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비핵화 압박대신 북한과 안정적 공존우선해야”
입력 2025.05.08 (00:27)
수정 2025.05.08 (00: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의 안정적 공존을 우선하는 기조로 대북정책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미국 전문가들이 제언했습니다.
앙킷 판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원과 프랭크 엄 전 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 특별보좌관은 현지 시각 지난 6일 카네기재단 홈페이지에 공개된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미국의 대북 압박 전략은 북한의 핵 무력 강화, 북미 간 완전한 관계 단절, 한국 내 핵무장론 부상, 북러 간 전략적 협력 등의 위험한 상황을 초래했다고 이들은 진단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미국 정보 당국의 일치된 견해이며 미국의 대북외교 접촉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도 미국이 계속해서 압박을 통한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압박을 가하면 북한이 도발을 자제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부추긴다는 게 이제 명확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앙킷 판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원과 프랭크 엄 전 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 특별보좌관은 현지 시각 지난 6일 카네기재단 홈페이지에 공개된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미국의 대북 압박 전략은 북한의 핵 무력 강화, 북미 간 완전한 관계 단절, 한국 내 핵무장론 부상, 북러 간 전략적 협력 등의 위험한 상황을 초래했다고 이들은 진단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미국 정보 당국의 일치된 견해이며 미국의 대북외교 접촉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도 미국이 계속해서 압박을 통한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압박을 가하면 북한이 도발을 자제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부추긴다는 게 이제 명확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비핵화 압박대신 북한과 안정적 공존우선해야”
-
- 입력 2025-05-08 00:27:57
- 수정2025-05-08 00:45:50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의 안정적 공존을 우선하는 기조로 대북정책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미국 전문가들이 제언했습니다.
앙킷 판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원과 프랭크 엄 전 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 특별보좌관은 현지 시각 지난 6일 카네기재단 홈페이지에 공개된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미국의 대북 압박 전략은 북한의 핵 무력 강화, 북미 간 완전한 관계 단절, 한국 내 핵무장론 부상, 북러 간 전략적 협력 등의 위험한 상황을 초래했다고 이들은 진단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미국 정보 당국의 일치된 견해이며 미국의 대북외교 접촉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도 미국이 계속해서 압박을 통한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압박을 가하면 북한이 도발을 자제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부추긴다는 게 이제 명확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앙킷 판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원과 프랭크 엄 전 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 특별보좌관은 현지 시각 지난 6일 카네기재단 홈페이지에 공개된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미국의 대북 압박 전략은 북한의 핵 무력 강화, 북미 간 완전한 관계 단절, 한국 내 핵무장론 부상, 북러 간 전략적 협력 등의 위험한 상황을 초래했다고 이들은 진단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미국 정보 당국의 일치된 견해이며 미국의 대북외교 접촉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도 미국이 계속해서 압박을 통한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압박을 가하면 북한이 도발을 자제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부추긴다는 게 이제 명확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