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두만강 자동차 다리 통해 북한 희귀광물 개발할 수도”
입력 2025.05.01 (18:17)
수정 2025.05.01 (18: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북한과 착공에 나선 두만강 자동차 다리를 이용해 북한에 매장된 희귀 광물 개발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러시아 컨설팅회사 시베리아 금융시스템의 최고경영자 발렌틴 보고몰로프는 러시아와 북한 국경에 현대 교통 인프라가 개발되면 북한 자원에 대한 공동 개발과 합작 투자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타스 통신에 말했습니다.
보고몰로프는 북한에 마그네사이트, 텅스텐 등 자원이 풍부하다며 “여러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광물 자원 총가치는 약 3조 달러(약 4천281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북한은 제재로 인해 희토류 금속 등을 수출하지 못하고 있고 효율적인 채굴 산업을 구축하기 위한 자원과 기술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북한은 외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몰로프는 러시아와 북한이 자원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합작 기업을 설립할 수도 있다며 “예를 들어 북한에서 의류를 생산해 러시아로 수출하거나 간단한 기계 장비를 조립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은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30일 두만강 자동차 다리 착공식을 열었습니다. 현재 두만강에는 북한 두만강역과 러시아 하산역을 기차로 오갈 수 있는 철교가 있지만 자동차용 교량은 없습니다.
예상 공사 기간은 1년 6개월로 내년 말 완공 예정입니다. 러시아 교통부는 하루 300대의 차량과 2천850명이 다리를 통과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통신]
러시아 컨설팅회사 시베리아 금융시스템의 최고경영자 발렌틴 보고몰로프는 러시아와 북한 국경에 현대 교통 인프라가 개발되면 북한 자원에 대한 공동 개발과 합작 투자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타스 통신에 말했습니다.
보고몰로프는 북한에 마그네사이트, 텅스텐 등 자원이 풍부하다며 “여러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광물 자원 총가치는 약 3조 달러(약 4천281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북한은 제재로 인해 희토류 금속 등을 수출하지 못하고 있고 효율적인 채굴 산업을 구축하기 위한 자원과 기술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북한은 외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몰로프는 러시아와 북한이 자원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합작 기업을 설립할 수도 있다며 “예를 들어 북한에서 의류를 생산해 러시아로 수출하거나 간단한 기계 장비를 조립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은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30일 두만강 자동차 다리 착공식을 열었습니다. 현재 두만강에는 북한 두만강역과 러시아 하산역을 기차로 오갈 수 있는 철교가 있지만 자동차용 교량은 없습니다.
예상 공사 기간은 1년 6개월로 내년 말 완공 예정입니다. 러시아 교통부는 하루 300대의 차량과 2천850명이 다리를 통과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통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 두만강 자동차 다리 통해 북한 희귀광물 개발할 수도”
-
- 입력 2025-05-01 18:17:18
- 수정2025-05-01 18:37:51

러시아가 북한과 착공에 나선 두만강 자동차 다리를 이용해 북한에 매장된 희귀 광물 개발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러시아 컨설팅회사 시베리아 금융시스템의 최고경영자 발렌틴 보고몰로프는 러시아와 북한 국경에 현대 교통 인프라가 개발되면 북한 자원에 대한 공동 개발과 합작 투자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타스 통신에 말했습니다.
보고몰로프는 북한에 마그네사이트, 텅스텐 등 자원이 풍부하다며 “여러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광물 자원 총가치는 약 3조 달러(약 4천281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북한은 제재로 인해 희토류 금속 등을 수출하지 못하고 있고 효율적인 채굴 산업을 구축하기 위한 자원과 기술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북한은 외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몰로프는 러시아와 북한이 자원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합작 기업을 설립할 수도 있다며 “예를 들어 북한에서 의류를 생산해 러시아로 수출하거나 간단한 기계 장비를 조립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은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30일 두만강 자동차 다리 착공식을 열었습니다. 현재 두만강에는 북한 두만강역과 러시아 하산역을 기차로 오갈 수 있는 철교가 있지만 자동차용 교량은 없습니다.
예상 공사 기간은 1년 6개월로 내년 말 완공 예정입니다. 러시아 교통부는 하루 300대의 차량과 2천850명이 다리를 통과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통신]
러시아 컨설팅회사 시베리아 금융시스템의 최고경영자 발렌틴 보고몰로프는 러시아와 북한 국경에 현대 교통 인프라가 개발되면 북한 자원에 대한 공동 개발과 합작 투자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타스 통신에 말했습니다.
보고몰로프는 북한에 마그네사이트, 텅스텐 등 자원이 풍부하다며 “여러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광물 자원 총가치는 약 3조 달러(약 4천281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북한은 제재로 인해 희토류 금속 등을 수출하지 못하고 있고 효율적인 채굴 산업을 구축하기 위한 자원과 기술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북한은 외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몰로프는 러시아와 북한이 자원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합작 기업을 설립할 수도 있다며 “예를 들어 북한에서 의류를 생산해 러시아로 수출하거나 간단한 기계 장비를 조립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은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30일 두만강 자동차 다리 착공식을 열었습니다. 현재 두만강에는 북한 두만강역과 러시아 하산역을 기차로 오갈 수 있는 철교가 있지만 자동차용 교량은 없습니다.
예상 공사 기간은 1년 6개월로 내년 말 완공 예정입니다. 러시아 교통부는 하루 300대의 차량과 2천850명이 다리를 통과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통신]
-
-
김영은 기자 paz@kbs.co.kr
김영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