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동교동 사저, ‘등록 문화 유산’ 첫 관문 통과…“올해 중 결정 전망”

입력 2025.05.09 (15: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DJ 동교동 사저, '등록 문화유산' 첫 관문 통과

군사 독재를 상대로 한 민주화 투쟁 시기 김대중 전 대통령의 투옥, 사형 선고, 가택연금, 납치 사건 등의 배경이 된 동교동 DJ 사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 여정을 넘어, 우리 근현대 정치사의 굴곡을 상징하는 장소로 꼽힙니다.

지난해 7월, 김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전 의원이 상속세 부담 등의 이유로 개인 사업자에 매각해, 사저가 상업적으로 이용되거나 훼손될 수 있단 우려가 나왔습니다.

그러자 사저가 위치한 지자체인 마포구는 지난해 11월, 서울시에 국가 등록 문화유산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연관 기사][단독] DJ 사저 50년 안됐다?…서울시, 국가유산 등록 신청 ‘보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72196

KBS는 앞서 이에 대해 서울시가 김 전 대통령 사저의 국가 등록 문화유산 신청을 '보류' 판정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저가 2000년 철거됐다 다시 지어지며 등기부등본상 50년이 되지 않아, 국가 등록 문화유산의 서류상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걸림돌이 된 겁니다.

이후 서울시의회, 마포구, 시민 사회 등에서 김 전 대통령 사저의 국가 등록 문화유산 등록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 DJ 사저, '국가 등록 문화유산' 등재 서울시 심의 통과

이에 서울시가 최근 김 전 대통령 사저에 대한 심의를 다시 진행해, 국가 등록 문화유산 적합 판정을 내렸습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새로 지어진 건물이긴 하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 머물렀던 공간이자 민주화 운동의 주축이 된 가치들이 인정돼 심의를 통과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국가유산청 심의를 통과하면 최종적으로 국가 등록 문화유산이 됩니다. 심의에 통상 6개월 정도 시간이 걸리는 만큼 올해 안에 결정이 날 전망입니다.


■ 민간 소유 유지… 사저 인근 도로 '김대중길' 조성 추진

국가 등록 문화유산으로 선정되면, 건물의 수리 유지 비용 등을 지원받을 수 있는 대신 소유주가 건물 외관을 바꾸거나 철거할 때 반드시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때문에 마포구 등이 다시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됐으나, 현재 소유자인 개인 사업자가 그대로 유지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가 등록 문화유산 등재 절차와 별개로 재단과 자치구 차원의 보존 작업도 이어집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과 김대중재단 배기선 사무총장, 김대중 대통령의 유족 등이 보존위원회를 꾸려, 사저를 기념관이나 교육 공간 등 다각적인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또 사저 인근 도로를 ‘김대중길’로 조성하는 등 상징 공간 조성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DJ 동교동 사저, ‘등록 문화 유산’ 첫 관문 통과…“올해 중 결정 전망”
    • 입력 2025-05-09 15:57:32
    심층K

■ DJ 동교동 사저, '등록 문화유산' 첫 관문 통과

군사 독재를 상대로 한 민주화 투쟁 시기 김대중 전 대통령의 투옥, 사형 선고, 가택연금, 납치 사건 등의 배경이 된 동교동 DJ 사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 여정을 넘어, 우리 근현대 정치사의 굴곡을 상징하는 장소로 꼽힙니다.

지난해 7월, 김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전 의원이 상속세 부담 등의 이유로 개인 사업자에 매각해, 사저가 상업적으로 이용되거나 훼손될 수 있단 우려가 나왔습니다.

그러자 사저가 위치한 지자체인 마포구는 지난해 11월, 서울시에 국가 등록 문화유산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연관 기사][단독] DJ 사저 50년 안됐다?…서울시, 국가유산 등록 신청 ‘보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72196

KBS는 앞서 이에 대해 서울시가 김 전 대통령 사저의 국가 등록 문화유산 신청을 '보류' 판정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저가 2000년 철거됐다 다시 지어지며 등기부등본상 50년이 되지 않아, 국가 등록 문화유산의 서류상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걸림돌이 된 겁니다.

이후 서울시의회, 마포구, 시민 사회 등에서 김 전 대통령 사저의 국가 등록 문화유산 등록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 DJ 사저, '국가 등록 문화유산' 등재 서울시 심의 통과

이에 서울시가 최근 김 전 대통령 사저에 대한 심의를 다시 진행해, 국가 등록 문화유산 적합 판정을 내렸습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새로 지어진 건물이긴 하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 머물렀던 공간이자 민주화 운동의 주축이 된 가치들이 인정돼 심의를 통과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국가유산청 심의를 통과하면 최종적으로 국가 등록 문화유산이 됩니다. 심의에 통상 6개월 정도 시간이 걸리는 만큼 올해 안에 결정이 날 전망입니다.


■ 민간 소유 유지… 사저 인근 도로 '김대중길' 조성 추진

국가 등록 문화유산으로 선정되면, 건물의 수리 유지 비용 등을 지원받을 수 있는 대신 소유주가 건물 외관을 바꾸거나 철거할 때 반드시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때문에 마포구 등이 다시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됐으나, 현재 소유자인 개인 사업자가 그대로 유지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가 등록 문화유산 등재 절차와 별개로 재단과 자치구 차원의 보존 작업도 이어집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과 김대중재단 배기선 사무총장, 김대중 대통령의 유족 등이 보존위원회를 꾸려, 사저를 기념관이나 교육 공간 등 다각적인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또 사저 인근 도로를 ‘김대중길’로 조성하는 등 상징 공간 조성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