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OPEC+ 8개국, 다음 달도 하루 41만 1천 배럴 증산”
입력 2025.05.04 (00:10)
수정 2025.05.04 (07: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현지 시각 3일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OPEC+(OPEC 플러스·OPEC과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 8개국이 다음 달에도 원유 생산량을 하루 41만 1천 배럴 늘리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OPEC은 이날 성명에서 "사우디, 러시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카자흐스탄, 알제리, 오만 등 OPEC+ 8개국은 오늘 화상으로 만나 세계 시장 상황과 전망을 검토했다"며 "6월에도 하루 41만 1천 배럴의 생산 조정을 시행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점진적인 증산은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따라 일시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며 "8개국은 다음 달 1일 만나 7월 생산량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화상 회의를 연 뒤 이같이 발표한 OPEC+의 8대 주요 산유국은 지난달에도 회의를 열고 이달부터 하루 산유량을 41만 1천 배럴 늘리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라이스태드에너지의 호르헤 레온 애널리스트는 AFP통신에 "지난달 결정이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면, 오늘의 결정은 사우디가 주도하는 그룹이 수년간의 감산 끝에 전략을 바꾸고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구한다는 결정적인 메시지"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까지 하루 220만 배럴의 추가 자발적 감산을 이행한 OPEC+ 8개국은 지난해 12월, 올해 4월부터 3개월간 하루 13만 8천 배럴씩 단계적으로 증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달과 다음 달 잇따라 애초 계획보다 증산을 가속하면서 올해 4∼6월 총 증산분이 하루 96만 배럴에 달해 하루 220만 배럴 감산에서 44%가 풀리는 셈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짚었습니다.
이번 증산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OPEC+에 원유 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사우디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OPEC은 이날 성명에서 "사우디, 러시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카자흐스탄, 알제리, 오만 등 OPEC+ 8개국은 오늘 화상으로 만나 세계 시장 상황과 전망을 검토했다"며 "6월에도 하루 41만 1천 배럴의 생산 조정을 시행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점진적인 증산은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따라 일시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며 "8개국은 다음 달 1일 만나 7월 생산량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화상 회의를 연 뒤 이같이 발표한 OPEC+의 8대 주요 산유국은 지난달에도 회의를 열고 이달부터 하루 산유량을 41만 1천 배럴 늘리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라이스태드에너지의 호르헤 레온 애널리스트는 AFP통신에 "지난달 결정이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면, 오늘의 결정은 사우디가 주도하는 그룹이 수년간의 감산 끝에 전략을 바꾸고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구한다는 결정적인 메시지"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까지 하루 220만 배럴의 추가 자발적 감산을 이행한 OPEC+ 8개국은 지난해 12월, 올해 4월부터 3개월간 하루 13만 8천 배럴씩 단계적으로 증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달과 다음 달 잇따라 애초 계획보다 증산을 가속하면서 올해 4∼6월 총 증산분이 하루 96만 배럴에 달해 하루 220만 배럴 감산에서 44%가 풀리는 셈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짚었습니다.
이번 증산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OPEC+에 원유 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사우디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OPEC “OPEC+ 8개국, 다음 달도 하루 41만 1천 배럴 증산”
-
- 입력 2025-05-04 00:10:32
- 수정2025-05-04 07:24:09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현지 시각 3일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OPEC+(OPEC 플러스·OPEC과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 8개국이 다음 달에도 원유 생산량을 하루 41만 1천 배럴 늘리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OPEC은 이날 성명에서 "사우디, 러시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카자흐스탄, 알제리, 오만 등 OPEC+ 8개국은 오늘 화상으로 만나 세계 시장 상황과 전망을 검토했다"며 "6월에도 하루 41만 1천 배럴의 생산 조정을 시행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점진적인 증산은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따라 일시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며 "8개국은 다음 달 1일 만나 7월 생산량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화상 회의를 연 뒤 이같이 발표한 OPEC+의 8대 주요 산유국은 지난달에도 회의를 열고 이달부터 하루 산유량을 41만 1천 배럴 늘리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라이스태드에너지의 호르헤 레온 애널리스트는 AFP통신에 "지난달 결정이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면, 오늘의 결정은 사우디가 주도하는 그룹이 수년간의 감산 끝에 전략을 바꾸고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구한다는 결정적인 메시지"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까지 하루 220만 배럴의 추가 자발적 감산을 이행한 OPEC+ 8개국은 지난해 12월, 올해 4월부터 3개월간 하루 13만 8천 배럴씩 단계적으로 증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달과 다음 달 잇따라 애초 계획보다 증산을 가속하면서 올해 4∼6월 총 증산분이 하루 96만 배럴에 달해 하루 220만 배럴 감산에서 44%가 풀리는 셈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짚었습니다.
이번 증산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OPEC+에 원유 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사우디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OPEC은 이날 성명에서 "사우디, 러시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카자흐스탄, 알제리, 오만 등 OPEC+ 8개국은 오늘 화상으로 만나 세계 시장 상황과 전망을 검토했다"며 "6월에도 하루 41만 1천 배럴의 생산 조정을 시행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점진적인 증산은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따라 일시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며 "8개국은 다음 달 1일 만나 7월 생산량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화상 회의를 연 뒤 이같이 발표한 OPEC+의 8대 주요 산유국은 지난달에도 회의를 열고 이달부터 하루 산유량을 41만 1천 배럴 늘리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라이스태드에너지의 호르헤 레온 애널리스트는 AFP통신에 "지난달 결정이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면, 오늘의 결정은 사우디가 주도하는 그룹이 수년간의 감산 끝에 전략을 바꾸고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구한다는 결정적인 메시지"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까지 하루 220만 배럴의 추가 자발적 감산을 이행한 OPEC+ 8개국은 지난해 12월, 올해 4월부터 3개월간 하루 13만 8천 배럴씩 단계적으로 증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달과 다음 달 잇따라 애초 계획보다 증산을 가속하면서 올해 4∼6월 총 증산분이 하루 96만 배럴에 달해 하루 220만 배럴 감산에서 44%가 풀리는 셈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짚었습니다.
이번 증산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OPEC+에 원유 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사우디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