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라리온에서 엠폭스 확산…“한 주 동안 384건 발생”

입력 2025.05.09 (19:01) 수정 2025.05.09 (19: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아프리카 시에라리온이 지난해부터 아프리카에서 확산한 엠폭스(옛 명칭 원숭이두창)의 새 진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현지 시각 지난 7일 기준 최근 한 주 새 시에라리온에서 384건의 엠폭스 확진 사례가 보고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아프리카 대륙 전체 확진 사례(758건)의 50.7%를 차지합니다.

아프리카 CDC 관계자는 이날 온라인 회견에서 “시에라리온에서 불과 1주일 만에 엠폭스 확진자가 63% 급증했다”며 “반면 우간다와 부룬디에서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고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도 평탄화 조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시에라리온은 앞선 지난 1월 2건의 엠폭스 감염 사례가 확인되면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아프리카 CDC에 따르면 지난 7일 현재 올해 들어 아프리카 대륙에서 보고된 엠폭스 의심 사례는 5만 2천82건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1만 1천702건이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의심 사례와 확진 사례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0% 이상 줄었습니다.

지난해부터 집계된 12만 건 넘는 엠폭스 의심 사례와 1천700여 명의 사망자 가운데 대부분이 민주콩고와 우간다, 부룬디 등 중부와 동부 아프리카에서 나왔습니다.

엠폭스는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초부터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치명률이 높고 전파 속도가 빠른 새로운 변종인 하위계통 1b형(Clade 1b) 엠폭스가 확산하자 지난해 8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에라리온에서 엠폭스 확산…“한 주 동안 384건 발생”
    • 입력 2025-05-09 19:01:40
    • 수정2025-05-09 19:13:38
    국제
서아프리카 시에라리온이 지난해부터 아프리카에서 확산한 엠폭스(옛 명칭 원숭이두창)의 새 진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현지 시각 지난 7일 기준 최근 한 주 새 시에라리온에서 384건의 엠폭스 확진 사례가 보고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아프리카 대륙 전체 확진 사례(758건)의 50.7%를 차지합니다.

아프리카 CDC 관계자는 이날 온라인 회견에서 “시에라리온에서 불과 1주일 만에 엠폭스 확진자가 63% 급증했다”며 “반면 우간다와 부룬디에서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고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도 평탄화 조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시에라리온은 앞선 지난 1월 2건의 엠폭스 감염 사례가 확인되면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아프리카 CDC에 따르면 지난 7일 현재 올해 들어 아프리카 대륙에서 보고된 엠폭스 의심 사례는 5만 2천82건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1만 1천702건이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의심 사례와 확진 사례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0% 이상 줄었습니다.

지난해부터 집계된 12만 건 넘는 엠폭스 의심 사례와 1천700여 명의 사망자 가운데 대부분이 민주콩고와 우간다, 부룬디 등 중부와 동부 아프리카에서 나왔습니다.

엠폭스는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초부터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치명률이 높고 전파 속도가 빠른 새로운 변종인 하위계통 1b형(Clade 1b) 엠폭스가 확산하자 지난해 8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