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함정 MRO·건조는 물론 항공 MRO 협력에도 공감

입력 2025.05.07 (14:30) 수정 2025.05.07 (14: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현지시각 지난 1∼2일 워싱턴DC에서 열린 제26차 통합국방협의체(KIDD) 회의에서 함정 MRO(보수·수리·정비)와 건조는 물론, 군용 항공기 MRO 협력 추진에도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오늘(7일) 국방부에 따르면 한국 측은 이번 KIDD 회의에서 함정 MRO는 물론 함정 건조 분야에서도 협력하자고 제안했고, 미국 측은 이런 제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한국 측은 함정 MRO 및 건조 분야에서 한국 조선업체의 역량과 기술, 의지 등이 충분하며, 이 분야에서 양국 협력이 미국 측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미는 또한 전투기와 수송기 등 군용 항공기 MRO 협력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

KIDD는 한미 간 안보 협의를 위해 2011년부터 열린 고위급 회의체로, 매년 1∼2차례 한미가 번갈아 개최해왔습니다.

지난 1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이번 KIDD 회의에는 한국 국방부의 조창래 국방정책실장과 미국 국방부의 존 노 인도태평양안보차관보 대행, 앤드류 윈터니츠 동아시아부차관보 대행 등 양국 국방 및 외교 분야 주요 당국자들이 참석했습니다.

한미는 ‘북한의 완전화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하면서 북·러 군사협력이 한반도 및 역내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한미 간 확장억제 협의체인 핵협의그룹(NCG)을 계속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NCG를 통해 확장억제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동맹 협력을 지속해서 모색하기로 이번 KIDD 회의에서 합의했다”며 “트럼프 2기 출범 후 첫 NCG는 올해 6∼8월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해서는 한국 측이 전작권 전환에 필요한 능력 확보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추진한다는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한미는 이 밖에도 ▲ 연합 연습·훈련 지속 강화 ▲ 한미일 안보협력 모멘텀 지속 유지 ▲ 인공지능, 자율기술, 유무인 복합체계 등 국방과학기술협력 확대 등에도 공감했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방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함정 MRO·건조는 물론 항공 MRO 협력에도 공감
    • 입력 2025-05-07 14:30:46
    • 수정2025-05-07 14:34:30
    정치
한국과 미국은 현지시각 지난 1∼2일 워싱턴DC에서 열린 제26차 통합국방협의체(KIDD) 회의에서 함정 MRO(보수·수리·정비)와 건조는 물론, 군용 항공기 MRO 협력 추진에도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오늘(7일) 국방부에 따르면 한국 측은 이번 KIDD 회의에서 함정 MRO는 물론 함정 건조 분야에서도 협력하자고 제안했고, 미국 측은 이런 제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한국 측은 함정 MRO 및 건조 분야에서 한국 조선업체의 역량과 기술, 의지 등이 충분하며, 이 분야에서 양국 협력이 미국 측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미는 또한 전투기와 수송기 등 군용 항공기 MRO 협력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

KIDD는 한미 간 안보 협의를 위해 2011년부터 열린 고위급 회의체로, 매년 1∼2차례 한미가 번갈아 개최해왔습니다.

지난 1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이번 KIDD 회의에는 한국 국방부의 조창래 국방정책실장과 미국 국방부의 존 노 인도태평양안보차관보 대행, 앤드류 윈터니츠 동아시아부차관보 대행 등 양국 국방 및 외교 분야 주요 당국자들이 참석했습니다.

한미는 ‘북한의 완전화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하면서 북·러 군사협력이 한반도 및 역내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한미 간 확장억제 협의체인 핵협의그룹(NCG)을 계속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NCG를 통해 확장억제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동맹 협력을 지속해서 모색하기로 이번 KIDD 회의에서 합의했다”며 “트럼프 2기 출범 후 첫 NCG는 올해 6∼8월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해서는 한국 측이 전작권 전환에 필요한 능력 확보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추진한다는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한미는 이 밖에도 ▲ 연합 연습·훈련 지속 강화 ▲ 한미일 안보협력 모멘텀 지속 유지 ▲ 인공지능, 자율기술, 유무인 복합체계 등 국방과학기술협력 확대 등에도 공감했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방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