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작별한다”…경남 가정 호스피스 첫발
입력 2025.05.09 (08:37)
수정 2025.05.09 (09: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몸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삶의 막바지에서 가장 머물고 싶어하는 장소는 바로 '집'입니다.
사랑하는 가족들과 즐거웠던 추억을 안고, 임종을 맞고 싶은 건데요.
말기 암 등을 진단받은 환자들을 위한 '가정 호스피스' 제도가 경남에서도 시작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진주 도심에서 25분을 달려 도착한 농촌마을.
차에서 내린 의료진들이 단독 주택 안으로 들어갑니다.
["(잠시 들어갈게요. 어머니.)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뵙는다. 그렇죠?"]
췌장암 4기 65살 김기찬 씨가 사는 집입니다.
의료진들이 일주일에 두 번 김 씨를 찾아와 진찰합니다.
몸 안에 삽입된 배액관의 상태를 살피고 정맥관을 통해 영양제를 주입합니다.
필요하면 마약성 진통제도 처방할 수 있습니다.
동행한 자원봉사자는 마사지나 목욕 등 신체적·정서적 돌봄을 제공합니다.
[연소현/경상국립대병원 간호사 : "환자분들한테 뜻깊은 날이 있다든지 아니면 조금 집에 와가지고 이루고 하고 싶었던 일이라든지 이루고 싶었던 소원이라든지 이런 게 여건이 된다면…."]
낯선 병원이 아닌 익숙한 집에서 삶의 마지막을 보내고 싶다는 게 김기찬 씨의 뜻이었습니다.
[김기찬/췌장암 4기 환자 : "대학병원 갔었는데 하루가 지옥 같고, 1년 같고 그래서 집에 가자고 했습니다. 죽어도 좋으니까 집에 가서 죽자고…."]
응급 상황에서 24시간 연락할 의료진이 있어 가족들도 안심하고 집으로 올 수 있었습니다.
[강진여/김기찬 씨 아내 : "불안하면 더 힘들 것 같아 가지고 그러면 집에 가자 이러더라고요. 집에서 우리가 살던 곳을 보면 좀 더 좋아질 것 같다고…."]
이런 가정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의료 기관은 전국 40개.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지자체 한 곳당 한 두개에 불과합니다.
6년 새 겨우 한 곳 늘었습니다.
낮은 수가 탓에 의료 기관의 참여가 한정적인 겁니다.
경남에서는 경상국립대병원이 올해 처음 가정 호스피스 제공 기관으로 지정돼 시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경남도에서 받는 지원금은 한 해 1억 6천 만원.
집에서 임종하고 싶은 환자를 다 수용하지 못하는 형편입니다.
[강정훈/경상국립대병원 경남지역암센터 소장 : "수가의 문제로 가지고는 해결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또 지자체에서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사업을 그리고 지속 가능한 사업비 형태로 이것을 만들어 내고…."]
경남에서 첫 발을 뗀 '가정 호스피스' 의료의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돌봄의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진용/그래픽:김신아
몸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삶의 막바지에서 가장 머물고 싶어하는 장소는 바로 '집'입니다.
사랑하는 가족들과 즐거웠던 추억을 안고, 임종을 맞고 싶은 건데요.
말기 암 등을 진단받은 환자들을 위한 '가정 호스피스' 제도가 경남에서도 시작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진주 도심에서 25분을 달려 도착한 농촌마을.
차에서 내린 의료진들이 단독 주택 안으로 들어갑니다.
["(잠시 들어갈게요. 어머니.)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뵙는다. 그렇죠?"]
췌장암 4기 65살 김기찬 씨가 사는 집입니다.
의료진들이 일주일에 두 번 김 씨를 찾아와 진찰합니다.
몸 안에 삽입된 배액관의 상태를 살피고 정맥관을 통해 영양제를 주입합니다.
필요하면 마약성 진통제도 처방할 수 있습니다.
동행한 자원봉사자는 마사지나 목욕 등 신체적·정서적 돌봄을 제공합니다.
[연소현/경상국립대병원 간호사 : "환자분들한테 뜻깊은 날이 있다든지 아니면 조금 집에 와가지고 이루고 하고 싶었던 일이라든지 이루고 싶었던 소원이라든지 이런 게 여건이 된다면…."]
낯선 병원이 아닌 익숙한 집에서 삶의 마지막을 보내고 싶다는 게 김기찬 씨의 뜻이었습니다.
[김기찬/췌장암 4기 환자 : "대학병원 갔었는데 하루가 지옥 같고, 1년 같고 그래서 집에 가자고 했습니다. 죽어도 좋으니까 집에 가서 죽자고…."]
응급 상황에서 24시간 연락할 의료진이 있어 가족들도 안심하고 집으로 올 수 있었습니다.
[강진여/김기찬 씨 아내 : "불안하면 더 힘들 것 같아 가지고 그러면 집에 가자 이러더라고요. 집에서 우리가 살던 곳을 보면 좀 더 좋아질 것 같다고…."]
이런 가정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의료 기관은 전국 40개.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지자체 한 곳당 한 두개에 불과합니다.
6년 새 겨우 한 곳 늘었습니다.
낮은 수가 탓에 의료 기관의 참여가 한정적인 겁니다.
경남에서는 경상국립대병원이 올해 처음 가정 호스피스 제공 기관으로 지정돼 시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경남도에서 받는 지원금은 한 해 1억 6천 만원.
집에서 임종하고 싶은 환자를 다 수용하지 못하는 형편입니다.
[강정훈/경상국립대병원 경남지역암센터 소장 : "수가의 문제로 가지고는 해결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또 지자체에서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사업을 그리고 지속 가능한 사업비 형태로 이것을 만들어 내고…."]
경남에서 첫 발을 뗀 '가정 호스피스' 의료의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돌봄의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진용/그래픽:김신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에서 작별한다”…경남 가정 호스피스 첫발
-
- 입력 2025-05-09 08:37:37
- 수정2025-05-09 09:09:39

[앵커]
몸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삶의 막바지에서 가장 머물고 싶어하는 장소는 바로 '집'입니다.
사랑하는 가족들과 즐거웠던 추억을 안고, 임종을 맞고 싶은 건데요.
말기 암 등을 진단받은 환자들을 위한 '가정 호스피스' 제도가 경남에서도 시작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진주 도심에서 25분을 달려 도착한 농촌마을.
차에서 내린 의료진들이 단독 주택 안으로 들어갑니다.
["(잠시 들어갈게요. 어머니.)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뵙는다. 그렇죠?"]
췌장암 4기 65살 김기찬 씨가 사는 집입니다.
의료진들이 일주일에 두 번 김 씨를 찾아와 진찰합니다.
몸 안에 삽입된 배액관의 상태를 살피고 정맥관을 통해 영양제를 주입합니다.
필요하면 마약성 진통제도 처방할 수 있습니다.
동행한 자원봉사자는 마사지나 목욕 등 신체적·정서적 돌봄을 제공합니다.
[연소현/경상국립대병원 간호사 : "환자분들한테 뜻깊은 날이 있다든지 아니면 조금 집에 와가지고 이루고 하고 싶었던 일이라든지 이루고 싶었던 소원이라든지 이런 게 여건이 된다면…."]
낯선 병원이 아닌 익숙한 집에서 삶의 마지막을 보내고 싶다는 게 김기찬 씨의 뜻이었습니다.
[김기찬/췌장암 4기 환자 : "대학병원 갔었는데 하루가 지옥 같고, 1년 같고 그래서 집에 가자고 했습니다. 죽어도 좋으니까 집에 가서 죽자고…."]
응급 상황에서 24시간 연락할 의료진이 있어 가족들도 안심하고 집으로 올 수 있었습니다.
[강진여/김기찬 씨 아내 : "불안하면 더 힘들 것 같아 가지고 그러면 집에 가자 이러더라고요. 집에서 우리가 살던 곳을 보면 좀 더 좋아질 것 같다고…."]
이런 가정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의료 기관은 전국 40개.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지자체 한 곳당 한 두개에 불과합니다.
6년 새 겨우 한 곳 늘었습니다.
낮은 수가 탓에 의료 기관의 참여가 한정적인 겁니다.
경남에서는 경상국립대병원이 올해 처음 가정 호스피스 제공 기관으로 지정돼 시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경남도에서 받는 지원금은 한 해 1억 6천 만원.
집에서 임종하고 싶은 환자를 다 수용하지 못하는 형편입니다.
[강정훈/경상국립대병원 경남지역암센터 소장 : "수가의 문제로 가지고는 해결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또 지자체에서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사업을 그리고 지속 가능한 사업비 형태로 이것을 만들어 내고…."]
경남에서 첫 발을 뗀 '가정 호스피스' 의료의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돌봄의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진용/그래픽:김신아
몸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삶의 막바지에서 가장 머물고 싶어하는 장소는 바로 '집'입니다.
사랑하는 가족들과 즐거웠던 추억을 안고, 임종을 맞고 싶은 건데요.
말기 암 등을 진단받은 환자들을 위한 '가정 호스피스' 제도가 경남에서도 시작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진주 도심에서 25분을 달려 도착한 농촌마을.
차에서 내린 의료진들이 단독 주택 안으로 들어갑니다.
["(잠시 들어갈게요. 어머니.)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뵙는다. 그렇죠?"]
췌장암 4기 65살 김기찬 씨가 사는 집입니다.
의료진들이 일주일에 두 번 김 씨를 찾아와 진찰합니다.
몸 안에 삽입된 배액관의 상태를 살피고 정맥관을 통해 영양제를 주입합니다.
필요하면 마약성 진통제도 처방할 수 있습니다.
동행한 자원봉사자는 마사지나 목욕 등 신체적·정서적 돌봄을 제공합니다.
[연소현/경상국립대병원 간호사 : "환자분들한테 뜻깊은 날이 있다든지 아니면 조금 집에 와가지고 이루고 하고 싶었던 일이라든지 이루고 싶었던 소원이라든지 이런 게 여건이 된다면…."]
낯선 병원이 아닌 익숙한 집에서 삶의 마지막을 보내고 싶다는 게 김기찬 씨의 뜻이었습니다.
[김기찬/췌장암 4기 환자 : "대학병원 갔었는데 하루가 지옥 같고, 1년 같고 그래서 집에 가자고 했습니다. 죽어도 좋으니까 집에 가서 죽자고…."]
응급 상황에서 24시간 연락할 의료진이 있어 가족들도 안심하고 집으로 올 수 있었습니다.
[강진여/김기찬 씨 아내 : "불안하면 더 힘들 것 같아 가지고 그러면 집에 가자 이러더라고요. 집에서 우리가 살던 곳을 보면 좀 더 좋아질 것 같다고…."]
이런 가정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의료 기관은 전국 40개.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지자체 한 곳당 한 두개에 불과합니다.
6년 새 겨우 한 곳 늘었습니다.
낮은 수가 탓에 의료 기관의 참여가 한정적인 겁니다.
경남에서는 경상국립대병원이 올해 처음 가정 호스피스 제공 기관으로 지정돼 시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경남도에서 받는 지원금은 한 해 1억 6천 만원.
집에서 임종하고 싶은 환자를 다 수용하지 못하는 형편입니다.
[강정훈/경상국립대병원 경남지역암센터 소장 : "수가의 문제로 가지고는 해결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또 지자체에서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사업을 그리고 지속 가능한 사업비 형태로 이것을 만들어 내고…."]
경남에서 첫 발을 뗀 '가정 호스피스' 의료의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돌봄의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진용/그래픽:김신아
-
-
김소영 기자 kantapia@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