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세 피해 인니로”…중 태양광 기업 ‘도피처’ 떠올라
입력 2025.05.03 (13:36)
수정 2025.05.03 (13: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동남아시아를 우회해 수출되는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인도네시아가 중국 태양광 업체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현지시각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달 미 트럼프 행정부가 캄보디아와 태국,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산 태양광 부품에 반덤핑관세와 상계관세를 부과한 반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인도네시아는 오히려 ‘안전지대’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산 태양광 제품의 관세를 꾸준히 올려왔고, 중국 기업들이 이를 피해 동남아시아로 생산 거점을 옮기자 미국은 이들 국가에도 관세를 물리는 상황입니다.
특히 이번 관세 부과로 기업과 각 국가에 따라 최고 3천500%가 넘는 관세 폭탄이 떨어진 걸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계 태양광 셀 시장에서 중국 기업 제품의 점유율은 약 80%에 이릅니다.
반면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미국의 무역 장벽을 회피하려는 중국계 태양광 기업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미 인도네시아와 라오스에서는 4개의 신규 태양광 부품 공장이 가동 중이며 2개의 프로젝트가 추가로 추진 중입니다.
지난해 12월 중국 홍시그룹은 인도네시아 동칼리만탄 지역 태양광 산업 단지에 50억 달러, 약 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또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솔라텍 인도네시아 2025’ 전시회에는 진코 솔라, 트리나 솔라 등 중국계 태양광 패널 제조사들이 대거 참가했습니다.
이에 맞춰 인도네시아도 태양광 산업 유치를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등 힘쓰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는 태양광 모듈 원료인 실리카 모래가 풍부해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 밸류체인 구축을 노리고 있습니다.
파비 투미와 인도네시아 필수서비스개혁연구소(IESR) 소장은 “중국은 태양광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과의 협력이 인도네시아에 유리하다”며 “트럼프의 관세 조치 이후 인도네시아가 미국보다 중국에 더 기울어질 수 있으며, 태양광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현지시각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달 미 트럼프 행정부가 캄보디아와 태국,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산 태양광 부품에 반덤핑관세와 상계관세를 부과한 반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인도네시아는 오히려 ‘안전지대’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산 태양광 제품의 관세를 꾸준히 올려왔고, 중국 기업들이 이를 피해 동남아시아로 생산 거점을 옮기자 미국은 이들 국가에도 관세를 물리는 상황입니다.
특히 이번 관세 부과로 기업과 각 국가에 따라 최고 3천500%가 넘는 관세 폭탄이 떨어진 걸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계 태양광 셀 시장에서 중국 기업 제품의 점유율은 약 80%에 이릅니다.
반면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미국의 무역 장벽을 회피하려는 중국계 태양광 기업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미 인도네시아와 라오스에서는 4개의 신규 태양광 부품 공장이 가동 중이며 2개의 프로젝트가 추가로 추진 중입니다.
지난해 12월 중국 홍시그룹은 인도네시아 동칼리만탄 지역 태양광 산업 단지에 50억 달러, 약 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또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솔라텍 인도네시아 2025’ 전시회에는 진코 솔라, 트리나 솔라 등 중국계 태양광 패널 제조사들이 대거 참가했습니다.
이에 맞춰 인도네시아도 태양광 산업 유치를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등 힘쓰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는 태양광 모듈 원료인 실리카 모래가 풍부해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 밸류체인 구축을 노리고 있습니다.
파비 투미와 인도네시아 필수서비스개혁연구소(IESR) 소장은 “중국은 태양광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과의 협력이 인도네시아에 유리하다”며 “트럼프의 관세 조치 이후 인도네시아가 미국보다 중국에 더 기울어질 수 있으며, 태양광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관세 피해 인니로”…중 태양광 기업 ‘도피처’ 떠올라
-
- 입력 2025-05-03 13:36:53
- 수정2025-05-03 13:42:10

미국 정부가 동남아시아를 우회해 수출되는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인도네시아가 중국 태양광 업체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현지시각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달 미 트럼프 행정부가 캄보디아와 태국,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산 태양광 부품에 반덤핑관세와 상계관세를 부과한 반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인도네시아는 오히려 ‘안전지대’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산 태양광 제품의 관세를 꾸준히 올려왔고, 중국 기업들이 이를 피해 동남아시아로 생산 거점을 옮기자 미국은 이들 국가에도 관세를 물리는 상황입니다.
특히 이번 관세 부과로 기업과 각 국가에 따라 최고 3천500%가 넘는 관세 폭탄이 떨어진 걸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계 태양광 셀 시장에서 중국 기업 제품의 점유율은 약 80%에 이릅니다.
반면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미국의 무역 장벽을 회피하려는 중국계 태양광 기업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미 인도네시아와 라오스에서는 4개의 신규 태양광 부품 공장이 가동 중이며 2개의 프로젝트가 추가로 추진 중입니다.
지난해 12월 중국 홍시그룹은 인도네시아 동칼리만탄 지역 태양광 산업 단지에 50억 달러, 약 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또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솔라텍 인도네시아 2025’ 전시회에는 진코 솔라, 트리나 솔라 등 중국계 태양광 패널 제조사들이 대거 참가했습니다.
이에 맞춰 인도네시아도 태양광 산업 유치를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등 힘쓰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는 태양광 모듈 원료인 실리카 모래가 풍부해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 밸류체인 구축을 노리고 있습니다.
파비 투미와 인도네시아 필수서비스개혁연구소(IESR) 소장은 “중국은 태양광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과의 협력이 인도네시아에 유리하다”며 “트럼프의 관세 조치 이후 인도네시아가 미국보다 중국에 더 기울어질 수 있으며, 태양광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현지시각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달 미 트럼프 행정부가 캄보디아와 태국,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산 태양광 부품에 반덤핑관세와 상계관세를 부과한 반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인도네시아는 오히려 ‘안전지대’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산 태양광 제품의 관세를 꾸준히 올려왔고, 중국 기업들이 이를 피해 동남아시아로 생산 거점을 옮기자 미국은 이들 국가에도 관세를 물리는 상황입니다.
특히 이번 관세 부과로 기업과 각 국가에 따라 최고 3천500%가 넘는 관세 폭탄이 떨어진 걸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계 태양광 셀 시장에서 중국 기업 제품의 점유율은 약 80%에 이릅니다.
반면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미국의 무역 장벽을 회피하려는 중국계 태양광 기업들의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미 인도네시아와 라오스에서는 4개의 신규 태양광 부품 공장이 가동 중이며 2개의 프로젝트가 추가로 추진 중입니다.
지난해 12월 중국 홍시그룹은 인도네시아 동칼리만탄 지역 태양광 산업 단지에 50억 달러, 약 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또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솔라텍 인도네시아 2025’ 전시회에는 진코 솔라, 트리나 솔라 등 중국계 태양광 패널 제조사들이 대거 참가했습니다.
이에 맞춰 인도네시아도 태양광 산업 유치를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등 힘쓰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는 태양광 모듈 원료인 실리카 모래가 풍부해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 밸류체인 구축을 노리고 있습니다.
파비 투미와 인도네시아 필수서비스개혁연구소(IESR) 소장은 “중국은 태양광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과의 협력이 인도네시아에 유리하다”며 “트럼프의 관세 조치 이후 인도네시아가 미국보다 중국에 더 기울어질 수 있으며, 태양광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