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미국 상무부에 반도체·의약품 관세 조치 면제 요청
입력 2025.05.08 (11:31)
수정 2025.05.08 (11: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반도체·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에 나선 것과 관련해 한국무역협회가 무역업계 의견을 담은 공식 의견서를 7일(현지 시각) 미국 상무부에 제출했다고 오늘(8일) 밝혔습니다.
무역협회는 의견서를 통해 한국의 반도체 및 의약품 수출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저해할 위험이 없어 '232조 조치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 반도체는 대부분 범용재 성격의 메모리 반도체이며, 미국은 한국에 반도체 장비 등 고부가 제품을 수출하며 교역에서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작년 미국의 대한국 반도체 장비 수출은 39억 3천만 달러로, 미국 전체 해당 장비 수출의 20.1%를 차지했으며 대한국 무역수지는 2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무협은 관세 조치 등 불확실성 증가가 한국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의 대미 투자 위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전달했습니다.
이와 함께 2032년까지 미국 내 반도체 설비투자(CAPEX)에서 한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7%에 달한다는 전망치를 제시하고, 관세 조치로 미국산 반도체의 원가가 상승하고 핵심 소재·장비의 조달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한국 기업의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무협은 또 스마트폰, 노트북, 디스플레이 모듈 등 광범위하게 설정된 반도체 파생 제품의 대상 범위를 축소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핵심 광물과 관련해 232조 조사 대상으로 언급된 반도체 웨이퍼, 스마트폰 등에 대해서는 업계 부담을 고려해 관세가 이중으로 부과되지 않도록 조정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의약품의 경우 한국 바이오 제약사들은 저렴한 의약품을 공급해 미국 내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업체들은 미국 원료 의약품을 기반으로 완제 의약품을 생산하거나 미국 기업의 위탁을 받아 생산하는 등 미국 기업과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에 근거해 무협은 ▲ 미국산 원료 의약품을 임가공해 생산한 완제 의약품 ▲ 미국 내 의약품 접근성 제고에 기여하는 저렴한 바이오 시밀러 및 제네릭 의약품 ▲ 미국 바이오 제약 기업이 한국 기업에 위탁생산을 요청한 바이오 의약품 등에 대해 관세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무역협회 제공]
무역협회는 의견서를 통해 한국의 반도체 및 의약품 수출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저해할 위험이 없어 '232조 조치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 반도체는 대부분 범용재 성격의 메모리 반도체이며, 미국은 한국에 반도체 장비 등 고부가 제품을 수출하며 교역에서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작년 미국의 대한국 반도체 장비 수출은 39억 3천만 달러로, 미국 전체 해당 장비 수출의 20.1%를 차지했으며 대한국 무역수지는 2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무협은 관세 조치 등 불확실성 증가가 한국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의 대미 투자 위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전달했습니다.
이와 함께 2032년까지 미국 내 반도체 설비투자(CAPEX)에서 한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7%에 달한다는 전망치를 제시하고, 관세 조치로 미국산 반도체의 원가가 상승하고 핵심 소재·장비의 조달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한국 기업의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무협은 또 스마트폰, 노트북, 디스플레이 모듈 등 광범위하게 설정된 반도체 파생 제품의 대상 범위를 축소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핵심 광물과 관련해 232조 조사 대상으로 언급된 반도체 웨이퍼, 스마트폰 등에 대해서는 업계 부담을 고려해 관세가 이중으로 부과되지 않도록 조정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의약품의 경우 한국 바이오 제약사들은 저렴한 의약품을 공급해 미국 내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업체들은 미국 원료 의약품을 기반으로 완제 의약품을 생산하거나 미국 기업의 위탁을 받아 생산하는 등 미국 기업과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에 근거해 무협은 ▲ 미국산 원료 의약품을 임가공해 생산한 완제 의약품 ▲ 미국 내 의약품 접근성 제고에 기여하는 저렴한 바이오 시밀러 및 제네릭 의약품 ▲ 미국 바이오 제약 기업이 한국 기업에 위탁생산을 요청한 바이오 의약품 등에 대해 관세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무역협회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역협회, 미국 상무부에 반도체·의약품 관세 조치 면제 요청
-
- 입력 2025-05-08 11:31:52
- 수정2025-05-08 11:36:08

미국이 반도체·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에 나선 것과 관련해 한국무역협회가 무역업계 의견을 담은 공식 의견서를 7일(현지 시각) 미국 상무부에 제출했다고 오늘(8일) 밝혔습니다.
무역협회는 의견서를 통해 한국의 반도체 및 의약품 수출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저해할 위험이 없어 '232조 조치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 반도체는 대부분 범용재 성격의 메모리 반도체이며, 미국은 한국에 반도체 장비 등 고부가 제품을 수출하며 교역에서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작년 미국의 대한국 반도체 장비 수출은 39억 3천만 달러로, 미국 전체 해당 장비 수출의 20.1%를 차지했으며 대한국 무역수지는 2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무협은 관세 조치 등 불확실성 증가가 한국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의 대미 투자 위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전달했습니다.
이와 함께 2032년까지 미국 내 반도체 설비투자(CAPEX)에서 한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7%에 달한다는 전망치를 제시하고, 관세 조치로 미국산 반도체의 원가가 상승하고 핵심 소재·장비의 조달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한국 기업의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무협은 또 스마트폰, 노트북, 디스플레이 모듈 등 광범위하게 설정된 반도체 파생 제품의 대상 범위를 축소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핵심 광물과 관련해 232조 조사 대상으로 언급된 반도체 웨이퍼, 스마트폰 등에 대해서는 업계 부담을 고려해 관세가 이중으로 부과되지 않도록 조정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의약품의 경우 한국 바이오 제약사들은 저렴한 의약품을 공급해 미국 내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업체들은 미국 원료 의약품을 기반으로 완제 의약품을 생산하거나 미국 기업의 위탁을 받아 생산하는 등 미국 기업과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에 근거해 무협은 ▲ 미국산 원료 의약품을 임가공해 생산한 완제 의약품 ▲ 미국 내 의약품 접근성 제고에 기여하는 저렴한 바이오 시밀러 및 제네릭 의약품 ▲ 미국 바이오 제약 기업이 한국 기업에 위탁생산을 요청한 바이오 의약품 등에 대해 관세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무역협회 제공]
무역협회는 의견서를 통해 한국의 반도체 및 의약품 수출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저해할 위험이 없어 '232조 조치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 반도체는 대부분 범용재 성격의 메모리 반도체이며, 미국은 한국에 반도체 장비 등 고부가 제품을 수출하며 교역에서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작년 미국의 대한국 반도체 장비 수출은 39억 3천만 달러로, 미국 전체 해당 장비 수출의 20.1%를 차지했으며 대한국 무역수지는 2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무협은 관세 조치 등 불확실성 증가가 한국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의 대미 투자 위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전달했습니다.
이와 함께 2032년까지 미국 내 반도체 설비투자(CAPEX)에서 한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7%에 달한다는 전망치를 제시하고, 관세 조치로 미국산 반도체의 원가가 상승하고 핵심 소재·장비의 조달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한국 기업의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무협은 또 스마트폰, 노트북, 디스플레이 모듈 등 광범위하게 설정된 반도체 파생 제품의 대상 범위를 축소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핵심 광물과 관련해 232조 조사 대상으로 언급된 반도체 웨이퍼, 스마트폰 등에 대해서는 업계 부담을 고려해 관세가 이중으로 부과되지 않도록 조정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의약품의 경우 한국 바이오 제약사들은 저렴한 의약품을 공급해 미국 내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업체들은 미국 원료 의약품을 기반으로 완제 의약품을 생산하거나 미국 기업의 위탁을 받아 생산하는 등 미국 기업과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에 근거해 무협은 ▲ 미국산 원료 의약품을 임가공해 생산한 완제 의약품 ▲ 미국 내 의약품 접근성 제고에 기여하는 저렴한 바이오 시밀러 및 제네릭 의약품 ▲ 미국 바이오 제약 기업이 한국 기업에 위탁생산을 요청한 바이오 의약품 등에 대해 관세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무역협회 제공]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