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미국서 차 수입 1위 업체는?…“미국 기업 GM”
입력 2025.05.08 (15:02)
수정 2025.05.08 (15: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수입차 관세 부과 조치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지난해 미국에 가장 많은 외국산 자동차를 들여온 업체는 미국 기업 제너럴모터스(GM)였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 시각 7일 컨설팅업체 글로벌데이터 자료를 인용해 GM이 지난해 미국 판매량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23만 대를 해외에서 만들어 미국으로 들여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일본 도요타의 수입량 약 120만 대보다 많은 것으로,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제네시스)은 110만 대 정도로 3위였습니다.
이어 크라이슬러, 지프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56만 4천여 대), 혼다(50만 2천여 대), 포드(41만 9천여 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미국 자동차 ‘빅3’인 GM·포드·스텔란티스가 지난해 미국으로 수입한 물량이 221만 대 정도 되는데, 이는 미국 전체 자동차 수입량의 28% 수준입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로 가장 피해를 볼 미국 기업이 바로 GM이라면서 “(미국에서) 수입차가 외국 차를 의미하던 것은 이미 옛말”이라고 짚었습니다.
GM은 한국을 비롯해 멕시코·캐나다 등 해외 생산기지에서 차량을 만들어 미국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쉐보레 트랙스, 뷰익 엔비스타 등 저가 모델을 생산합니다.
GM은 올해 관세 관련 비용(익스포저)이 많게는 50억 달러(약 7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이달 1일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20억 달러(약 2조 8천억 원)는 한국에서의 수입과 기타 비용으로 추산됐습니다.
GM은 관세 비용 가운데 30% 이상을 미국 내 생산을 통해 상쇄하고 비용 절감 등에도 나서겠다는 구상입니다.
한 익명의 GM 관계자는 블룸버그에 한국이 GM의 저가 모델 수출에 핵심 역할을 한다면서 한국 공장 가동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은 최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무역 협상 관련)한미 정부 간 대화가 진행 중인데 어떤 논의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서 “고객과 회사를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할 것이며 이를 평가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한미 간 무역 합의가 이뤄질 경우 GM의 부담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다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도 나옵니다.
GM 외에 스텔란티스와 포드는 각각 미국 판매량의 44%, 21% 정도를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포드는 올해 관세에 따른 타격이 25억 달러(약 3조 5천억 원) 규모이며 비용 절감을 통해 10억 달러(약 1조 4천억 원)를 상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루시드·리비안 등 소수를 제외하면 다수 미국 업체가 해외에서 만든 제품을 미국으로 들여오고 있으며, 관세 여파로 기업들이 미국 내 저가 모델 판매를 중단할 가능성도 거론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은 지난달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 적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업계의 로비 속에 지난달 29일 수입 부품으로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들의 부품 관세 부담 일부를 2년간 한시적으로 줄이기로 하는 등 완화 조치를 내놨습니다.
블룸버그는 GM의 생산기지가 있는 한국(25%)·중국(145%)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호 관세율을 적용받는 점도 GM이 취약한 이유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 시각 7일 컨설팅업체 글로벌데이터 자료를 인용해 GM이 지난해 미국 판매량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23만 대를 해외에서 만들어 미국으로 들여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일본 도요타의 수입량 약 120만 대보다 많은 것으로,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제네시스)은 110만 대 정도로 3위였습니다.
이어 크라이슬러, 지프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56만 4천여 대), 혼다(50만 2천여 대), 포드(41만 9천여 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미국 자동차 ‘빅3’인 GM·포드·스텔란티스가 지난해 미국으로 수입한 물량이 221만 대 정도 되는데, 이는 미국 전체 자동차 수입량의 28% 수준입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로 가장 피해를 볼 미국 기업이 바로 GM이라면서 “(미국에서) 수입차가 외국 차를 의미하던 것은 이미 옛말”이라고 짚었습니다.
GM은 한국을 비롯해 멕시코·캐나다 등 해외 생산기지에서 차량을 만들어 미국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쉐보레 트랙스, 뷰익 엔비스타 등 저가 모델을 생산합니다.
GM은 올해 관세 관련 비용(익스포저)이 많게는 50억 달러(약 7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이달 1일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20억 달러(약 2조 8천억 원)는 한국에서의 수입과 기타 비용으로 추산됐습니다.
GM은 관세 비용 가운데 30% 이상을 미국 내 생산을 통해 상쇄하고 비용 절감 등에도 나서겠다는 구상입니다.
한 익명의 GM 관계자는 블룸버그에 한국이 GM의 저가 모델 수출에 핵심 역할을 한다면서 한국 공장 가동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은 최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무역 협상 관련)한미 정부 간 대화가 진행 중인데 어떤 논의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서 “고객과 회사를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할 것이며 이를 평가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한미 간 무역 합의가 이뤄질 경우 GM의 부담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다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도 나옵니다.
GM 외에 스텔란티스와 포드는 각각 미국 판매량의 44%, 21% 정도를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포드는 올해 관세에 따른 타격이 25억 달러(약 3조 5천억 원) 규모이며 비용 절감을 통해 10억 달러(약 1조 4천억 원)를 상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루시드·리비안 등 소수를 제외하면 다수 미국 업체가 해외에서 만든 제품을 미국으로 들여오고 있으며, 관세 여파로 기업들이 미국 내 저가 모델 판매를 중단할 가능성도 거론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은 지난달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 적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업계의 로비 속에 지난달 29일 수입 부품으로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들의 부품 관세 부담 일부를 2년간 한시적으로 줄이기로 하는 등 완화 조치를 내놨습니다.
블룸버그는 GM의 생산기지가 있는 한국(25%)·중국(145%)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호 관세율을 적용받는 점도 GM이 취약한 이유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미국서 차 수입 1위 업체는?…“미국 기업 GM”
-
- 입력 2025-05-08 15:02:28
- 수정2025-05-08 15:06:29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수입차 관세 부과 조치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지난해 미국에 가장 많은 외국산 자동차를 들여온 업체는 미국 기업 제너럴모터스(GM)였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 시각 7일 컨설팅업체 글로벌데이터 자료를 인용해 GM이 지난해 미국 판매량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23만 대를 해외에서 만들어 미국으로 들여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일본 도요타의 수입량 약 120만 대보다 많은 것으로,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제네시스)은 110만 대 정도로 3위였습니다.
이어 크라이슬러, 지프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56만 4천여 대), 혼다(50만 2천여 대), 포드(41만 9천여 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미국 자동차 ‘빅3’인 GM·포드·스텔란티스가 지난해 미국으로 수입한 물량이 221만 대 정도 되는데, 이는 미국 전체 자동차 수입량의 28% 수준입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로 가장 피해를 볼 미국 기업이 바로 GM이라면서 “(미국에서) 수입차가 외국 차를 의미하던 것은 이미 옛말”이라고 짚었습니다.
GM은 한국을 비롯해 멕시코·캐나다 등 해외 생산기지에서 차량을 만들어 미국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쉐보레 트랙스, 뷰익 엔비스타 등 저가 모델을 생산합니다.
GM은 올해 관세 관련 비용(익스포저)이 많게는 50억 달러(약 7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이달 1일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20억 달러(약 2조 8천억 원)는 한국에서의 수입과 기타 비용으로 추산됐습니다.
GM은 관세 비용 가운데 30% 이상을 미국 내 생산을 통해 상쇄하고 비용 절감 등에도 나서겠다는 구상입니다.
한 익명의 GM 관계자는 블룸버그에 한국이 GM의 저가 모델 수출에 핵심 역할을 한다면서 한국 공장 가동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은 최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무역 협상 관련)한미 정부 간 대화가 진행 중인데 어떤 논의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서 “고객과 회사를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할 것이며 이를 평가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한미 간 무역 합의가 이뤄질 경우 GM의 부담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다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도 나옵니다.
GM 외에 스텔란티스와 포드는 각각 미국 판매량의 44%, 21% 정도를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포드는 올해 관세에 따른 타격이 25억 달러(약 3조 5천억 원) 규모이며 비용 절감을 통해 10억 달러(약 1조 4천억 원)를 상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루시드·리비안 등 소수를 제외하면 다수 미국 업체가 해외에서 만든 제품을 미국으로 들여오고 있으며, 관세 여파로 기업들이 미국 내 저가 모델 판매를 중단할 가능성도 거론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은 지난달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 적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업계의 로비 속에 지난달 29일 수입 부품으로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들의 부품 관세 부담 일부를 2년간 한시적으로 줄이기로 하는 등 완화 조치를 내놨습니다.
블룸버그는 GM의 생산기지가 있는 한국(25%)·중국(145%)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호 관세율을 적용받는 점도 GM이 취약한 이유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 시각 7일 컨설팅업체 글로벌데이터 자료를 인용해 GM이 지난해 미국 판매량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23만 대를 해외에서 만들어 미국으로 들여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일본 도요타의 수입량 약 120만 대보다 많은 것으로,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제네시스)은 110만 대 정도로 3위였습니다.
이어 크라이슬러, 지프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56만 4천여 대), 혼다(50만 2천여 대), 포드(41만 9천여 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미국 자동차 ‘빅3’인 GM·포드·스텔란티스가 지난해 미국으로 수입한 물량이 221만 대 정도 되는데, 이는 미국 전체 자동차 수입량의 28% 수준입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로 가장 피해를 볼 미국 기업이 바로 GM이라면서 “(미국에서) 수입차가 외국 차를 의미하던 것은 이미 옛말”이라고 짚었습니다.
GM은 한국을 비롯해 멕시코·캐나다 등 해외 생산기지에서 차량을 만들어 미국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쉐보레 트랙스, 뷰익 엔비스타 등 저가 모델을 생산합니다.
GM은 올해 관세 관련 비용(익스포저)이 많게는 50억 달러(약 7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이달 1일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20억 달러(약 2조 8천억 원)는 한국에서의 수입과 기타 비용으로 추산됐습니다.
GM은 관세 비용 가운데 30% 이상을 미국 내 생산을 통해 상쇄하고 비용 절감 등에도 나서겠다는 구상입니다.
한 익명의 GM 관계자는 블룸버그에 한국이 GM의 저가 모델 수출에 핵심 역할을 한다면서 한국 공장 가동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은 최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무역 협상 관련)한미 정부 간 대화가 진행 중인데 어떤 논의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서 “고객과 회사를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할 것이며 이를 평가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한미 간 무역 합의가 이뤄질 경우 GM의 부담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다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도 나옵니다.
GM 외에 스텔란티스와 포드는 각각 미국 판매량의 44%, 21% 정도를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포드는 올해 관세에 따른 타격이 25억 달러(약 3조 5천억 원) 규모이며 비용 절감을 통해 10억 달러(약 1조 4천억 원)를 상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루시드·리비안 등 소수를 제외하면 다수 미국 업체가 해외에서 만든 제품을 미국으로 들여오고 있으며, 관세 여파로 기업들이 미국 내 저가 모델 판매를 중단할 가능성도 거론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은 지난달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 적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업계의 로비 속에 지난달 29일 수입 부품으로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들의 부품 관세 부담 일부를 2년간 한시적으로 줄이기로 하는 등 완화 조치를 내놨습니다.
블룸버그는 GM의 생산기지가 있는 한국(25%)·중국(145%)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호 관세율을 적용받는 점도 GM이 취약한 이유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