안 사용됐습니다.
방사청은 기존 헬기보다 생존성과 지휘통제능력이 뛰어난 새 헬기를 2031년까지 확보할 계획입니다.
구매 물량은 4대이며, 후보기종은 에어버스의 H225M, 벨의 Bell 525, 레오나르도의 AW-101, 록히드마틴의 S-92A+로 전해졌습니다.
방사청은 "적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이 보강된 신규 지휘헬기를 도입해 안정적인 (대통령 국내) 지휘공수 임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방추위에선 전자전기(Block-Ⅰ) 체계개발기본계획도 심의, 의결됐습니다.
전자전기 사업은 평시 주변국의 위협신호를 수집, 분석하고 전시엔 전자공격(재밍)을 통해 적의 통합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 교란하는 항공기를 국내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전자전기 개발사업에는 1조 9,206억 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34년까지입니다.
방사청은 "이 사업을 통해 원거리 전자전 수행 능력을 보유한 전자전기를 확보해 전시에 적의 핵심전력 타격 임무를 수행하는 우리 공중 전력의 생존성과 합동작전수행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는 국외 구매로 확보하기로 했는데, 육군 특수전사령부 특임여단의 공중침투 능력과 공군의 탐색구조작전 능력 등을 보강하기 위해 도입됩니다.
방사청은 "최신의 항법·통신·생존장비가 장착된 특수작전용 헬기를 확보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특수작전 항공지원 수행이 가능하게 되고, 공군의 전투탐색구조 수행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수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설명했습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에는 3조3천657억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2033년까지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방사청은 오늘(30일) 오후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열린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대통령 전용 헬기를 확보하는 '지휘헬기-Ⅱ'의 사업 방식이 국외 구매로 결정됐습니다.
기존 대통령 전용 헬기는 시콜스키가 제작한 VH-92로, 2007년에 구입해 18년 동안 사용됐습니다.
방사청은 기존 헬기보다 생존성과 지휘통제능력이 뛰어난 새 헬기를 2031년까지 확보할 계획입니다.
구매 물량은 4대이며, 후보기종은 에어버스의 H225M, 벨의 Bell 525, 레오나르도의 AW-101, 록히드마틴의 S-92A+로 전해졌습니다.
방사청은 "적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이 보강된 신규 지휘헬기를 도입해 안정적인 (대통령 국내) 지휘공수 임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방추위에선 전자전기(Block-Ⅰ) 체계개발기본계획도 심의, 의결됐습니다.
전자전기 사업은 평시 주변국의 위협신호를 수집, 분석하고 전시엔 전자공격(재밍)을 통해 적의 통합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 교란하는 항공기를 국내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전자전기 개발사업에는 1조 9,206억 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34년까지입니다.
방사청은 "이 사업을 통해 원거리 전자전 수행 능력을 보유한 전자전기를 확보해 전시에 적의 핵심전력 타격 임무를 수행하는 우리 공중 전력의 생존성과 합동작전수행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는 국외 구매로 확보하기로 했는데, 육군 특수전사령부 특임여단의 공중침투 능력과 공군의 탐색구조작전 능력 등을 보강하기 위해 도입됩니다.
방사청은 "최신의 항법·통신·생존장비가 장착된 특수작전용 헬기를 확보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특수작전 항공지원 수행이 가능하게 되고, 공군의 전투탐색구조 수행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수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설명했습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에는 3조3천657억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2033년까지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통령 탑승 헬기 4대 8,700억 원에 국외 구매 추진
-
- 입력 2025-04-30 16:25:29
- 수정2025-04-30 16:32:25

방위사업청이 대통령이 탑승하는 지휘헬기 4대를 8,700억 원에 국외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방사청은 오늘(30일) 오후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열린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대통령 전용 헬기를 확보하는 '지휘헬기-Ⅱ'의 사업 방식이 국외 구매로 결정됐습니다.
기존 대통령 전용 헬기는 시콜스키가 제작한 VH-92로, 2007년에 구입해 18년 동안 사용됐습니다.
방사청은 기존 헬기보다 생존성과 지휘통제능력이 뛰어난 새 헬기를 2031년까지 확보할 계획입니다.
구매 물량은 4대이며, 후보기종은 에어버스의 H225M, 벨의 Bell 525, 레오나르도의 AW-101, 록히드마틴의 S-92A+로 전해졌습니다.
방사청은 "적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이 보강된 신규 지휘헬기를 도입해 안정적인 (대통령 국내) 지휘공수 임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방추위에선 전자전기(Block-Ⅰ) 체계개발기본계획도 심의, 의결됐습니다.
전자전기 사업은 평시 주변국의 위협신호를 수집, 분석하고 전시엔 전자공격(재밍)을 통해 적의 통합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 교란하는 항공기를 국내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전자전기 개발사업에는 1조 9,206억 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34년까지입니다.
방사청은 "이 사업을 통해 원거리 전자전 수행 능력을 보유한 전자전기를 확보해 전시에 적의 핵심전력 타격 임무를 수행하는 우리 공중 전력의 생존성과 합동작전수행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는 국외 구매로 확보하기로 했는데, 육군 특수전사령부 특임여단의 공중침투 능력과 공군의 탐색구조작전 능력 등을 보강하기 위해 도입됩니다.
방사청은 "최신의 항법·통신·생존장비가 장착된 특수작전용 헬기를 확보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특수작전 항공지원 수행이 가능하게 되고, 공군의 전투탐색구조 수행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수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설명했습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에는 3조3천657억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2033년까지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방사청은 오늘(30일) 오후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김선호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열린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대통령 전용 헬기를 확보하는 '지휘헬기-Ⅱ'의 사업 방식이 국외 구매로 결정됐습니다.
기존 대통령 전용 헬기는 시콜스키가 제작한 VH-92로, 2007년에 구입해 18년 동안 사용됐습니다.
방사청은 기존 헬기보다 생존성과 지휘통제능력이 뛰어난 새 헬기를 2031년까지 확보할 계획입니다.
구매 물량은 4대이며, 후보기종은 에어버스의 H225M, 벨의 Bell 525, 레오나르도의 AW-101, 록히드마틴의 S-92A+로 전해졌습니다.
방사청은 "적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이 보강된 신규 지휘헬기를 도입해 안정적인 (대통령 국내) 지휘공수 임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방추위에선 전자전기(Block-Ⅰ) 체계개발기본계획도 심의, 의결됐습니다.
전자전기 사업은 평시 주변국의 위협신호를 수집, 분석하고 전시엔 전자공격(재밍)을 통해 적의 통합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 교란하는 항공기를 국내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전자전기 개발사업에는 1조 9,206억 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34년까지입니다.
방사청은 "이 사업을 통해 원거리 전자전 수행 능력을 보유한 전자전기를 확보해 전시에 적의 핵심전력 타격 임무를 수행하는 우리 공중 전력의 생존성과 합동작전수행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는 국외 구매로 확보하기로 했는데, 육군 특수전사령부 특임여단의 공중침투 능력과 공군의 탐색구조작전 능력 등을 보강하기 위해 도입됩니다.
방사청은 "최신의 항법·통신·생존장비가 장착된 특수작전용 헬기를 확보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특수작전 항공지원 수행이 가능하게 되고, 공군의 전투탐색구조 수행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수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설명했습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에는 3조3천657억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2033년까지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송금한 기자 email@kbs.co.kr
송금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