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 도담삼봉 첫 수중 조사…“침식 변화 기록해야”
입력 2025.05.07 (08:04)
수정 2025.05.07 (08: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단양 도담삼봉은 석회암이 오랜 세월, 물과 바람에 부서지거나 깎여 만들어진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인데요.
수만 년 침식의 흔적을 확인하기 위한 첫 수중 조사가 이뤄졌습니다.
그 현장을 진희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남한강 상류에 우뚝 솟은 세 봉우리.
단양팔경 가운데 으뜸으로 꼽히는 국가 명승지, 도담삼봉입니다.
원래 하나로 된 거대 암반이었지만 오랜 세월, 비바람에 깎이고 일대 수위도 올라 지금처럼 섬 형태가 됐습니다.
현재 도담삼봉 주변 수심은 3, 4미터 정도인데요.
물 아래 암반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수중 조사가 처음 이뤄졌습니다.
동굴 전문가와 잠수사가 수면 위·아래로 도담삼봉의 지질 상태를 살피고, 암반을 일일이 더듬으면서 구조를 파악합니다.
물에 잘 녹고 부서지는 석회암의 특성대로 물 아래 암반에서 일부 깎임과 파임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부유물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고, 일대 퇴적층으로 암반 확인에 한계가 있어 추가 탐색이 필요하다는 의견입니다.
[김련/한국동굴연구소 책임 연구원 : "건물도 균열된 데, 교차하는 데가 많아지면 무너지잖아요. 똑같이 여기 보이는 선들이 불연속면들이거든요. 그런 것들에 의한 자연적인 현상들인 것이고요."]
과거, 일대를 탐색했던 또 다른 전문가도 장기적인 관점의 조사를 강조합니다.
수중보와 댐 건설로 인한 수위 변화와 유람선 운행 등에 따른 영향 등을 지속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겁니다.
[김완영/대한지질공학회 고문 : "중요 구조물은 진단을 하잖아요. 그런 측면에서 기본적인 조사를 해놔야, 차후에 어떤 (이상) 강우가 내린다거나 주변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어떻게 될 것이다' 정도는 (예측할 수 있습니다)."]
단양군은 이번 수중 조사 결과를 분석해 국가유산청에 보고하고, 정밀 탐색을 위한 추가 조사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단양 도담삼봉은 석회암이 오랜 세월, 물과 바람에 부서지거나 깎여 만들어진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인데요.
수만 년 침식의 흔적을 확인하기 위한 첫 수중 조사가 이뤄졌습니다.
그 현장을 진희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남한강 상류에 우뚝 솟은 세 봉우리.
단양팔경 가운데 으뜸으로 꼽히는 국가 명승지, 도담삼봉입니다.
원래 하나로 된 거대 암반이었지만 오랜 세월, 비바람에 깎이고 일대 수위도 올라 지금처럼 섬 형태가 됐습니다.
현재 도담삼봉 주변 수심은 3, 4미터 정도인데요.
물 아래 암반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수중 조사가 처음 이뤄졌습니다.
동굴 전문가와 잠수사가 수면 위·아래로 도담삼봉의 지질 상태를 살피고, 암반을 일일이 더듬으면서 구조를 파악합니다.
물에 잘 녹고 부서지는 석회암의 특성대로 물 아래 암반에서 일부 깎임과 파임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부유물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고, 일대 퇴적층으로 암반 확인에 한계가 있어 추가 탐색이 필요하다는 의견입니다.
[김련/한국동굴연구소 책임 연구원 : "건물도 균열된 데, 교차하는 데가 많아지면 무너지잖아요. 똑같이 여기 보이는 선들이 불연속면들이거든요. 그런 것들에 의한 자연적인 현상들인 것이고요."]
과거, 일대를 탐색했던 또 다른 전문가도 장기적인 관점의 조사를 강조합니다.
수중보와 댐 건설로 인한 수위 변화와 유람선 운행 등에 따른 영향 등을 지속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겁니다.
[김완영/대한지질공학회 고문 : "중요 구조물은 진단을 하잖아요. 그런 측면에서 기본적인 조사를 해놔야, 차후에 어떤 (이상) 강우가 내린다거나 주변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어떻게 될 것이다' 정도는 (예측할 수 있습니다)."]
단양군은 이번 수중 조사 결과를 분석해 국가유산청에 보고하고, 정밀 탐색을 위한 추가 조사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양 도담삼봉 첫 수중 조사…“침식 변화 기록해야”
-
- 입력 2025-05-07 08:04:11
- 수정2025-05-07 08:50:10

[앵커]
단양 도담삼봉은 석회암이 오랜 세월, 물과 바람에 부서지거나 깎여 만들어진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인데요.
수만 년 침식의 흔적을 확인하기 위한 첫 수중 조사가 이뤄졌습니다.
그 현장을 진희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남한강 상류에 우뚝 솟은 세 봉우리.
단양팔경 가운데 으뜸으로 꼽히는 국가 명승지, 도담삼봉입니다.
원래 하나로 된 거대 암반이었지만 오랜 세월, 비바람에 깎이고 일대 수위도 올라 지금처럼 섬 형태가 됐습니다.
현재 도담삼봉 주변 수심은 3, 4미터 정도인데요.
물 아래 암반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수중 조사가 처음 이뤄졌습니다.
동굴 전문가와 잠수사가 수면 위·아래로 도담삼봉의 지질 상태를 살피고, 암반을 일일이 더듬으면서 구조를 파악합니다.
물에 잘 녹고 부서지는 석회암의 특성대로 물 아래 암반에서 일부 깎임과 파임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부유물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고, 일대 퇴적층으로 암반 확인에 한계가 있어 추가 탐색이 필요하다는 의견입니다.
[김련/한국동굴연구소 책임 연구원 : "건물도 균열된 데, 교차하는 데가 많아지면 무너지잖아요. 똑같이 여기 보이는 선들이 불연속면들이거든요. 그런 것들에 의한 자연적인 현상들인 것이고요."]
과거, 일대를 탐색했던 또 다른 전문가도 장기적인 관점의 조사를 강조합니다.
수중보와 댐 건설로 인한 수위 변화와 유람선 운행 등에 따른 영향 등을 지속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겁니다.
[김완영/대한지질공학회 고문 : "중요 구조물은 진단을 하잖아요. 그런 측면에서 기본적인 조사를 해놔야, 차후에 어떤 (이상) 강우가 내린다거나 주변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어떻게 될 것이다' 정도는 (예측할 수 있습니다)."]
단양군은 이번 수중 조사 결과를 분석해 국가유산청에 보고하고, 정밀 탐색을 위한 추가 조사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단양 도담삼봉은 석회암이 오랜 세월, 물과 바람에 부서지거나 깎여 만들어진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인데요.
수만 년 침식의 흔적을 확인하기 위한 첫 수중 조사가 이뤄졌습니다.
그 현장을 진희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남한강 상류에 우뚝 솟은 세 봉우리.
단양팔경 가운데 으뜸으로 꼽히는 국가 명승지, 도담삼봉입니다.
원래 하나로 된 거대 암반이었지만 오랜 세월, 비바람에 깎이고 일대 수위도 올라 지금처럼 섬 형태가 됐습니다.
현재 도담삼봉 주변 수심은 3, 4미터 정도인데요.
물 아래 암반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수중 조사가 처음 이뤄졌습니다.
동굴 전문가와 잠수사가 수면 위·아래로 도담삼봉의 지질 상태를 살피고, 암반을 일일이 더듬으면서 구조를 파악합니다.
물에 잘 녹고 부서지는 석회암의 특성대로 물 아래 암반에서 일부 깎임과 파임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부유물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고, 일대 퇴적층으로 암반 확인에 한계가 있어 추가 탐색이 필요하다는 의견입니다.
[김련/한국동굴연구소 책임 연구원 : "건물도 균열된 데, 교차하는 데가 많아지면 무너지잖아요. 똑같이 여기 보이는 선들이 불연속면들이거든요. 그런 것들에 의한 자연적인 현상들인 것이고요."]
과거, 일대를 탐색했던 또 다른 전문가도 장기적인 관점의 조사를 강조합니다.
수중보와 댐 건설로 인한 수위 변화와 유람선 운행 등에 따른 영향 등을 지속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겁니다.
[김완영/대한지질공학회 고문 : "중요 구조물은 진단을 하잖아요. 그런 측면에서 기본적인 조사를 해놔야, 차후에 어떤 (이상) 강우가 내린다거나 주변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어떻게 될 것이다' 정도는 (예측할 수 있습니다)."]
단양군은 이번 수중 조사 결과를 분석해 국가유산청에 보고하고, 정밀 탐색을 위한 추가 조사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
-
진희정 기자 5w1h@kbs.co.kr
진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