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선 테마주’ 60개 지정…신고 포상 최대 30억 원
입력 2025.05.01 (12:00)
수정 2025.05.01 (1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다음 달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른바 ‘대선 테마주’로 지정된 60개 종목 위주로 특별단속에 나섭니다.
금융감독원은 특정 정치인과 관련된 테마주의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집중제보 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지난달 18일까지 투자 경고 이상의 시장 경보를 받고 특정 정치인이나 정책과 관련된 60개 종목을 ‘21대 대선 테마주’로 지정했습니다.
이들 종목은 회사 사외이사 출신이 선거 캠프에 합류했다거나 본사 소재지가 대선 주자의 고향이라는 이유 등만으로 주가가 출렁이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금감원 분석 결과, 해당 종목들은 모두 중·소형주로 당기순이익이 코스피 종목은 평균 10억 원 적자, 코스닥은 평균 5억 원 정도 적자였습니다.
이들 종목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3으로 시장 평균보다 2배 이상 과열된 상태였습니다.
금감원은 탄핵 이후 실시된 19대 대선 당시에도 정치테마주의 급등락이 반복하다가 선거일 전후 주가가 원래 수준으로 회귀했다며 투자 위험도가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금감원은 거래소와도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정체 테마주의 불법 행위를 제보한 신고자에게는 최대 30억 원을 포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특정 정치인과 관련된 테마주의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집중제보 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지난달 18일까지 투자 경고 이상의 시장 경보를 받고 특정 정치인이나 정책과 관련된 60개 종목을 ‘21대 대선 테마주’로 지정했습니다.
이들 종목은 회사 사외이사 출신이 선거 캠프에 합류했다거나 본사 소재지가 대선 주자의 고향이라는 이유 등만으로 주가가 출렁이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금감원 분석 결과, 해당 종목들은 모두 중·소형주로 당기순이익이 코스피 종목은 평균 10억 원 적자, 코스닥은 평균 5억 원 정도 적자였습니다.
이들 종목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3으로 시장 평균보다 2배 이상 과열된 상태였습니다.
금감원은 탄핵 이후 실시된 19대 대선 당시에도 정치테마주의 급등락이 반복하다가 선거일 전후 주가가 원래 수준으로 회귀했다며 투자 위험도가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금감원은 거래소와도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정체 테마주의 불법 행위를 제보한 신고자에게는 최대 30억 원을 포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1대 대선 테마주’ 60개 지정…신고 포상 최대 30억 원
-
- 입력 2025-05-01 12:00:35
- 수정2025-05-01 12:24:51

금융당국이 다음 달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른바 ‘대선 테마주’로 지정된 60개 종목 위주로 특별단속에 나섭니다.
금융감독원은 특정 정치인과 관련된 테마주의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집중제보 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지난달 18일까지 투자 경고 이상의 시장 경보를 받고 특정 정치인이나 정책과 관련된 60개 종목을 ‘21대 대선 테마주’로 지정했습니다.
이들 종목은 회사 사외이사 출신이 선거 캠프에 합류했다거나 본사 소재지가 대선 주자의 고향이라는 이유 등만으로 주가가 출렁이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금감원 분석 결과, 해당 종목들은 모두 중·소형주로 당기순이익이 코스피 종목은 평균 10억 원 적자, 코스닥은 평균 5억 원 정도 적자였습니다.
이들 종목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3으로 시장 평균보다 2배 이상 과열된 상태였습니다.
금감원은 탄핵 이후 실시된 19대 대선 당시에도 정치테마주의 급등락이 반복하다가 선거일 전후 주가가 원래 수준으로 회귀했다며 투자 위험도가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금감원은 거래소와도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정체 테마주의 불법 행위를 제보한 신고자에게는 최대 30억 원을 포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특정 정치인과 관련된 테마주의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집중제보 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지난달 18일까지 투자 경고 이상의 시장 경보를 받고 특정 정치인이나 정책과 관련된 60개 종목을 ‘21대 대선 테마주’로 지정했습니다.
이들 종목은 회사 사외이사 출신이 선거 캠프에 합류했다거나 본사 소재지가 대선 주자의 고향이라는 이유 등만으로 주가가 출렁이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금감원 분석 결과, 해당 종목들은 모두 중·소형주로 당기순이익이 코스피 종목은 평균 10억 원 적자, 코스닥은 평균 5억 원 정도 적자였습니다.
이들 종목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3으로 시장 평균보다 2배 이상 과열된 상태였습니다.
금감원은 탄핵 이후 실시된 19대 대선 당시에도 정치테마주의 급등락이 반복하다가 선거일 전후 주가가 원래 수준으로 회귀했다며 투자 위험도가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금감원은 거래소와도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정체 테마주의 불법 행위를 제보한 신고자에게는 최대 30억 원을 포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6월 3일 21대 대통령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