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62% “하루 2시간 못 놀아”…가장 큰 고민은 ‘공부’
입력 2025.05.01 (15:07)
수정 2025.05.01 (15: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10명 중 6명이 “하루에 노는 시간이 2시간도 안 된다”고 답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국 초등학생 4∼6학년 2,804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9∼22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소 하루에 놀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는 질문에 62%가 ‘2시간 이하’라고 답했습니다.
15.8%는 ‘하루에 노는 시간이 1시간도 채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시간이 생기면 가장 하고 싶은 활동(2개 선택)을 물었더니, ‘친구들과 만나 놀기’가 54.6%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친구들과 게임하기’(33.5%), ‘유튜브 등 영상 보기’(29.2%), ‘운동하기’(23.6%), ‘식구들과 시간 갖기’(21.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 6학년의 30%는 일정을 마치면 저녁 8시 이후에나 집에 갈 수 있다고 답했고, 4%는 밤 10시 이후 귀가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초등 의대반’ 등 과도한 선행 학습에 대해서는 31.1%가 ‘일찍 시작하면 좋다’, 27.8%는 ‘어린 나이에 그런 공부를 시키면 안 된다’고 답해 긍정과 부정 인식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중복 응답 가능)은 ‘공부’(69%)였고, 이어 친구 관계‘(33%), ’외모‘(24%), ’따돌림‘(14%) 순이었습니다.
또 어린이들이 가장 걱정하는 사회 문제(중복 응답 가능)는 ’전쟁‘(65.9%)이었습니다,
다음은 ’저출생‘(56.9%), ’기후 위기‘(49.8%), ’일자리‘(31.5%)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공]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국 초등학생 4∼6학년 2,804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9∼22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소 하루에 놀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는 질문에 62%가 ‘2시간 이하’라고 답했습니다.
15.8%는 ‘하루에 노는 시간이 1시간도 채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시간이 생기면 가장 하고 싶은 활동(2개 선택)을 물었더니, ‘친구들과 만나 놀기’가 54.6%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친구들과 게임하기’(33.5%), ‘유튜브 등 영상 보기’(29.2%), ‘운동하기’(23.6%), ‘식구들과 시간 갖기’(21.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 6학년의 30%는 일정을 마치면 저녁 8시 이후에나 집에 갈 수 있다고 답했고, 4%는 밤 10시 이후 귀가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초등 의대반’ 등 과도한 선행 학습에 대해서는 31.1%가 ‘일찍 시작하면 좋다’, 27.8%는 ‘어린 나이에 그런 공부를 시키면 안 된다’고 답해 긍정과 부정 인식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중복 응답 가능)은 ‘공부’(69%)였고, 이어 친구 관계‘(33%), ’외모‘(24%), ’따돌림‘(14%) 순이었습니다.
또 어린이들이 가장 걱정하는 사회 문제(중복 응답 가능)는 ’전쟁‘(65.9%)이었습니다,
다음은 ’저출생‘(56.9%), ’기후 위기‘(49.8%), ’일자리‘(31.5%)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 62% “하루 2시간 못 놀아”…가장 큰 고민은 ‘공부’
-
- 입력 2025-05-01 15:07:53
- 수정2025-05-01 15:13:24

어린이 10명 중 6명이 “하루에 노는 시간이 2시간도 안 된다”고 답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국 초등학생 4∼6학년 2,804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9∼22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소 하루에 놀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는 질문에 62%가 ‘2시간 이하’라고 답했습니다.
15.8%는 ‘하루에 노는 시간이 1시간도 채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시간이 생기면 가장 하고 싶은 활동(2개 선택)을 물었더니, ‘친구들과 만나 놀기’가 54.6%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친구들과 게임하기’(33.5%), ‘유튜브 등 영상 보기’(29.2%), ‘운동하기’(23.6%), ‘식구들과 시간 갖기’(21.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 6학년의 30%는 일정을 마치면 저녁 8시 이후에나 집에 갈 수 있다고 답했고, 4%는 밤 10시 이후 귀가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초등 의대반’ 등 과도한 선행 학습에 대해서는 31.1%가 ‘일찍 시작하면 좋다’, 27.8%는 ‘어린 나이에 그런 공부를 시키면 안 된다’고 답해 긍정과 부정 인식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중복 응답 가능)은 ‘공부’(69%)였고, 이어 친구 관계‘(33%), ’외모‘(24%), ’따돌림‘(14%) 순이었습니다.
또 어린이들이 가장 걱정하는 사회 문제(중복 응답 가능)는 ’전쟁‘(65.9%)이었습니다,
다음은 ’저출생‘(56.9%), ’기후 위기‘(49.8%), ’일자리‘(31.5%)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공]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국 초등학생 4∼6학년 2,804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9∼22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소 하루에 놀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는 질문에 62%가 ‘2시간 이하’라고 답했습니다.
15.8%는 ‘하루에 노는 시간이 1시간도 채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시간이 생기면 가장 하고 싶은 활동(2개 선택)을 물었더니, ‘친구들과 만나 놀기’가 54.6%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친구들과 게임하기’(33.5%), ‘유튜브 등 영상 보기’(29.2%), ‘운동하기’(23.6%), ‘식구들과 시간 갖기’(21.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 6학년의 30%는 일정을 마치면 저녁 8시 이후에나 집에 갈 수 있다고 답했고, 4%는 밤 10시 이후 귀가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초등 의대반’ 등 과도한 선행 학습에 대해서는 31.1%가 ‘일찍 시작하면 좋다’, 27.8%는 ‘어린 나이에 그런 공부를 시키면 안 된다’고 답해 긍정과 부정 인식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중복 응답 가능)은 ‘공부’(69%)였고, 이어 친구 관계‘(33%), ’외모‘(24%), ’따돌림‘(14%) 순이었습니다.
또 어린이들이 가장 걱정하는 사회 문제(중복 응답 가능)는 ’전쟁‘(65.9%)이었습니다,
다음은 ’저출생‘(56.9%), ’기후 위기‘(49.8%), ’일자리‘(31.5%)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공]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