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 ‘미국과의 대화’ 예고에도 관망세
입력 2025.05.07 (18:05)
수정 2025.05.07 (1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 이후 첫 고위급 회담을 예고한 데 이어 중국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발표했지만, 회담 성과에 대한 신중론 속에 범중국 증시는 장 초반 상승분을 상당 부분 반납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현지시각 7일 홍콩 항셍지수는 전장 대비 2.3% 상승 출발했지만 동력을 이어가지 못했고, 한국시간 오후 3시 42분 기준 전장 대비 0.55% 오른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른 지수들도 비슷한 흐름으로,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는 0.3% 오른 상태입니다.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60%)와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0.48%)도 1% 미만의 상승률을 기록 중입니다.
이날 중국 증시 개장에 앞서 미중 양국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오는 9∼12일 사이 스위스에서 만나 무역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각각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무역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중국의 통화정책 역시 대규모 부양책이라기보다 관세 여파를 줄이기 위한 신중한 대응이라는 일각의 평가가 나오면서, 주가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해석했습니다.
중국 투자은행 샹송의 멍선은 “무역 협상이나 완화적 통화정책 모두 즉시 효과를 부기에는 불충분하다”면서 “낙관론이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봤습니다.
삭소캐피털마켓츠의 차루 차나나 전략가는 중국의 통화정책 발표에 대해 “미중 합의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당장의 경제 충격을 완화하고 장기전을 대비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의미 있는 진전을 기대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했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7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인 점도 관망 심리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달 연준의 금리 동결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입니다.
다른 아시아 주요 지수 흐름은 엇갈렸습니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0.14%)가 약보합으로 거래를 마쳤고, 한국 코스피(+0.55%), 대만 자취안(+0.12%), 호주 S&P/ASX200(+0.33%) 등 다른 아시아 주요 지수는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현지시각 7일 홍콩 항셍지수는 전장 대비 2.3% 상승 출발했지만 동력을 이어가지 못했고, 한국시간 오후 3시 42분 기준 전장 대비 0.55% 오른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른 지수들도 비슷한 흐름으로,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는 0.3% 오른 상태입니다.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60%)와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0.48%)도 1% 미만의 상승률을 기록 중입니다.
이날 중국 증시 개장에 앞서 미중 양국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오는 9∼12일 사이 스위스에서 만나 무역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각각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무역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중국의 통화정책 역시 대규모 부양책이라기보다 관세 여파를 줄이기 위한 신중한 대응이라는 일각의 평가가 나오면서, 주가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해석했습니다.
중국 투자은행 샹송의 멍선은 “무역 협상이나 완화적 통화정책 모두 즉시 효과를 부기에는 불충분하다”면서 “낙관론이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봤습니다.
삭소캐피털마켓츠의 차루 차나나 전략가는 중국의 통화정책 발표에 대해 “미중 합의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당장의 경제 충격을 완화하고 장기전을 대비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의미 있는 진전을 기대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했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7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인 점도 관망 심리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달 연준의 금리 동결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입니다.
다른 아시아 주요 지수 흐름은 엇갈렸습니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0.14%)가 약보합으로 거래를 마쳤고, 한국 코스피(+0.55%), 대만 자취안(+0.12%), 호주 S&P/ASX200(+0.33%) 등 다른 아시아 주요 지수는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증시, ‘미국과의 대화’ 예고에도 관망세
-
- 입력 2025-05-07 18:05:21
- 수정2025-05-07 18:07:51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 이후 첫 고위급 회담을 예고한 데 이어 중국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발표했지만, 회담 성과에 대한 신중론 속에 범중국 증시는 장 초반 상승분을 상당 부분 반납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현지시각 7일 홍콩 항셍지수는 전장 대비 2.3% 상승 출발했지만 동력을 이어가지 못했고, 한국시간 오후 3시 42분 기준 전장 대비 0.55% 오른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른 지수들도 비슷한 흐름으로,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는 0.3% 오른 상태입니다.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60%)와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0.48%)도 1% 미만의 상승률을 기록 중입니다.
이날 중국 증시 개장에 앞서 미중 양국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오는 9∼12일 사이 스위스에서 만나 무역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각각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무역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중국의 통화정책 역시 대규모 부양책이라기보다 관세 여파를 줄이기 위한 신중한 대응이라는 일각의 평가가 나오면서, 주가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해석했습니다.
중국 투자은행 샹송의 멍선은 “무역 협상이나 완화적 통화정책 모두 즉시 효과를 부기에는 불충분하다”면서 “낙관론이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봤습니다.
삭소캐피털마켓츠의 차루 차나나 전략가는 중국의 통화정책 발표에 대해 “미중 합의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당장의 경제 충격을 완화하고 장기전을 대비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의미 있는 진전을 기대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했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7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인 점도 관망 심리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달 연준의 금리 동결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입니다.
다른 아시아 주요 지수 흐름은 엇갈렸습니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0.14%)가 약보합으로 거래를 마쳤고, 한국 코스피(+0.55%), 대만 자취안(+0.12%), 호주 S&P/ASX200(+0.33%) 등 다른 아시아 주요 지수는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현지시각 7일 홍콩 항셍지수는 전장 대비 2.3% 상승 출발했지만 동력을 이어가지 못했고, 한국시간 오후 3시 42분 기준 전장 대비 0.55% 오른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른 지수들도 비슷한 흐름으로,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는 0.3% 오른 상태입니다.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60%)와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0.48%)도 1% 미만의 상승률을 기록 중입니다.
이날 중국 증시 개장에 앞서 미중 양국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오는 9∼12일 사이 스위스에서 만나 무역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각각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무역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중국의 통화정책 역시 대규모 부양책이라기보다 관세 여파를 줄이기 위한 신중한 대응이라는 일각의 평가가 나오면서, 주가 상승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해석했습니다.
중국 투자은행 샹송의 멍선은 “무역 협상이나 완화적 통화정책 모두 즉시 효과를 부기에는 불충분하다”면서 “낙관론이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봤습니다.
삭소캐피털마켓츠의 차루 차나나 전략가는 중국의 통화정책 발표에 대해 “미중 합의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당장의 경제 충격을 완화하고 장기전을 대비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의미 있는 진전을 기대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했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7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인 점도 관망 심리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달 연준의 금리 동결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입니다.
다른 아시아 주요 지수 흐름은 엇갈렸습니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0.14%)가 약보합으로 거래를 마쳤고, 한국 코스피(+0.55%), 대만 자취안(+0.12%), 호주 S&P/ASX200(+0.33%) 등 다른 아시아 주요 지수는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