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이번 세대 가장 큰 위협”…영국, EU와 안보 협력 대폭 강화
입력 2025.05.12 (09:41)
수정 2025.05.12 (0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렉시트’로 유럽연합(EU)를 탈퇴한 영국이 EU와 국방·안보 협력을 대폭 강화합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현지 시각 11일 영국이 조만간 EU의 집단방위에 참여하는 것을 골자로 한 협정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같은 국방·안보 협정은 2020년 브렉시트 이후 가장 의미 있는 관계 강화라는 것이 현지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협정이 체결되면 영국은 EU 회원국들의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에 참여하게 됩니다. 영국도 EU 회원국처럼 공동 군사 작전과 평화 유지 임무에 참여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영국과 EU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안보 동맹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기 때문에 이번 협정을 맺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유사시 공동 대응이 가능합니다. 다만 만에 하나 미국이 나토 명의의 작전을 거부할 경우에도 유럽과 영국의 군사적 협력을 보장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됐다는 평가입니다.
더타임스가 입수한 협정서에 따르면 EU와 영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서방에 대한 각종 간첩 행위를 ‘이번 세대에서 가장 큰 위협’이라고 규정한 뒤 새로운 안보 협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협정서에는 “영국과 EU는 유럽의 안보에 대해 공동 책임을 지고 있으며, 양측의 안보와 번영은 밀접하게 연관됐고, 상호의존적”이라는 문구가 포함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한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밖에 없는 양측의 입장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영국과 EU는 유럽 내 병력과 군수 물자의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별도의 협정을 맺을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무장관과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러시아와 발칸반도, 아시아 등 공동 관심 분야에 대해 6개월마다 전략적 협의를 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영국은 EU에서 세관 검사 없이 식품 및 농산물 판매를 재개하는 방안과 함께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는 별도 협정도 논의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현지 시각 11일 영국이 조만간 EU의 집단방위에 참여하는 것을 골자로 한 협정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같은 국방·안보 협정은 2020년 브렉시트 이후 가장 의미 있는 관계 강화라는 것이 현지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협정이 체결되면 영국은 EU 회원국들의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에 참여하게 됩니다. 영국도 EU 회원국처럼 공동 군사 작전과 평화 유지 임무에 참여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영국과 EU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안보 동맹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기 때문에 이번 협정을 맺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유사시 공동 대응이 가능합니다. 다만 만에 하나 미국이 나토 명의의 작전을 거부할 경우에도 유럽과 영국의 군사적 협력을 보장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됐다는 평가입니다.
더타임스가 입수한 협정서에 따르면 EU와 영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서방에 대한 각종 간첩 행위를 ‘이번 세대에서 가장 큰 위협’이라고 규정한 뒤 새로운 안보 협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협정서에는 “영국과 EU는 유럽의 안보에 대해 공동 책임을 지고 있으며, 양측의 안보와 번영은 밀접하게 연관됐고, 상호의존적”이라는 문구가 포함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한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밖에 없는 양측의 입장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영국과 EU는 유럽 내 병력과 군수 물자의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별도의 협정을 맺을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무장관과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러시아와 발칸반도, 아시아 등 공동 관심 분야에 대해 6개월마다 전략적 협의를 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영국은 EU에서 세관 검사 없이 식품 및 농산물 판매를 재개하는 방안과 함께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는 별도 협정도 논의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시아, 이번 세대 가장 큰 위협”…영국, EU와 안보 협력 대폭 강화
-
- 입력 2025-05-12 09:41:30
- 수정2025-05-12 09:45:30

‘브렉시트’로 유럽연합(EU)를 탈퇴한 영국이 EU와 국방·안보 협력을 대폭 강화합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현지 시각 11일 영국이 조만간 EU의 집단방위에 참여하는 것을 골자로 한 협정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같은 국방·안보 협정은 2020년 브렉시트 이후 가장 의미 있는 관계 강화라는 것이 현지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협정이 체결되면 영국은 EU 회원국들의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에 참여하게 됩니다. 영국도 EU 회원국처럼 공동 군사 작전과 평화 유지 임무에 참여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영국과 EU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안보 동맹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기 때문에 이번 협정을 맺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유사시 공동 대응이 가능합니다. 다만 만에 하나 미국이 나토 명의의 작전을 거부할 경우에도 유럽과 영국의 군사적 협력을 보장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됐다는 평가입니다.
더타임스가 입수한 협정서에 따르면 EU와 영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서방에 대한 각종 간첩 행위를 ‘이번 세대에서 가장 큰 위협’이라고 규정한 뒤 새로운 안보 협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협정서에는 “영국과 EU는 유럽의 안보에 대해 공동 책임을 지고 있으며, 양측의 안보와 번영은 밀접하게 연관됐고, 상호의존적”이라는 문구가 포함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한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밖에 없는 양측의 입장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영국과 EU는 유럽 내 병력과 군수 물자의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별도의 협정을 맺을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무장관과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러시아와 발칸반도, 아시아 등 공동 관심 분야에 대해 6개월마다 전략적 협의를 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영국은 EU에서 세관 검사 없이 식품 및 농산물 판매를 재개하는 방안과 함께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는 별도 협정도 논의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현지 시각 11일 영국이 조만간 EU의 집단방위에 참여하는 것을 골자로 한 협정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같은 국방·안보 협정은 2020년 브렉시트 이후 가장 의미 있는 관계 강화라는 것이 현지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협정이 체결되면 영국은 EU 회원국들의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에 참여하게 됩니다. 영국도 EU 회원국처럼 공동 군사 작전과 평화 유지 임무에 참여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영국과 EU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안보 동맹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기 때문에 이번 협정을 맺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유사시 공동 대응이 가능합니다. 다만 만에 하나 미국이 나토 명의의 작전을 거부할 경우에도 유럽과 영국의 군사적 협력을 보장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됐다는 평가입니다.
더타임스가 입수한 협정서에 따르면 EU와 영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서방에 대한 각종 간첩 행위를 ‘이번 세대에서 가장 큰 위협’이라고 규정한 뒤 새로운 안보 협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협정서에는 “영국과 EU는 유럽의 안보에 대해 공동 책임을 지고 있으며, 양측의 안보와 번영은 밀접하게 연관됐고, 상호의존적”이라는 문구가 포함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한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밖에 없는 양측의 입장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영국과 EU는 유럽 내 병력과 군수 물자의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별도의 협정을 맺을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무장관과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러시아와 발칸반도, 아시아 등 공동 관심 분야에 대해 6개월마다 전략적 협의를 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영국은 EU에서 세관 검사 없이 식품 및 농산물 판매를 재개하는 방안과 함께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는 별도 협정도 논의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