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청년이 미래 설계할 수 있도록 정치 바꿔야…협치형 권력구조”
입력 2025.05.09 (17:22)
수정 2025.05.09 (17: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은 “청년들이 국가 주체로서 당당하게 권리를 주장하고 미래의 주인으로서 직접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정치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을 맡고 있는 김용태 의원은 오늘(9일) MBC에서 방송된 21대 대선 정강·정책 연설에서 “청년들이 원하는 건 시혜의 대상,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도전하고 열심히 일할 수 있는 환경과 일자리”라고 했습니다.
이어 “청년 기본소득처럼 돈을 뿌리는 정책은 문제를 악화시킬 뿐”이라며 “선심성 포퓰리즘 정책은 국가 재원을 고갈시켜 오히려 청년세대의 빚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의원은 인공지능(AI)과 기후 위기 대응이 미래세대의 새로운 역할이 돼야 한다며 반도체특별법과 AI 산업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을 초당적으로 협력해 추진하자고 주장했습니다.
정치 개혁 방향과 관련해서는 “차기 정부는 새로운 미래를 여는 ‘브릿지 정부’가 돼야 한다”며 “개헌을 통해 한계에 다다른 87년 체제를 종식하고 협치형 권력구조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은 현상 유지, 기득권 추구의 오명을 벗고 과감한 규제·노동 개혁, 교육·과학기술 개혁으로 혁신 성장의 토대 구축에 나서겠다”며 “두 차례의 대통령 탄핵을 반성하고 반드시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을 수호하는 본체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을 맡고 있는 김용태 의원은 오늘(9일) MBC에서 방송된 21대 대선 정강·정책 연설에서 “청년들이 원하는 건 시혜의 대상,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도전하고 열심히 일할 수 있는 환경과 일자리”라고 했습니다.
이어 “청년 기본소득처럼 돈을 뿌리는 정책은 문제를 악화시킬 뿐”이라며 “선심성 포퓰리즘 정책은 국가 재원을 고갈시켜 오히려 청년세대의 빚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의원은 인공지능(AI)과 기후 위기 대응이 미래세대의 새로운 역할이 돼야 한다며 반도체특별법과 AI 산업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을 초당적으로 협력해 추진하자고 주장했습니다.
정치 개혁 방향과 관련해서는 “차기 정부는 새로운 미래를 여는 ‘브릿지 정부’가 돼야 한다”며 “개헌을 통해 한계에 다다른 87년 체제를 종식하고 협치형 권력구조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은 현상 유지, 기득권 추구의 오명을 벗고 과감한 규제·노동 개혁, 교육·과학기술 개혁으로 혁신 성장의 토대 구축에 나서겠다”며 “두 차례의 대통령 탄핵을 반성하고 반드시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을 수호하는 본체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용태 “청년이 미래 설계할 수 있도록 정치 바꿔야…협치형 권력구조”
-
- 입력 2025-05-09 17:22:46
- 수정2025-05-09 17:29:12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은 “청년들이 국가 주체로서 당당하게 권리를 주장하고 미래의 주인으로서 직접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정치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을 맡고 있는 김용태 의원은 오늘(9일) MBC에서 방송된 21대 대선 정강·정책 연설에서 “청년들이 원하는 건 시혜의 대상,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도전하고 열심히 일할 수 있는 환경과 일자리”라고 했습니다.
이어 “청년 기본소득처럼 돈을 뿌리는 정책은 문제를 악화시킬 뿐”이라며 “선심성 포퓰리즘 정책은 국가 재원을 고갈시켜 오히려 청년세대의 빚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의원은 인공지능(AI)과 기후 위기 대응이 미래세대의 새로운 역할이 돼야 한다며 반도체특별법과 AI 산업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을 초당적으로 협력해 추진하자고 주장했습니다.
정치 개혁 방향과 관련해서는 “차기 정부는 새로운 미래를 여는 ‘브릿지 정부’가 돼야 한다”며 “개헌을 통해 한계에 다다른 87년 체제를 종식하고 협치형 권력구조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은 현상 유지, 기득권 추구의 오명을 벗고 과감한 규제·노동 개혁, 교육·과학기술 개혁으로 혁신 성장의 토대 구축에 나서겠다”며 “두 차례의 대통령 탄핵을 반성하고 반드시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을 수호하는 본체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을 맡고 있는 김용태 의원은 오늘(9일) MBC에서 방송된 21대 대선 정강·정책 연설에서 “청년들이 원하는 건 시혜의 대상,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도전하고 열심히 일할 수 있는 환경과 일자리”라고 했습니다.
이어 “청년 기본소득처럼 돈을 뿌리는 정책은 문제를 악화시킬 뿐”이라며 “선심성 포퓰리즘 정책은 국가 재원을 고갈시켜 오히려 청년세대의 빚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의원은 인공지능(AI)과 기후 위기 대응이 미래세대의 새로운 역할이 돼야 한다며 반도체특별법과 AI 산업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을 초당적으로 협력해 추진하자고 주장했습니다.
정치 개혁 방향과 관련해서는 “차기 정부는 새로운 미래를 여는 ‘브릿지 정부’가 돼야 한다”며 “개헌을 통해 한계에 다다른 87년 체제를 종식하고 협치형 권력구조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은 현상 유지, 기득권 추구의 오명을 벗고 과감한 규제·노동 개혁, 교육·과학기술 개혁으로 혁신 성장의 토대 구축에 나서겠다”며 “두 차례의 대통령 탄핵을 반성하고 반드시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을 수호하는 본체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유민 기자 toyou@kbs.co.kr
이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