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K] ‘무늬만 원상회복’ 허다한데…판결에선 66%가 유리한 정상

입력 2025.05.07 (19:11) 수정 2025.05.07 (1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림 훼손 연속 보도 이어갑니다.

산림은 한번 훼손되면 사실상 원상복구가 어렵습니다.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도 부지기수인데요.

그런데 판결문을 분석했더니 원상회복 여부가 양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문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지를 훼손했다 적발됐을 때 내려지는 원상복구 명령.

묘목을 심고 내버려두는 등 '눈 가리고 아웅' 식도 허다합니다.

이처럼 허술한 원상복구라도 재판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취재진이 2013년부터 2025년 3월까지 제주지방법원에서 선고된 산림 훼손 관련 1심 판결문 229건의 양형 사유를 분석한 결과, 약 60%, 135건의 선고에서 원상회복 진행을 유리한 사유로 참작했습니다.

원상회복을 노력하고 있거나, 예정인 점 등까지 포함하면 3분의 2에 이릅니다.

[오군성/변호사 : "완전히 원상회복이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원상회복을 다짐하고 있는 점, 원상회복을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점 등을 긍정적인 양형 사유로 고려되고 있는 것도 확인이 되었는데요. 정확하게 확인이 되지 않은 부분을 가지고 긍정적인 양형 사유로 참작하는 것은 다소 부적절하지 않냐는."]

같은 사건을 두고 판단이 제각각인 경우도 있습니다.

2022년 KBS가 보도했던 축구장 8배 면적의 산림 훼손 사건.

1심 재판부는 "원상복구가 완료됐지만 훼손 전 상태로 온전하게 회복됐다고 볼 수 없다"고 본 반면, 2심 재판부는 원상복구를 완료한 점을 유리한 정상으로 참작해 감형했습니다.

[추새아/변호사 : "(원상회복이) 기계적으로 반영이 돼 있다는 느낌을 솔직히 지울 수가 없었어요. 더더욱 원상회복이 제대로 됐는지를 판단하는 어떤 구체적인 기준이 있어야 할 것이고, 그런 거 없이 그냥 형식적인 원상회복만으로 양형에 반영해서 가벼운 처벌을 내리게 된다고 그러면 사실 똑같은 문제가 계속 재발할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앞선 보도를 통해 제주도의 원상복구 지침이 허점투성이에다, 관리 대장도 제대로 작성되지 않는 등 사후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난 상황.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판결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한 KBS의 질의에 대해 "산림훼손의 양형 기준이 설정돼 있지 않다"며, "국민적 관심과 범죄의 중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양형 기준 설정의 필요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탐사K] ‘무늬만 원상회복’ 허다한데…판결에선 66%가 유리한 정상
    • 입력 2025-05-07 19:11:42
    • 수정2025-05-07 19:48:59
    뉴스7(제주)
[앵커]

산림 훼손 연속 보도 이어갑니다.

산림은 한번 훼손되면 사실상 원상복구가 어렵습니다.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도 부지기수인데요.

그런데 판결문을 분석했더니 원상회복 여부가 양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문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지를 훼손했다 적발됐을 때 내려지는 원상복구 명령.

묘목을 심고 내버려두는 등 '눈 가리고 아웅' 식도 허다합니다.

이처럼 허술한 원상복구라도 재판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취재진이 2013년부터 2025년 3월까지 제주지방법원에서 선고된 산림 훼손 관련 1심 판결문 229건의 양형 사유를 분석한 결과, 약 60%, 135건의 선고에서 원상회복 진행을 유리한 사유로 참작했습니다.

원상회복을 노력하고 있거나, 예정인 점 등까지 포함하면 3분의 2에 이릅니다.

[오군성/변호사 : "완전히 원상회복이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원상회복을 다짐하고 있는 점, 원상회복을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점 등을 긍정적인 양형 사유로 고려되고 있는 것도 확인이 되었는데요. 정확하게 확인이 되지 않은 부분을 가지고 긍정적인 양형 사유로 참작하는 것은 다소 부적절하지 않냐는."]

같은 사건을 두고 판단이 제각각인 경우도 있습니다.

2022년 KBS가 보도했던 축구장 8배 면적의 산림 훼손 사건.

1심 재판부는 "원상복구가 완료됐지만 훼손 전 상태로 온전하게 회복됐다고 볼 수 없다"고 본 반면, 2심 재판부는 원상복구를 완료한 점을 유리한 정상으로 참작해 감형했습니다.

[추새아/변호사 : "(원상회복이) 기계적으로 반영이 돼 있다는 느낌을 솔직히 지울 수가 없었어요. 더더욱 원상회복이 제대로 됐는지를 판단하는 어떤 구체적인 기준이 있어야 할 것이고, 그런 거 없이 그냥 형식적인 원상회복만으로 양형에 반영해서 가벼운 처벌을 내리게 된다고 그러면 사실 똑같은 문제가 계속 재발할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앞선 보도를 통해 제주도의 원상복구 지침이 허점투성이에다, 관리 대장도 제대로 작성되지 않는 등 사후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난 상황.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판결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한 KBS의 질의에 대해 "산림훼손의 양형 기준이 설정돼 있지 않다"며, "국민적 관심과 범죄의 중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양형 기준 설정의 필요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