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4월 고용 17만7천명 증가…실업률 4.2%
입력 2025.05.02 (22:18)
수정 2025.05.03 (05: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 노동부는 4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7만 7천 명 증가했다고 2일 밝혔습니다.
최근 12개월 평균 증가 폭(15만 2천 명)을 웃도는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3만 3천 명)도 크게 상회했습니다.
지난 2월 고용 증가 폭은 10만 2천 명으로 1만 5천 명 하향 조정됐고, '깜짝 증가'를 보였던 3월 증가 폭은 18만 5천 명으로 4만 3천 명 하향 조정됐습니다.
의료(5만 1천 명), 운수·창고(2만 9천 명), 금융 활동(1만 4천 명), 사회지원(8천 명) 부문이 4월 고용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연방정부 고용은 9천 명 감소해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의 인력 구조조정을 반영했습니다.
지난 1월 이후 연방정부 고용 감소 폭은 2만 6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2% 올라 3월 상승률(0.3%) 대비 둔화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임금 상승률은 3.8%였습니다.
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및 전년 대비 모두 전문가 전망보다 각각 0.1%포인트 낮았습니다.
임금 상승률 둔화는 임금 상승발 물가 상승 압력 우려가 약화했음을 시사합니다.
한편, 4월 실업률은 4.2%로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고, 전문가 예상에도 부합했습니다.
4월 경제활동참가율은 62.6%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4월 비농업 고용 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시행된 후 첫 공식 실물경제 통계라는 점에서 월가의 관심이 주목돼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효한 10%의 기본 관세는 4월 5일 발효됐고, 9일 발효됐던 국가별 개별 상호 관세는 90일간 유예됐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총 145%의 관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평균 수준을 웃도는 고용 증가와 실업률 유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이 4월 들어서도 여전히 탄탄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날 고용 지표 발표 직후 주식은 강세를 나타내고, 채권 금리는 상승했습니다.
정규장 개장 직전 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선물은 전장 대비 1%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8분 기준 4.30%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9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최근 12개월 평균 증가 폭(15만 2천 명)을 웃도는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3만 3천 명)도 크게 상회했습니다.
지난 2월 고용 증가 폭은 10만 2천 명으로 1만 5천 명 하향 조정됐고, '깜짝 증가'를 보였던 3월 증가 폭은 18만 5천 명으로 4만 3천 명 하향 조정됐습니다.
의료(5만 1천 명), 운수·창고(2만 9천 명), 금융 활동(1만 4천 명), 사회지원(8천 명) 부문이 4월 고용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연방정부 고용은 9천 명 감소해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의 인력 구조조정을 반영했습니다.
지난 1월 이후 연방정부 고용 감소 폭은 2만 6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2% 올라 3월 상승률(0.3%) 대비 둔화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임금 상승률은 3.8%였습니다.
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및 전년 대비 모두 전문가 전망보다 각각 0.1%포인트 낮았습니다.
임금 상승률 둔화는 임금 상승발 물가 상승 압력 우려가 약화했음을 시사합니다.
한편, 4월 실업률은 4.2%로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고, 전문가 예상에도 부합했습니다.
4월 경제활동참가율은 62.6%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4월 비농업 고용 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시행된 후 첫 공식 실물경제 통계라는 점에서 월가의 관심이 주목돼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효한 10%의 기본 관세는 4월 5일 발효됐고, 9일 발효됐던 국가별 개별 상호 관세는 90일간 유예됐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총 145%의 관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평균 수준을 웃도는 고용 증가와 실업률 유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이 4월 들어서도 여전히 탄탄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날 고용 지표 발표 직후 주식은 강세를 나타내고, 채권 금리는 상승했습니다.
정규장 개장 직전 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선물은 전장 대비 1%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8분 기준 4.30%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9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4월 고용 17만7천명 증가…실업률 4.2%
-
- 입력 2025-05-02 22:18:50
- 수정2025-05-03 05:03:38

미 노동부는 4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7만 7천 명 증가했다고 2일 밝혔습니다.
최근 12개월 평균 증가 폭(15만 2천 명)을 웃도는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3만 3천 명)도 크게 상회했습니다.
지난 2월 고용 증가 폭은 10만 2천 명으로 1만 5천 명 하향 조정됐고, '깜짝 증가'를 보였던 3월 증가 폭은 18만 5천 명으로 4만 3천 명 하향 조정됐습니다.
의료(5만 1천 명), 운수·창고(2만 9천 명), 금융 활동(1만 4천 명), 사회지원(8천 명) 부문이 4월 고용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연방정부 고용은 9천 명 감소해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의 인력 구조조정을 반영했습니다.
지난 1월 이후 연방정부 고용 감소 폭은 2만 6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2% 올라 3월 상승률(0.3%) 대비 둔화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임금 상승률은 3.8%였습니다.
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및 전년 대비 모두 전문가 전망보다 각각 0.1%포인트 낮았습니다.
임금 상승률 둔화는 임금 상승발 물가 상승 압력 우려가 약화했음을 시사합니다.
한편, 4월 실업률은 4.2%로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고, 전문가 예상에도 부합했습니다.
4월 경제활동참가율은 62.6%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4월 비농업 고용 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시행된 후 첫 공식 실물경제 통계라는 점에서 월가의 관심이 주목돼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효한 10%의 기본 관세는 4월 5일 발효됐고, 9일 발효됐던 국가별 개별 상호 관세는 90일간 유예됐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총 145%의 관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평균 수준을 웃도는 고용 증가와 실업률 유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이 4월 들어서도 여전히 탄탄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날 고용 지표 발표 직후 주식은 강세를 나타내고, 채권 금리는 상승했습니다.
정규장 개장 직전 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선물은 전장 대비 1%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8분 기준 4.30%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9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최근 12개월 평균 증가 폭(15만 2천 명)을 웃도는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3만 3천 명)도 크게 상회했습니다.
지난 2월 고용 증가 폭은 10만 2천 명으로 1만 5천 명 하향 조정됐고, '깜짝 증가'를 보였던 3월 증가 폭은 18만 5천 명으로 4만 3천 명 하향 조정됐습니다.
의료(5만 1천 명), 운수·창고(2만 9천 명), 금융 활동(1만 4천 명), 사회지원(8천 명) 부문이 4월 고용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연방정부 고용은 9천 명 감소해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의 인력 구조조정을 반영했습니다.
지난 1월 이후 연방정부 고용 감소 폭은 2만 6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2% 올라 3월 상승률(0.3%) 대비 둔화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임금 상승률은 3.8%였습니다.
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및 전년 대비 모두 전문가 전망보다 각각 0.1%포인트 낮았습니다.
임금 상승률 둔화는 임금 상승발 물가 상승 압력 우려가 약화했음을 시사합니다.
한편, 4월 실업률은 4.2%로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고, 전문가 예상에도 부합했습니다.
4월 경제활동참가율은 62.6%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4월 비농업 고용 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시행된 후 첫 공식 실물경제 통계라는 점에서 월가의 관심이 주목돼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효한 10%의 기본 관세는 4월 5일 발효됐고, 9일 발효됐던 국가별 개별 상호 관세는 90일간 유예됐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총 145%의 관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평균 수준을 웃도는 고용 증가와 실업률 유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이 4월 들어서도 여전히 탄탄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날 고용 지표 발표 직후 주식은 강세를 나타내고, 채권 금리는 상승했습니다.
정규장 개장 직전 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선물은 전장 대비 1%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8분 기준 4.30%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9bp(1bp=0.01%포인트) 올랐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윤진 기자 jin@kbs.co.kr
윤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