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유급 현실화…교육 파행·의사 배출 급감 우려

입력 2025.05.08 (19:10) 수정 2025.05.08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수업을 거부하는 의대생들에 대한 유급 방침을 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 5개 의대생도 60%가량이 유급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내년 의과대 수업 현장의 차질을 물론 의사 인력 배출도 급감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학생 490여 명 규모의 계명대 의대, 이 가운데 수업 거부로 유급 대상이 된 학생은 60.6%, 299명입니다.

경북대와 영남대, 경주 동국대 의대 등은 구체적인 숫자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의대생 수업 참여율 등을 감안하면 비슷한 수준으로 파악됐습니다.

[경북대 관계자/음성변조 : "이미 유급 데드라인(기한)을 넘어선 것이고, 어떤 식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방법이 없는 것 같아요. 의대 수업 시수를 계산하더라도…."]

정부는 미복귀 의대생 구제는 더 이상 없다고 거듭 못 박았습니다.

1년 단위로 수업 과정을 짜는 의대 특성상 한 학기 4개월, 한 해 8개월의 수업 일수를 채워야 하는데 이제는 방학 없이 수업을 한다 해도 요건을 충족하기 어렵습니다.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하면서 당장 내년도 의대 교육 현장의 파행은 불가피해졌습니다.

24학번과 25, 내년 입학하는 26학번까지 한꺼번에 수업을 들어야 하는데, 평소 3배가 되는 학생을 감당할 수 있는 학교는 없기 때문입니다.

[이주호/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지난 4월 : "24, 25학번 분리 교육의 경우 복귀가 늦어질수록 어려워지고, 이런 상황은 수련 과정까지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의사 국가고시를 앞둔 본과 4학년생의 유급이 확정될 경우 의사 인력 배출은 평소보다 70% 이상 줄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런 가운데,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는 대의원 전원 자퇴를 내걸고 집단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상황.

의정 간 강 대 강 대치 속에 사태 해결은 차기 정부의 몫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영상편집:김희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규모 유급 현실화…교육 파행·의사 배출 급감 우려
    • 입력 2025-05-08 19:10:55
    • 수정2025-05-08 20:02:23
    뉴스7(대구)
[앵커]

정부가 수업을 거부하는 의대생들에 대한 유급 방침을 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 5개 의대생도 60%가량이 유급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내년 의과대 수업 현장의 차질을 물론 의사 인력 배출도 급감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학생 490여 명 규모의 계명대 의대, 이 가운데 수업 거부로 유급 대상이 된 학생은 60.6%, 299명입니다.

경북대와 영남대, 경주 동국대 의대 등은 구체적인 숫자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의대생 수업 참여율 등을 감안하면 비슷한 수준으로 파악됐습니다.

[경북대 관계자/음성변조 : "이미 유급 데드라인(기한)을 넘어선 것이고, 어떤 식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방법이 없는 것 같아요. 의대 수업 시수를 계산하더라도…."]

정부는 미복귀 의대생 구제는 더 이상 없다고 거듭 못 박았습니다.

1년 단위로 수업 과정을 짜는 의대 특성상 한 학기 4개월, 한 해 8개월의 수업 일수를 채워야 하는데 이제는 방학 없이 수업을 한다 해도 요건을 충족하기 어렵습니다.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하면서 당장 내년도 의대 교육 현장의 파행은 불가피해졌습니다.

24학번과 25, 내년 입학하는 26학번까지 한꺼번에 수업을 들어야 하는데, 평소 3배가 되는 학생을 감당할 수 있는 학교는 없기 때문입니다.

[이주호/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지난 4월 : "24, 25학번 분리 교육의 경우 복귀가 늦어질수록 어려워지고, 이런 상황은 수련 과정까지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의사 국가고시를 앞둔 본과 4학년생의 유급이 확정될 경우 의사 인력 배출은 평소보다 70% 이상 줄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런 가운데,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는 대의원 전원 자퇴를 내걸고 집단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상황.

의정 간 강 대 강 대치 속에 사태 해결은 차기 정부의 몫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영상편집:김희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